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최초의 근대지도 제작이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대한제국 정부는 1895년 지적과를 설치하였고 1898년 양지아문을 만들어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교육을 시도하였으나, 중추원에서는 양지아문의 폐지를 주장하는 논의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도 및 측량교육은 1909년 보성소학교 내에 설치된 신흥농업강습소가 융흥농림강습소로 개칭된 후 신설되었던 임업속성과가 보성전문학교로 이관되면서 실시한 것이 효시였다. 우리나라에 측량교육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신교육구국운동과 삼림법의 시행에 있었다. 그 이유로 측량학교와 강습소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 측량교육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1908~1909년은 측량학교 전성시대였다고 간주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시기에 보성소학교의 신흥(융흥)농업강습소가 보성전문학교의 임업속성과로 이관되어 측량 교육을 실시했던 것이다. 그러나 4년에 걸친 짧은 측량교육은 재정난과 한일합병으로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4,9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 에도시대 중기의 한학자이며 지도제작자인 나가쿠보 세키스이(長久保赤水)가 20년간의 고증을 거쳐 1779년에 완성한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는 메이지시대 초기인 1870년대까지 1세기에 걸쳐 중판을 거듭해 일본 지도사에 큰 족적을 남긴 지도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의 지도사적 위치와 세키스이의 생애와 활동,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의 제작과정, 지도의 내용과 특징 등을 지도학적으로 분석하고, 지도의 연도별 판본과 표현 내용에 따라 울릉도와 독도의 영역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840년에 발행된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 5판까지는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역으로 표시하였음 이 규명되었다.
        5,700원
        3.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세기 이래 영미권에서는 근대적인 역사지도집이 다수 제작되었고, 현재까지도 그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 이 결과 영미권에서 발간되는 역사지도집은 한국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에서 역사지도집 발간 시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사지도집은 세계적인 명성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지도학적 및 역사지리학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영미권 내 역사지도집인 「더 타임스 세계 역사지도집」 과 「돌링 킨더슬리 세계 역사지도집」 내에 수록된 동북아시아 지역 관련 역사지도들을 대상으로 지도학적, 역사지리학적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확인 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학적으로는 축척, 방위 등 지도학적 기본 요소의 부재, 해안선 및 하천 등 지형요소의 부적절한 표현, 국경선 표시의 부적절함, 한반도 형태의 부자연스러운 점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역사지리학적으로는 한군현의 과도한 영역표시, 발해 명칭 표기 문제, 한반도의 중국 영토 표시 문제 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독도는 1993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이후 분쟁지역이라는 표시가 사라지면서 지도상에 표시되지 않고 있음이 파악되었고, 동해표기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병기가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5,700원
        4.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고대와 중세의 대척지의 개념과 대척지가 지도학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지구를 북 또는 구의 형태로 간주한 그리스 철학자들은 대척지의 존재를 가정했다. 대척지의 개념은 크라테스에 의해 정립되었고, 키케로를 통해 로마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비록 중세에는 어거스틴에 의해 대척지의 존재는 부정되었지만, 크라테스의 대척지 개념은 마크로비우스를 통해 중세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대척지가 표현된 마피문디는 지대형과 4구분형인데, 대척지 명칭을 직접 표기하거 나, 간접적으로 백과사전의 관련 내용을 언급하여 대척지임을 암시했다.
        4,5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dastre and cartographic tradition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of Rome that had lasted until the middle of 18th Century. Since the early period of Roman Republic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map was considered as a effective medium to record the status of urban facts and also a manifestation of changing perception of reality. These facts allow to diagnose social and conventional changes that had occurred in the field of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methodologies derived from diverse intention and objective in elaboration of each map. Cartography also has affinity to architectural drawing as many categories of individuals are involved, clients, researchers, craftsmen, publisher and collectors. Fundamental task of documenting the contemporary physical reality was given to the map, however, as architects had practiced through the drawings, cartographers also reconstruct in subjective way specific buildings and urban aspects according to various needs and demands. As such, philology and imagination play important role as two constitute extreme poles in the evolution of the cadastre. Through analysis of paradigmatic examples in the genealogy of cartography of Rom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nging episteme that testify the mentality and custom in the field of visual representation.
