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ultruded fiber reinforced polymer plastic (PFRP) structural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mposite member in construction. In generally, PFRP members is composed of plate elements so that it needs to evaluate stability problems when they are used by construction members. On the other hand, creep effect may be occurred in PFRP members under sustained load. Primary to experiment for PFRP creep, previous works are studied. In the previous work related to buckling of PFRP member, it can be calculated buckling strength of PFRP members when it is known that material property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of PFRP members. The researches for creep behavior of PFRP has been conducted and time-dependent degradation elastic moduls can be predicted by the empirical equation. In this study, it will be conducted creep test for PFRP and time-dependent stress-strain relationship will be plotted. It is expected that long-term buckling behavior of PFRP is evaluated by theoretical and numerical method such as finite element method.
        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performance-cost ratio of composite(GFRP) wind-towers by fiber reinforcement angle and determines their optimal fiber angle. The finite element models for composite structures using the ANSYS program described in this paper is attractive not only because it shows excellent accuracy in analysis but also it shows the effect of the geometrical combination. New results reported in this paper are focused on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cost for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icknesses of outer shells and stiffeners. From the numerical examples, optimal fiber angles were determined as 80°∼90°.
        4,000원
        3.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crete and steel has been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structure from building and drainage pipe. However, many problems such as corrosion and rupture had occurred in the Water Supply and the Sewer System. Additionally, the government has invested big budget to Deteriorated pip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Replacement of existing pipelin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GFRP pipe(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ipes) is aspiring to replace the tube. GFRP has high strength, restore performance, durable and lightweight properties. However, high strength GFRP pipe is weak in buckling problem. This study is to analysis Optimization Design models for resisting bucking problem of GFRP pipes. Thus, various tests Changed the angle of Glass-Fiber-Reinforced Layer and the resin content of resin-mortar were performed for GFRP pipes to estimat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GFRP in this study. Buckling analysis of composite structures under external uniform pressure was performed wit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est.
        3,000원
        4.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the fiber reinforced lean concrete with respect to different types of fibers. METHODS: Increased vehicle weight and other causes from the exposed conditions have accelerated the deteriorations of road pavement. A new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recently in order to extend service life and upgrade the pavement. A variety of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hardening of the concrete. RESUL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fibers did not a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This might be due to the inherent property of the lean concrete. When steel fibers were used relatively greate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fracture toughness were developed. Also addition of fly ash by replacing a part of Portland cement the fracture toughness was slightly increased. CONCLUSIONS: It has been known that the addition of fibers and use of mineral admixture can be positively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as its required mechanical performance is obtained.
        4,000원
        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리단섬유로 보강된 분사식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인장거동 평가를 위한 실험 및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변형율속도(strain rate)에 따른 에폭시수지 및 분사식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사식 섬유보강 복합재료는 15mm 길이로 절단된 유리단섬유가 25% 부피비율로 혼입된 보수·보강용 재 료이다. 에폭시수지의 점탄성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역산모델링(inverse simulation)을 수행하여 변형율속도에 따른 점성변화 를 함수식으로 제안하였다. 역산모델링을 통해 제안된 함수식을 미세역학 기반의 점탄성 손상모델(micromechanics-based viscoelastic damage model; Yang et al., 2012)에 적용하여 분사식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인장거동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분사식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인장거동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미세역학 기반의 점탄성 손상모델의 정확성을 검증 하였다.
        4,000원
        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섬유가 보강된 직교 이방성 복합재료의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응력을 조사하였다. 직교 이방성 복합 재료의 제작 과정은 경화 과정과 냉각 과정으로 나누어 지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응력을 3차원 경계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모재는 선형 점탄성 거동을 한다고 가정하고, 종속 영역법을 도입하여 해석 모델을 섬유 영역과 모재 영역으로 나누었다. PATRAN을 사용하여 모재에서의 잔류 응력 분포를 도시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검토하여 잔류 응력이 국부적으로 모재의 항복을 야기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000원
        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탄성 섬유와 점탄성 기지로 구성된 2차원의 단일방향 복합재료가 높은 제작온도로 부터 실온으로 냉각될때 섬유와 기지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특이 열응력을 조사하고 있다. 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잔류 열응력의 특성을 조사하는데 시간영역 경계요소법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에 의하면, 계면응력들은 자유경계면 근처에 이르러 급속히 커지는데, 이러한 특이 잔류응력들은 자유경계면 가까이에서 국부 항복을 일으키거나 섬유와 기지의 결합분리를 야기시킬수 있다.
        4,000원
        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무기계 결합재 비율에 따른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무기계 분말 재료를 시멘트의 30 % 대체 혼입할 경우,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인장변형성능은 각각 93.2 MPa, 6.71 MPa, 및 7.65 %로 나타났다. 이는 시멘트만 사용한 복합재료보다 인장변형성능이 약 2.2배 향상된 결과이다.
