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dentifies Kim Jihaye and Lee Jeanyoun as actor-networks with cultural values and meanings. It analyzes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ir works into Korean orientalism via an action of co-construction with formative techniques. First, the historical context of orientalism formed in the fashion world will be studied, followed b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ientalis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orientalism of these designers on the world stage influenced by the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n tradition since the 1980s. Next, works of Kim Jihaye and Lee Jeanyoun from 2000 to 2012 will be analyzed, revealing aspects of Korean image reprodu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finds that the Korean image is restructured socio-culturally through technological imagery as a reproduction of reality by the production subject.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reflective and cultural meaning of fashion designers in the area of image reproduction, sociocultural practice, and materials and technology.
본고는 18세기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신고전주의, 그리고 낭만주의로의 진행에 근거하여 당시에 나타났던 사조들 중 하나인 네오르네상스란 개념이 원래는 건축적, 회화적으로 독일에서 먼저 사용되었으며 이후 이탈리아가 동일한 진행을 따르고 있음을 밝힌다. 나아가 19세기 유럽 예술계에서 다소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던 이탈리아의 19세기 대표 화가로 프란체스코 아예즈를 주목하고 이 화가의 작품을 통해 당시 이탈리아의 낭만주의 미술이 고전에 상당히 근거하고 있으나 전유럽 공통의 낭만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띄고 있음을 밝히는데 의의를 둔다. 또한 아예즈의 회화가, 니체가 구분한 세 종류의 역사 중에서 가장 건강하고 발전적인 성향인 ‘비판적 역사’의 방향을 따르고 있음에 주목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ositional tendency of Cheng Mook Kim, who is one of the outstanding composers in Korea. He has been writing a lot of works in various genres. His early works are influenced by twelve-tone technique of Schoenberg and by proportional structure of Bartok. Earlier, they are based often on pentatonic scale and harmony. Later he used frequently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in choice of instrument and titles. He has tried to combine the Western musical techniques and Korean emotions in the Eastern manner. This paper approached his works with music poetics, which become significant again in twentieth-century music. The interpretation of composer himself expands the perception of the `difficult` contemporary music.
Kim Whan-ki is an unusual instance in Korean modern artists, who payed attention to emotional and expressive effects of colors. The color of Whan-ki’s paintings have been recognized as linked with ‘blue’ in spite that he used colors within the category of ‘Colors of Five Directions(五方色)’, which are traditional oriental colors composed of red, blue, yellow, white, green and black. Kim Whan-ki unearthed upon similarity of Five Directions Colors to the three(five) primary colors which modern abstract painter like Mondrian layed down. Whan-ki switched the five directions colors to modern ones. Kim Whan-ki’s dot painting in which pure and watery color is sucked in ground is modernistic adaptation from ink painting. He packs a dot with sky and earth, moon and stars, forest and tree, birds and flowers, friends at his hometown, wind, sound and so on. Putting tens of thousands of these shapes and colors into a dot is modernistic version from ink painting. In that point there is a possibility to say that ‘dark blue’ of the dot painting is ‘Hyun-saec(玄色)’. Eventually we can make sure that Kim Whan-ki’s view of Art originated in oriental philosophy and beauty.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lements of contemporary garden design reflecting the spirit of Kim Chong-Young, a pioneer of contemporary Korean art, and his art work by reinterpreting the garden in Kim Chong-Young’s birthplace. The study focuses on analysis of his art work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lants and them,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garde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Kim Chong-Young’s art works, followed by the process of garden design which examines each element of garden. The components of spatial composition have been reinterpreted into visual, auditory, olfactory elements and humanities, which proves their values to be considered in the garden design.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garden which applies internal and external form of Kim Chong-Young’s art works to the plants reflecting symbol, humanities, philosophy and the spirit of Seonbi.
