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se is defined as ‘unwanted sound’ or ‘undesired sound’. Recently, the avia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through convergence with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UAM.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new aviation industry models will continue to be created in Kore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ircraft noise will be raised as a new social problem. The characteristic of aircraft noise is that it has a wide transmission range. Therefore, the area affected by aircraft noise is extensive, and the damage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flight path and flight environment. Additionally, it tends to occur continuously in certain areas.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studies Study on 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C172 aircraft at Muan Airport and Study on 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R20, and investigated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iston engine trainer aircraft operated in Korea. We want to measure and analyze noise.
정온한 생활환경의 보전과 국민 건강의 보호를 위해 소음에 대한 환경기준을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라 일반지역과 도로변지역으로 구 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중 도로변지역에 있는 주거지역은 주간시간대 65 dBA, 야간시간대 55 dB 이하로 환경소음을 관리하여야 한 다. 그러나, 심화된 도시화에 따라 주거건축물의 밀도는 보다 높아지고, 도심 내 간선도로의 고속화로 주거지역에 대한 도로소음의 영 향이 증가되어가고 있다. 소음진동관리법에서는 방음시설의 설치 등의 조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벽, 방음터널 등 다 양한 방음시설이 소음저감 대책으로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이 노면에서의 흡음에 따른 타 이어-노면 간의 마찰소음 저감 효과를 바탕으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음대책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이 일반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환경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타이어-노 면 간의 마찰소음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CPX 측정방법이 KS I ISO 11819-2로 표준화되어 국토부의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 트 포장 생산 및 시공지침’ 중 소음 측정방법에도 인용되어 있다. 하지만, CPX 방법은 정속 주행시 환경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근접 소음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포장 종류나 경년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차이를 정량화하는 것은 유리하지만, 환경기준에 따른 소음저 감도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CPX 측정방법으로 도출한 포장구간별 소음저감량과 환경 소음 평가의 기준이 되는 갓길에서 측정한 등가소음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환경소음 관리 및 도로소음 평가를 위한 CPX 측정결 과의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main problem of airport noise is the impact of aircraft noise on the residents around the airpor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oise situation of a certain airport in South Korea, this article selects Muan Airport as the research project, selects five measurement points near the airport, takes aircraft takeoff as an example, measures the maximum noise level of each measurement point during each take off, and uses the American Airport Noise Prediction Software (AEDT 3C) to predict the noise of a single aircraft during take off, Calculate the contour area and sound exposure level data for four aircraft mod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maximum noise level error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s and the simulation results is within 2dB, and the maximum noise level ranges from 65.1 to 88.1 decibels with the measurement range.
In the case of the companies selected for noise measurement in this study, even though noise exposure in the workplace begins with noise management for large machines or high-output machines, they only manage to write reports on how much workers are exposed to noise for 8 hours a day. is focused on. When large machines are delivered, little information on noise received from the manufacturer is kept, and noise information indicated on design drawings is also difficult to find. History management of noise information of large machines is necessary. There is also a problem with the professionalism of managers who manage noise information. Like odors and fine dust, it is judged that noise needs to be managed by a professional manager at the workplace and managed through a database of noise information.
Noise is a sound that people don't want. In this study, noise is measured for SR20, a general aviation trainer used in Korea. In addition, noise measurement points are selected at Muan Airport, where most of the domestic trainers f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easured data are analyzed based on this. We also want to analyze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SR20 aircraft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SR20 aircraft are unique. We want to use this to understand what type of noise the trainer affects in future studies. this study will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noise prediction scenario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when using the noise prediction program.
Noise is a sound that humans do not want. In this study, noise is measured for C172, the most frequently used general aviation trainer in Korea and abroad. In addition, in this study, noise measurement points are selected for Muan Airport, where most of the domestic training aircraft f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ased on this, the measured data is scaled and analyzed. In addition, we intend to analyze what characteristics C172 aircraft have unique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noise of C172.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what type of noise training aircraft affect in future studies.