        4,300원
        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판본 「탐라지도」는 여타의 제주도 지도와는 달리 격자 형태의 방격과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방위선이 그려져 있어서 일찍부터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탐라지도」는 지도에 기재된 내용으로 볼 때, 1706년에서 171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해안선의 윤곽과 표현 기법 등은 1709년의 「탐라지도병서」와 유사하여 같은 계열의 지도로 평가된다. 지도는 텍스트인 주기문을 같이 수록하고 있는데 제주도의 위치관계, 도서, 명소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탐라지도」는 방격법과 방위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방격법은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거리 관계를 명확히 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고, 방위선법은 주변국과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표현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방위선법은 서양의 포르톨라노 지도와 유사하나 실제 항해용으로 사용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4,600원
        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후반부에 발행된 프랑스 󰡔통계 그래픽 앨범󰡕에 수록된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 지도집의 제작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당시의 사회공학과 통계그래픽의 발달이 지도집의 제작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도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국토개발을 위한 교통망 건설 타당성 분석을 위한 교통주제도가 많았다. 셋째, 단계구분도의 데이터 분류를 위해서는 등간분류와 자연분류를 채택하였으며, 동일계열의 색상을 이용한 명도배열과 황색과 적색의 분기배열을 사용하여 배색하였다. 넷째, 유선도는 선의 너비를 교통물량의 데이터와 비례하게 제작하였는데, 데이터의 명목적 차이는 색상과 질감을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다섯째, 도형표현도의 경우는 4개 이상의 변수를 표현하는 다변량지도가 많은데, 이로 인해 지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시공간축소와 비용공간 축소의 표현을 위하여 카토그램을 사용하였다.
        4,500원
        9.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르단의 수도 암만 남쪽에 위치한 마다바 시의 성 조지 교회에 있는 마다바지도의 지도학적 의미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마다바 지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정밀 지도자료이다. 565년경에 성서도시 메데바, 현재 지명으로는 마다바에 건립된 비잔틴교회의 모자이크 바닥으로 제작된 이 지도는 2백만 개의 모자이크조각으로 구성되었었다. 이 지도는 1884년에야 재발견 되었고 1896년 그 위에 그리스 정교 성 조지 교회가 신축되고 나서야 그 진가가 재조명되기 시작하였다. 마다바 모자이크 지도는 원래 가로 세로 15.5 m x 6 m의 크기로 북쪽으로는 레바논에서 남쪽으로는 나일삼각주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묘사했으나 현재는 전체의 1/3 정도만이 남아있다. 마다바 지도는 일반적인 T-O 지도와는 달리 성서의 세계를 묘사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자체 훌륭한 지리학적, 지형학적 지도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일관된 축척의 부재, 일부 공간의 누락, 지나친 종교적 믿음의 강조 등과 같은 결함에도 불구하고 마다바 지도는 그 지도학적인 정확성으로 인해 근대 지도학이 등장하기 전의 팔레스타인 지도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정밀한 지도로 간주되고 있다.