이 글은 孤臺 鄭慶雲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이다. 고대는 孤臺日錄이라 는 비교적 많은 양의 일기를 남기고 있으나, 정작 그의 시문을 수록한 문집 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가 남긴 시문으로 전하는 것이 거의 없다. 그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시문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까닭은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남긴 고대일록과 그의 주변의 인물들, 특히 사우관계에 있 던 사람들의 문집을 살펴보면, 그의 시문학에 대한 정보를 제법 얻을 수 있 다. 우선 고대일록을 보면 그가 생활 속에서 시문을 일상화하였던 자취를 엿볼 수 있으며, 일부 시를 볼 수 있고, 특히 많은 문장을 접할 수 있다. 그리 고 시는 그의 스승인 鄭仁弘의 문집에 여러 작품이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대의 시는 스승의 학덕과 행실을 읊은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 가운데에 는 벗과 주고 받은 시, 벗을 만나 그 감회를 읊은 시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특 히 스승을 읊은 시는 현실(소인), 스승, 국왕이라는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시의 구조에는 그의 시의 지향이 담겨 있다. 고대는 이러한 시들을 통하여 그가 추구하는 정치적 이상을 표출하였다. 산문은 알려진 것으로 感樹齋 朴汝樑에 대한 제문 1편에 지나지 않았으나, 고대일록에는 완전한 산문으로 전하는 것만도 11편이 있고, 산문으로 볼 수 있는 글들이 여러 편 남아 있다. 그는 산문을 지음에 후대에 남기려고 하 는 저술의식을 뚜렷이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문 가운데에서는 시에서 보다도 더 강력하게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고 있다. 그는 특히 절개를 지키는 일에 중점을 두어 의도적으로 글을 지었는데, 바 로 「牡丹側柏說」과 「硯子說」이 그것이다. 모란 측백은 모란과 측백을 의인 화하여 대화체를 통하여 모란의 화려함보다는 측백의 절조가 중시되어야 함 을 이야기하였고, 「연자설」은 벼루에 새겨진 소무의 일을 통하여 절조를 강 조하고 조정에 이런 사람이 등용되어야 한다는 소망을 피력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화훼장식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화훼 중에서 다화 소재로 적합한 소재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작품 분석을 통해서 현대의 차(茶)문화 공간에 어울릴 수 있는 다화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대구세계차문화축제의 주요 행사로서 다양한 차 문화 공간 연출을 위한 찻자리의 꽃인 다화 경연대회가 실시되었는데 대회 시 사용되어진 다화 소재와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다화 소재로 선정되어진 화훼는 능수조팝나무,금사매,정금나무의 절지류와 국화, 장미, 산수국, 유스토마, 과꽃, 섬바디, 솔리다스터, 안개초의 절화류, 고사리, 루스쿠스의 절엽류가 사용되었다. 특히 선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소재는 능수조팝나무이었고 꽃은 과거 차 문화 공간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졌던 국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현대의 차 문화 공간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꽃의 표정이 차 문화 공간의 분위기와 잘 맞아야 된다.
남명 조식은 자신에 대해서는 실천적 행실을 무엇보다 강조하였고, 대물에 대 한 관점은 실용적 측면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삶의 태도는 그의 문학에 대한 태 도에 있어서도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데, 그는 문학을 대하여 서도 실용성을 매우 강조하였다. 그는 젊었을 적에 한 때 문학으로 이름을 드러내기도 하였으나, 성인의 학문 을 자신이 공부할 목표로 정한 뒤로부터는 문학을 멀리하였다. 그는 스스로 시 는 완물상지하기 쉬우므로 배워서는 안 된다고 하였고, 그의 제자 정인홍에 따 르면 그는 항상 시황계를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남명이 이처럼 시를 배격하였다면 그의 문집에 시가 있을 수가 없을 것이지 만, 그의 문집에는 많은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시 벽이 있어 시를 짓지 않고는 견딜 수가 없다고 하였다. 남명은 결국 시를 멀리 하면서도 시를 짓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물론 시흥이 나서 어쩔 수 없이 지은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바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시를 지었던 것이 다. 특히 문장의 경우에는 이른바 문예문에 속하는 글도 전혀 없지는 않으나, 많은 작품들이 실용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처럼 실용성에 근거하는 남명의 문학관은 작품 속에서 대략 세 가지 정도로 드러나 있음을 볼 수 있다. 첫째는 본성이나 바탕과 같은 근본을 중시하는 것이다. 그는 「원천부」에서 온 갖 이치가 모두 본성에 갖추어져 있다고 하였는데, 작품을 지음에 있어서도 이 러한 생각은 그대로 드러나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는 현실과 일상과 같은 현재를 중시하는 것이다. 그가 「을묘사직소」와 「무 진봉사」에서 드러낸 것과 같이 작품 속에서 현실과 일상을 중시하는 생각은 다른 산문에서 뿐만 아니라, 몇몇 시 속에서도 이러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는 사실을 중시하고 허명을 싫어하는 것이다. 그가 사실을 중시하였던 점 은 그의 작품 속에서 그가 스스로 여러 차례 말한 바 있다. 특히 묘문을 지으면 서 그는 고인에게 아첨하지 않겠다고 하였으며, 훌륭한 학자라는 빈 이름으로 세상을 속인다는 생각을 여러 작품 속에서 밝힌 바 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남명의 문학작품 속에는 그가 문학을 멀리하면서도 왜 작품을 짓지 안 되었는가 하는 사실과 문학작품을 지음에 있어서 무엇을 강 조하였는가, 그리고 문학작품 속에 드러난 것을 통해서 그가 무엇을 중시하였 는가를 살필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것이 결론적으로 그의 실용주의적 생각과 맞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