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preference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and visitors in designing a rural community garden. It analyzed diverse aspects of a garden design including garden’s function, location, management subject, components and so 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r visitors participants with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residents and visitors highly preferred a rural community garden as a role of relaxation, appreciation, and healing. Meanwhile, there were differences of preference for location and garden components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The results implicated that residents’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are essential in designing a rural community garden, which will lead to sustainable garden construction.
연구는 치유정원으로서의 선호도와 치유감을 분석하기 위해 ‘힐링’을 주제로 전시한 정원을 사례로 하여 작가와 이용자의 설계 언어의 차이점에 대한 정리와 함께 개별 작품과 유형별에 따른 선 호도와 치유감의 상관관계, 남녀 간의 차이, 유년시절에 따른 차이 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선호도와 치유감의 상관관계를 입 증할 수 있다. 선호도가 높은 경우 대부분 치유감도 높게 나타났다. 개별 작품과 주제별 유형화의 경우 둘 다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선호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치유감은 여성은 초화, 색깔에 더욱 반응하고, 남성은 자연/야생, 놀이의 정원에 대 해 반응하였다. 세째, 유년시절의 경험에 대해서는 농촌과 도시에 서의 차이에서 농촌출신이 선호도와 치유감에서 ‘전통’에 대해 더 욱 크게 반응하였다. 넷째, 작가와 이용자의 설계언어는 ‘자연/야 생’, ‘휴식’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작가의 ‘놀이/ 동적’에 비해 이용자들은 ‘정적/ 편안함’을 더욱 원하고 있었다. 현 재 우후죽순으로 치유정원의 이름을 달고 조성되고 있는 정원은 점 점 많아지고 있다. 치유정원을 주제로 조성한 실제의 사례에 대해 선호도와 치유감의 정도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차후의 설계를 하 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의 이용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호텔 옥상정원이 조성된 3곳을 선정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향후, 리노베이션 계획에 있어 필요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분석결과, 녹지공간의 수목량과 수종종류에 있어 도심지에 위치한 C, P호텔은 인천 H호텔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물에 있어 파고라, 벤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휴게시설물에 대한 보완 및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에 있어 시설물 청결성에서 도심부에 위치한 C, P호텔의 만족도가 낮아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 선호도 분석결과,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문화체험, 운동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녹색공간 조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마공간의 유형에 있어 유채, 튤립, 장미, 코스모스, 매화를 테마종으로 사계절 색이 화려하고 장식적인 공간 연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 벤치, 파고라에 대한 휴게시설의 추가적 요구도가 높아서 옥상정원이 갖는 휴식기능의 주요목적과 연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만족도, 선호도에 기초하여 향후, 옥상정원의 조성이나 리노베이션시 적용가능한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호텔 옥상정원 내 적용가능한 테마, 문화체험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장식적이면서도 녹색 휴게의 장으로서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파트 베란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실내정원 도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및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기 원하는 응답자는 83.7%로 나타났으며 실내정원 도입목적으로 “공기정화”, “취미활동”, “이미지 제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 “스트레스 해소”, “자녀들의 자연학습에 도움” 순으로 응답되었다. 둘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 도입유형은 “휴식형”보다 “감상형”을, 설치유형은 “정원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실내정원의 이미지는 “동양식 풍경”으로 “친근한 이미지”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넷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의 도입소재는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래종보다 “자생식물”을, 식물의 종류 중 “관엽식물”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플랜터 및 마감재료는 “목재”를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의 조성비용은 “100만원”을, 관리형식은 “직접관리”를 선호하였으며 연간 위탁관리비용이 “20만원”이면 위탁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여섯째, 응답자중 87.8%가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이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는 것은 공기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할 필요성이 매우 높으며 목재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만들고 우리나라 자생식물중 관엽식물을 위주로 정원형으로 구성하되 동양식풍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도입방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와 시각적 선호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백화점 중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인과 학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별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조사 결과 대상지의 진입공간은 옥상정원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출입문에서 정원을 바로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시설물이나 식재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백화점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의 특성상 바닥 마감은 화강석과 데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심공간은 옥상정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이용자의 활동도 많은 공간으로 주로 수경시설 및 휴게시설, 공간 장식요소 등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목의 식재는 플랜터를 활용한 주제목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하부식생은 잔디를 도입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주고 있었다. 