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economic control threshold (ET) were estimated for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Acari, Tetranychidae) in Rubus coreanus Miquel. T. kanzawai density increased until the early-July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ll plots except the non-innoculation plot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5, 10, 20 and 4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7 in 2008. And the occurrence of the densities were increased higher innoculated density than different innoculation density. The yield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hereby the rates of yield lo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And T. kanzawai occurrence density, yields and the rates of yield loss,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2, 5, 10 and 20 adults per plant branch on May 8 in 2009 were similar tendency to 2008 year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the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6545X + 3.0425 (R<SUP>2</SUP> = 0.93) in 2008, Y = 0.9031X + 2.0899(R<SUP>2</SUP> =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branch(EILs)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0 in 2008 and 3.2 in 2009. And the ET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4 in 2008 and 2.6 i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kanzawai densities and occurrence density of mid-May considering the best spray timing against T. kanzawai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0.471X + 2.495(R<SUP>2</SUP> = 0.95) in 2008, Y = 0.9938X + 3.1858(R<SUP>2</SUP> 二 0.96) in 200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Ieaf(ET) in mid-May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6 in 2008 and 5.8 in 2009.
        4,000원
        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sonal occurrence and suitable time of control of Tetranychus kanzawai along with the control efficacy of the alternative use of natural predator and miticide was investigated in Rubus coreanus (Miquel). T. kanzawai appeared in late May with its peak between June and July, and decreased after August in R. coreanus. In Iksan, T. kanzawai estimates show peaks 2~4 times per year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from 2006 to 2008 in R. coreanus fields. Suitable time of control of T. kanzawai was in early to mid May. And control effects of T. kanzawai was improved with an alternated control plot, treating miticides in early-occurrence of T. kanzawai and then releasing the natural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lso, the yields of R. coreanus was highest in the alternated control plot of 638㎏/10a compared to non-treatment of 559㎏/10a.
        4,0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5 species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Endoclyta excrescens (Butler), leaf roller caterpillar (Adoxophyes orana Fisher), Anomis mesogona (Walker), and Aulacaspis rosae (Bouche)) were found in Rubus coreanus Miquel in Jeonbuk province, from 2006 to 2008. T. kanzawai appeared in mid-May and showed three peaks in late June, mid-July, and late August. Its density was over 10 adults per leaf. A. mesogona appeared in mid-June and showed two peaks in late July, and early October. Of the 28 insect pests in pre-harvesting, the 7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T. urticae, A. orana, Lygocoris lucorum Meyer,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Psylliodespunctifrons Baly and Motschulskyia serrata (Matsumura). Of the 19 insect pests in after-harvesting, the 6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E. excrescens, A. mesogona, A. orana, P. punctifrons and A. rosae. Growth of R. coreanus decreased when insect pests were not managed and yields decreased approx. 7% a year. Management of insect pests in field using pesticide was not different.
        4,000원
        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분자딸기에 발생하는 차응애 방제를 위하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시험포 장에 2006년 4월 식재된 복분자딸기를 대상으로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천 적처리구, 농약처리구 및 종합처리구로 나누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종합처리구는 4월 하순 비가림시설을 하고, 측창에 망사(120목)를 설치한 다음, 차응애 발생초기인 5월상순 등록약제를 1회 살포한 후 수확전 5월 16일 과 6월 4일에 천적(칠레이리응애)을 각 1회(4마리/주) 방사하였고, 천적처리구 는 종합처리구에서 농약살포만 제외하였으며, 농약처리구는 5월 2일 등록약제 를 1회 처리하였다. 복분자딸기에서 처리별 차응애 발생밀도는 5월 상순 발생을 시작하여 수확 기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수확직전인 6월4일경 처리별 발생밀도는 무처리 496마리/엽에 비하여 천적처리구 17마리/엽, 종합처리구 18마리/엽, 농약처리구 128마리/엽으로 천적처리구와 종합처리구에서 밀도가 크게 억제되었다. 그러 나, 천적처리구에서는 이후 밀도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종합처리구에서는 밀 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에 따른 방제가는 수확직전인 6월 4일경에 농약처리구 96.7%, 천적처리구 74.2%, 종합처리구 96.4%였으며, 6월 19일경에는 농약처리구 89.9%, 천적처리 구 95.1%, 종합처리구 98.9%로 종합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처리별 수량은 무처리 559kg/10a, 천적처리구 588kg/10a, 종합처리구 638kg/10a, 농약처리구 607kg/10a로 종합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고, 무처리에 비해 14%정도 증수되었으며, 경제성분석 결과 40만원 정도의 추가이익이 기대되었다.
        5.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전체(울릉도와 제주도를 제외)를 대상으로 복분자딸기 군락의 자생지 조사를 수행한 결과이다. 복분자딸기의 전형적인 자생지에 24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식생지 유형은 사면 노방지, 2차 천이지, 사면 훼손지, 엄정 보호지 및 가혹한 환경지 등으로 조사되었다. 복분자딸기 자생지 일대의 소산식물상은 71과 155속 18변종 1품종 199종 총 218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80.74%가 다년생 식물로 나타났고 국화과 식물이 7.80%로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다.
        4,000원
        6.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완숙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냉동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초기에 비하여 과실을 저장 할수록 산도는 감소하였고, 가용성고형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L, a값이 35.63, 6.74 value로 전체적으로 밝은 붉은 빛을 가졌지만, 냉동 저장되어지면서 28.56, 4.13 value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짐에 따라 점차 어두워지고 붉은 빛은 감소하였다. 비타민 C
        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15개 지역에서 수집된 227 클론으로 조성된 클론보존원에서 선발을 통해 육성된 새로운 대립 다수확성 복분자 딸기 품종 '두륜'은 평균 개체와 비교하여 줄기의 가시가 적고, 잎의 상면 광택이 강하며 크기가 큰 검은색의 과실 특성을 갖는다. 1998년부터 개화 결실 특성 조사를 실시하여 2001년 17개 클론이 2차 선발되었으며 이들 17개 클론에 대한 지역적응성 및 안정성 검정을 통해 최종 육성된 신품종 '두륜'은 결실지당 개화 수에서 17.2개,
        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통상적으로 식물의 열매, 잎, 뿌리 등의 추출물이 가지는 다양한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점차 천연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딸기로부터 얻은 4종(미숙과, 완숙과, 잎/줄기,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의 각기 다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비교하였다. 복분자 딸기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에 대한 몇몇의 보고가 있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복분자 추출물의 화장품적 효능·효과를 비교한 결과,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에 있어, 미숙과부위의 추출물이 다른 부위의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복분자 딸기의 미숙과는 완숙과나 잎/줄기, 뿌리보다 화장품 원료로 더 높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