통상적으로 직업소음에 의한 청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8시간 동안 85 dBA 이상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습선박에서 7종류의 담당업무별 작업자들의 소음노출레벨을 측정하였다. 항해 중, 24시간 동안 작업자의 위치하는 A특성등가소음레벨(LAeq,i)과 소음장소의 지속기간(h) 및 소음기여도(Lex,24h,i)를 고려한 소음노출레벨(Lex,24h)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갑판사관 그룹 Lex,24h=56.1 dB, 갑판부원 그룹은 Lex,24h=58.9 dB, 실습항해사들은 Lex,24h=62.0 dB, 취사부원들은 Lex,24h=64.3 dB, 실습기관사그룹 은 Lex,24h=91.1 dB, 기관사관 그룹은 Lex,24h=91.1 dB, 그리고 기관부원 그룹은 Lex,24h=95.1 dB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기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사들, 기관부원들 그리고 기관실습생들은 반드시 청력보호구를 착용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소음이 심한 기관실에서 청력보호구를 착용한다면 기관사관그룹은 Lex,24h=23.1 dB, 기관부원그룹은 Lex,24h=24.4 dB 그리고 기관실습생들은 Lex,24h=21.5 dB의 소음노출레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실습생들의 거주구역인 제2 강의실 겸 식당구역에 바닥시공을 64 mm, A-60-class 뜬바닥 구조로 개선했다면 실습항해사들의 소음노출도는 Lex,24h=4.3 dB, 실습기관사들은 Lex,24h=1.8 dB 정도 추가적인 감소가 있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noise measurement method of noise sources and the corresponding noise reduction measures during each manufacturing process closest to the workers in the large and hige power machine. To this end, the noise generated in the large and high power machine was measured and analyzed,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noise sources and the causes of noise were identified. The noise map was used to predict the noise reduction effect.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human risks caused by the noise of the large and high power machine.
The study on the tire noise due to the On-Board Sound Intensity test method. The object of this project is to prepare the countermeasure of the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collect tire/road noise data under various influencing factors by using On-Board Sound Intensity test method. To accomplish the object ; A automotive is used as a test platform to test tire/road noise by changing different types of tires and using On-Board Sound Intensity test system. The influence of inflation pressure, road, load, speed and pattern type on tire/road noise is compared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the mechanism of tire/road noise is analyzed, which provides a experimental basis for tire noise reduction.
Cooling tower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in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living space. At operating the cooling towers, motor, fan and dropping water produce noise and vibration, which diffuse through the air or the solid object, polluting the environment. The standards can be used at estimating noise and vibration emission by showing remarkable economic or social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vibration and noise measurement and influence evaluation between cooling towers and semiconductor equipment.
Quiet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improving quality of living and rest. For example, noisy neighbors degrade quality of sleeping of residents. Due to emphasis on energy saving of buildings, more insulation and tighter sealing is applied for windows, doors, and walls of new buildings. As results, not only energy dissipation of new building is reduced, but also interior of new buildings have become significantly quieter. However, sound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is relatively worse, when compared to that of recent buildings. As elapse of time, gap between bricks or concrete of building and sealing grows larger, worsening of sound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s is unavoidable. To provide quiet room for quality control of products or other purposes in noisy environment, indoor noise chamber is required in practice. In present work, sound transmission through indoor noise chamber is measured using different noise sources. For the worst case, noise source and sound transmission of door slam noise is shown.
Cooling tower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in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living space. At operating the cooling towers, motor, fan and dropping water produce noise and vibration, which diffuse through the air or the solid object, polluting the environment. The standards can be used at estimating noise and vibration emission by showing remarkable economic or social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cooling tower.
2000년대 이후,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한 시민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주거지내 교통 소음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최근 발표된 서울시 정책 리포트에 의하면, 서울시민의 33.6%가 소음을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소음 민원도 2006년 대비 2011년 에 1.8배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주거지내 소음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이어져 주거지역내 방음벽 설치, 소음 지도 작성 및 관리, 상시 소음 측정, 기타 새로운 소음 저감 기술 개발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기본적인 소음 관리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지역 별 밤과 낮 소음 규제 기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국가 소음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국가소음정보시 스템을 구축 및 운영을 하고 있다. 세부 지역에서의 소음 관리는 대부분 방음벽 설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음벽으로 인한 부작용 등이 있어 새로운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세부 지역에서의 소음 관리 를 하기 위해서는 실제 도로 환경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음 발생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 및 모델 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도로 소음에 대한 모델은 일 반적으로 유럽이나 일본의 소음 예측식을 기반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소음 예측을 위한 구체적인 입력 조 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예측 프로그램 사용자에 따라 다른 경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모 델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도로를 대상으로 측정된 다양한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음 발 생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내 교통 조건 변화에 따른 소음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로변의 수음원 에서 측정하는 Pass-by 방식을 사용하여 소음을 계측하였다. 소음 계측은 일반 국도상 2차선 주행차로 중앙으로부터 수평 이격 거리 5m, 7.5m. 15m 지점, 노면으로부터 수직거리 1.2m 높이에서 측정하였으 며, 변화하는 교통 조건을 상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매설형 교통량 검지기 및 영상을 취득하였다. 차량의 주행 패턴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관찰하기 위해서 소음 측정시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대표적 인 주행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이 때 발생되는 음압의 변화 및 주파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음 분석시 취득된 교통 조건은 차량 속도 50~100 Km/h, 주행 차종은 1종~6종까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통 조건에 따른 소음 측정 및 분석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는 일부 국한된 도로 조건하에서의 결과로 일 반화시킬 수 없지만, 향후 다양한 지역(포장 형식, 구배 등)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소음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면 소음 모델의 현장 검증 및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