경계공간은 건물의 시설물을 차폐하고 주변 경관의 시각적 저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주로 수직적 형태의 수목이 많이 식재되었다. 시설물로는 휀스의 설치가 두드러졌다. 백화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옥상의 이벤트공간은 공연과 전시, 음악, 패션쇼 등을 진행하기 위한 무대와 공간 장식요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존으로 구분된다. 무대로 조성된 경우는 목재 데크가 주로 사용되었고 무대의 배경을 위한 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 선호도 분석 결과, 다양한 시설물의 도입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시각적 개방감이 우수한 신세계백화점 죽전점(case 10)이 7.7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건물의 시설물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다양한 활동 공간의 부재를 나타내는 삼성플라자(case9)가 5.39점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공간 장식요소 유·무에 따른 선호도 분석결과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옥상정원의 경우 6.41점의 선호도 값을 나타냈으며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선호도는 6.05점으로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재 위주로 조성된 공간에 조형미가 가미된 공간 장식요소가 볼거리의 역할을 하고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조성 면적에 따른 선호도 분석은 너무 좁은 면적에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우 면적의 제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공간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식재의 경우도 제한적이므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떨어지고 설치된 시설물이 조화롭지 못하게 보인 것으로 보였다. 반대로 넓은 면적에 조성된 경우 공간의 아늑함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옥상정원의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충분한 편의시설, 아름다운 경관, 시각적 개방감, 풍부한 녹음, 세련된 분위기, 아늑한 공간감, 다양한 활동 공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스텝와이즈(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아름다운 경관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에서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된 아늑한 공간감과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으로 나타난 충분한 편의시설은 일반인 집단에서는 영향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견해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하면 옥상정원 조성 시 이용자인 일반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편의시설이 충분한 아름다운 정원을 계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옥상정원은 도심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자 쇼핑중의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므로 이용자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나 카페테리아 등 충분한 편의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백화점 옥상정원의 시각적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조사시점의 서울 및 경기지역의 백화점 옥상정원의 전수를 실태 조사하고 선호도를 분석한 내용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백화점 옥상정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의 제시를 위해서는 시각적 영향과 더불어 실제로 그 공간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실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Our Natural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green area is being reduc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ose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sult, increased play hour with TV, computer games, video games rather then spend a time in nature and plants in children’s. This problems cause children’s emotional impoverishment and passive-dependence inclination. And made children scruple thinking and judging by themselves and it makes children exposure to social problems. Therefore loss of humanity and crisis are rapidly increase educ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is is the cause to decrease children’s pure sensitivity and feelings and decrease cultivate desirable humanity for advancement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things. For solution, this paper propose Kid Garden for equally cultivate interests, concern, imagination, internal emotion and feelings and increase children’s curiosity about nature for get back into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nature. On this study, make a model reflects children’s suggestions includes plays what they want to do, materials, safety, color, preferences those ar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nalysis bases on Preference-Analysis of Kid Garden, the most preferred Kid Garden is a unreal Garden showed in fairy tale "The Wizard of OZ". We propose a Kid Garden model, it based on preference-analysis to get each details of preference, for experience plays what they want to do, horticulture activities for feel five senses, harmonize with nature in limited interior space and help children to expand their dream and an ideal. Children are growing constantly. During growing process children raise their dream and hope and made healthy ego. Experience various culture and experience of nature will help to cultivate children’s, most of children who live in desolate buildings, huma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Kid Garden which is necessary to children, has various forms and contents for children’s demands. Furthermore, we need to make custom gardens consider of age, area, characteristic of space. And we need well organized and design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elp to understand about plant and increase horticulture activity time in children education curricul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