        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단일 활성화제로 활성화시킨 슬래그 기반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초기재령에서 인장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활성화제 종류에 따라 재령 7일에서 균열강도, 인장강도, 인장변형성능에 차이가 있었으며, 규산나트륨을 활성화제로 사용한 배합이 가장 큰 인장변형성능을 나타내었다.
        10.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소섬유는 경량이면서 높은 기계적 특성 때문에 우주항공, 선박, 자동차, 토목 및 건축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그 어느 때 보다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혼입률 및 섬유길이 변화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시멘트 복합재료( CFRC)의 역학적 특성과 휨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자연 낙하시험에 의한 모르타르 시편에 대한 내충격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더불어, 탄소섬유(CF)의 혼입률은 0.5%, 1.0%, 2.0% 및 3.0%로 변화를 주었으며, 각각의 섬유길이는 6 mm와 12 mm를 사용 하였다. 실험결과, 플로우 값은 탄소섬유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유동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였으며, 단위용적질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압축강도는 탄소섬유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반면 휨 강도는 섬유 길이가 12 mm이고 2% 혼입한 것이 가장 높은 휨 강도를 보였다. 내충격성 시험결과, 보통 모르타르 시편은 완전파괴까지의 낙하횟수가 2∼3회 정도 걸리지만 반면 CFRC 시편은 섬유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섬유길이가 12 mm이고 섬유혼입량 2% 인 경우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1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유보강 시멘트계 복합재료 (이하 FRCC)는 균열 폭의 제어 등의 역학적인 효과뿐 아니라 철근방식에도 효과가 있는 것이 기존의 문헌으로부터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연섬유를 포함한 각종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철근의 방식효과를 부식 촉진 실험에 의해 검토했다. 더욱이 방식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염분침투, 희생양극 효과, 전기회로 형성에 주목하여, 각각의 요인에 있어서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금속섬유를 혼입한 FRCC의 방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희생 양극효과가 높은 아연섬유의 경우, 염분침투 억제 효과가 뛰어나 내부식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s aims at determining mechanical properties of pva fibers reinforced cement composite with recycled materials to overcome problems of plain concrete. The cement composites were evaluated using different ratio of recycled materials
        1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influence of recycled materials on the flowability of steel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For the FRCC, fly-ash and recycled sand were used as recycled materials. The recycled materials were mixed with replacement ratios of 25% and 50%. As reinforcing fiber for the FRCC, micro steel fibers were used. Based on the test results, flowability of FRCC was improved when fly-ash was replaced. Increase of recycled sand had FRCCs exhibited lower flowability.
        1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rix strength on the direct tensile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PHFRCCs) at high strain rates. 3 different type matrixes were used (56 MPa, 81 MPa and 180 MPa). And macro fiber was long hooked fiber (H, =0.3 mm,=30 mm) and micro fiber was short smooth fiber (S, =0.2 mm,  =13 mm). The volume content of macro fibers was 1.0% and the volume content of micro fibers was 1.0%. The high matrix strength clearly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peak toughness of HPHFRCCs even at high strain rates (74 ~ 161 /sec).
        1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steel fiber types on the self-sensing capacity of strain-hardening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SH-SFRCs) was investigated. Three types of fiber, including twisted, smooth and hooked fibers, were used with a volume content of 1.5% in a mortar matrix. Although all the SH-SFRCs exhibited self damage-sensing capacity, the gauge factor, representing for damage-sens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fiber as follows: twisted (138.09) > smooth (99.85) > hooked (88.50). The SH-SFRC with twisted fiber produced the highest gauge factor which is very favorable for development of self damage-sensor.
        17.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와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합성 섬유는 고연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 역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고연성을 구현하는 목적보다는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화 성능 향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보강된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5가지 배합을 결정하였다.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 (OPC)와 OPC를 다량 치환한 플라이애시를 결합재로 사용하였고 물-결합재 비는 0.23~0.25이다. 또한 부피비로 2%의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사용되었으며, 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폴리스틸렌 비드가 사용되었다. 슬럼프, 밀도, 압축강도, 1축 인장 실험을 포함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파괴역학, 마이크로역학, 통계이론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PFRCC)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steel fiber were investigated namely as twisted fiber, hooked fiber, smooth fiber (0.2 mm) and smooth fiber (0.3 mm).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HPFRCC changes with type and diameter of steel fiber.
        19.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와 구조용 합성섬유의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폴리프로필렌섬유는 0.10%, 0.15% 및 0.20%의 체적비로 적용하여 dog-bone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조용 합성섬유와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사이의 부착강도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0.20% 이상이 되면 감소하였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섬유의 첨가는 계면인성과 마찰저항을 증가시킨다. 인발시험 후 구조용 합성섬유 표면의 미소구조 분석은 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긁힘 현상이 증가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