        4,000원
        10.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나르는 19세기의 가장 창의적인 지도제작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지도에 대한 연구는 지도학분야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나르의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과 그의 지도가 주제도 발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나르의 지도가 19세기 주제도 발달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의 형상적이고 개락적인 지도는 프랑스의 국토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것으로 지도학적 정확성보다는 신속하게 인지가 가능하도록 일반 메시지 전달에 중점을 두고 제작되었다. 둘째, 미나르 지도 중 유선도와 단계구분도와 도형표현도, 그리고 나폴레옹의 1812년 러시아 원정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미나르의 지도가 이후의 주제도 발달과 지리적 시각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나르는 유선도와 파이 원 지도를 발전시켰는데, 그의 지도 제작 방식은 이후의 프랑스 통계 지도첩 제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4,500원
        1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도학 관련문헌의 오류를 바로 잡기 위하여 현존하는 인류 최초의 지도가 터키 아나톨리아 지방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이른바 ‘차탈휘위크 맵’임을 밝히고, 이 지도가 가지는 성격은 물론 발굴된 경위와 지도학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선사취락 유적지를 발굴하던 중 발견된 ‘차탈휘위크 맵’은 조감도 형식으로 묘사된 인류 최초의 취락계획도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지도 속에 하산 닥 화산이 취락과 가깝게 묘사되고 표범무늬로 표현된 것은 수렵활동을 하거나 가축을 사육하던 차탈휘위크 주민들에게 표범이 경쟁자이거나 공포의 대상이었으므로 폭발 위험성이 있는 화산의 존재는 표범에 버금가는 두려운 존재였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차탈휘위크 맵’은 당시 인간들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4,600원
        1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도 제작에 대한 공간 사상의 선택, 정의, 표현 등과 관련된 일련의 도식화된 규정을 의미하는 지도도식규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국토의 중요성과 국가 지도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국가 지도 제작에 중요한 지침이 되는 지도도식규정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수정‧보완 작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도도식규정을 재검토하고, 해외 주요 선진국의 지도도식규정을 현황을 분석하고, 지도학적 원리에 근거한 국가 지도도식규정의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장단기적 방안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성과물은 도식규정 자체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고려가 강화되고, 국가 지도 제작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제고를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 지도 제작기관이나 관련 정책 입안자에 게 보다 실제적인 활용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5,400원
        1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IS의 핵심적 요소인 지리정보와 관련하여 3차원 환경에서 합성 환경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SEDRIS 표준에 대하여 지도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ISO/TC 211,OGC 등의 국제 GIS 표준화 과정 및 한국표준협회의 지리 정보 표준화 사업, 국가GIS 구축사업의 NGIS 표준화 사업 등의 국내GIS 표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합성 환경 데이터 표준에 대해 위치 정보, 좌표 체계, 위치기반서비스 등 지리정보 표준화와 협력 작업이 필요한 분야를 분석하였다. GIS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술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관련 표준에 대하여 지속적인 지리정보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4,000원
        1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차원 지도제작의 목적은 지표기복 표현을 위한 지도화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고도, 방향, 인문 요소들이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는 3차원 지도상에서 양적인 공간정보들이 파악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도화 방법에 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3차원지도는 DEM을 이용하여 고도별 RGB 코드에 의한 8단계의 색상기복도, 정사영투영도,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여기에 고도와 위치 정보 그리고 인문ㆍ자연 정보들을 일반화 과정을 거쳐 중첩시켰다. 동영상은 수치지도와 위성영상을 사용하였고 이동에 따른 관찰자의 위치와 고도, 거리,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지도는 기존의 지형도 및 단순 3차원 지도에 비해 지형의 기복, 위치, 고도 및 인문ㆍ자연 정보들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앞으로 3차원 지도의 효과적인 지도화를 위해 색상모델, 2차원 지리정보의 3차원 지도화, 그리고 일반화에 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1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명 페터스의 지도는 새로운 지도가 아니며, 그가 주장하는 10가지 신지도학 기준 역시 정적성과 장방형 경위성망을 만족할 경우 대부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고, 나머지 역시 모호하고 주관적인 기준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페터스는 메르카토르 도법이 지닌 약점을 집요하게 과대 선전하면서 자신의 지도가 지닌 평등성을 메르카토르 지도의 유럽중심 식민제국성과 극적으로 대비시켰다. 단지 선전에 탁월한 페터스의 개인적 능력이나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만으로 페터스 도법의 대유행을 설명할 수 없다. 어쩌면 페터스는 지도가 지니는 상징성을 훌륭하게 간파하여 이를 통해 자신의 세계관을 전파하려 노력했던 것이다. 결국 페터스 논쟁은 정확성이라는 기술적 관점이 아니라 지도의 상대적 가치에 근거해 지도학의 본질에 대한 논쟁을 유발시켰다는 점에서 지도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4,200원
        1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