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a synthetic resine based net-hose system to sustain vegetated embankment slope reinforcement. The net-hose system is designated to improve water supply to the vegetation that can suffer the lack of water in case of extreme drying condition or rock slope where water supply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ensure the growth of vegetation.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structural adequacy and effectiveness of net-hose syst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lope equipped with net-hose system seemed to provide better water supply resulting in more vegetated areas and higher matric suction due to active water uptake capacity, which might be contributed to greater shear strength of slope surface. A limited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water uptake on vegetated root system that generally yields better slope stability.
        4,000원
        2.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net-hose system to sustain a vegetated slope reinforcement. The net-hose system is designated to improve water supply to the vegetation that can suffer the lack of water in case of extreme drying condition or rock slope where the water supply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ensure the growth of vegetation. A series of laboratoy test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structural adequacy and effectiveness of net-hose net hose syst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lope equipped with net-hose system seemed to provide better water supply leading to more vegetated areas and higher matric suction due to active water uptake capacity, which might be contributed to greater shear strength of slope surface. A limited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water uptake of vegetated root system that generally yields better slope stability.
        3,000원
        3.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차량방호울타리 성능시험조건과 도로설치조건이 달라 대형교통사고 유발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어 2012년 11월에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국토교통부, 2012)이 개정되었다. 성능시험조건이 기존 평지부에서 성토부로 변경되었고 성토부에 설치되는 연성 차량방호울타리는 지주의 수평지지력(현장지지력)이 측정되어야하며 그 값이 실물충돌시험장에서 확인된 수평지지력의 9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 지주지지력이 시험장 지주지지력의 90% 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주의 매입깊이 증대나 다른 보강방안을 적용하여 90%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MART Highway N등급(지 침 SB3-B)과 H1등급(지침 SB5-B) 지주의 성토부 수평지지력이 평지부의 90% 이상이 나타나게 하는 지주 보강방안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그림 1과 같은 다양한 지주 보강방안에 대하여 지주 수평지지력 시험을 수행하였고 다양한 보강방안에 대한 지주 횡방향 힘-변위 관계가 그림 2에 나타나있다. 흙의 저항체적을 증가시키는 그림 1(b)와 Bracing을 설치하는 그림 1(c)와 같은 보강방안이 시험장 지주지지력의 90% 이상이 되게 하는 보강방안으로 조사되었다.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persion of air pollution in complex situations such as the cases of the filled road is a significant problem for the public safety and living quality.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helps to build the model calcula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assess its accuracy, this study used the Realizable k-ε model, the RNG k-ε model, and the Shear-Stress Transport k-ω turbulence model in FLUENT CFD cod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wind tunnel experiments. The Realizable k-ε turbulence model provided the best prediction for the surface concentration and concentration profiles of selected downwind positions of the filled road. It was found that a noise barrier, which positioned on the filled road, increases the vertic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larger 1.75~1.92 times and decrease the horizontal impact distance lower 0.46~0.54 times than those of no barrier case. It was also found that two or three noise barriers increase 1.63~1.79 times the vertic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It contributes the decrease of horizont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0.49~0.63 times compare with no barrier case.
        4,0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로 공사나 토지 공사에서 대규모 절성토 개발 시 설계되는 토량이동계획에서 호수나 습지와 같이 이동불가능한 제척지를 고려해 최적 토량이동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대규모 절성토 내 토량의 이동계획 수립은 운반단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토량이동계획을 수립해야한다.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토량이동 최적화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이동불가능한 제척지에 대한 영역을 고려한 토량이동 최적화에 대한 연구와 시스템 구현은 없었다. 대부분의 경우는 설계자가 제척지를 고려해 수작업으로 토량이동경로를 조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은 먼저 제척지 영역을 평면다각형 위상정보로 변환한 후 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여러 가시점 경로를 계산한다. 이 경로에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토량이동 최적화를 위한 최소비용 경로를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 토량이동 설계시스템을 실현함으로써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4,000원
        10.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in case of constructing the embankments on the soft clay layers,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under the assumption of a middle position stress in a single layer makes a great difference with the integral value, ie. the final settlement. Consequently, to find how many equal segments of the soft clay layer are needed to converge into the integral value and which position should be taken as a position of mean stress, authors compared the theoretical value of the settlement due to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with the practical value of the settlement due to two dimensional consolidation.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actical value of the two-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can be estimated by the 74-83% theoretical value of the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2) When the soft clay layer was cut into 8-16 equal segments according to the depth,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converge into the integral value. 3) Assuming a total soft clay layer as a single one, the depth of a mean stress position is 0.29-0.37 of the thickness of the total soft clay layer. 4) The Hyperbola Method which presumes the long-term settlement from the short-term practical value of settlement is credible, because all practical value of the settlement are in safe side of the standard error of estimatio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up to 0.95.
        4,200원
        1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드레일은 방호울타리의 한 종류로 차량이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나 도로 외부 또는 대항차로,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도로 줄이고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도로 내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정상 주행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일반적으로 무한평지(경사시작점에서 60cm이상)에서의 지반 지지력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현장시공에 적용한다. 하지만 도로설계규정에 의해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보호길어깨(경사시작점에서 50cm)에 설치되어 무한평지 지반 지지력을 확보하기가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가드레일의 지지력 저하 및 방호울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저하로 가드레일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토사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차량 충돌 시 가드레일 및 주변 성토사면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드레일 지주의 매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성토사면의 변위와 응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0mm 깊이에서 지반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지반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토제체의 자중을 가볍게 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다공성의 바텀애시를 골재로 활용한 모르타르 슬러리 내부에 기포를 혼합한 경량성토공법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경량성토층을 연약지반의 상부에 적용하였을 때 지반거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모형시험기를 제작하였으며, 단계적으로 하중을 증가시켜 지반의 거동과 변형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약지반 현장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표층고화공법과 침하량, 지반융기량, 한계하중값을 비교함으로써 개발한 기술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모형시험을 통한 관측결과, 타 연약지반처리공법과 달리 본 성토는 강도가 높아 지반변형 크기는 작은 반면 지반변형의 영역은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중-침하량과 융기량이 기존 표층고화공법에 비해 작게 나타나고 있어 연약지반 활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