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유농업의 목적은 건강회복 및 유지, 증진을 위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농촌의 활력, 소득원의 창출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있다. 이러한 치유농업의 가치는 치유농업 대상자뿐만 아니라 농 업인, 지역사회, 보건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주체가 혜택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치유농업의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핵심요인을 도출하여 환경생태적, 사회경제 적 편익, 지역사회발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적합도와 중요도 를 파악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치유농업에 실무와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 교수, 치유농가 등 전문가 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최종 1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조사를 하 였다. 분석결과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측정영역과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분석결과 7개의 상위요인과 33개 하위요인을 선정하였다. 지역사회 의 다양한 주체와의 교류 활성화를 통해 농업, 의료, 사회, 교육 분야에서 농업의 새로운 대안으로써 치 유농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치유농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초 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4,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는 한국-미얀마 농업분야 개발협력(ODA)의 지속 가능성 강화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2001~2017년 시계열(time series)자료를 토대로 자기회귀분포시차 모델(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방법과 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 OLS)을 사용하였다. 2. 분석결과 1) 미얀마 농업 개발에 지원된 국제사회의 ODA, 한국이 지원한 농업 분야 ODA, 농촌 개발에 대한 한국 ODA 등의 변수가 미얀마의 농업 GDP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반면, 2) 한국 ODA는 가치사슬 분야 및 기술전수 분야에 미친 영향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분야의 지원 규모가 매우 작아 미얀마 농업발전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이 미얀마에 제공한 농업 ODA 중 농산물 생산 및 유통 분야에 대한 지 원은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의 영향을 나타 내었다. 3. 분석 결과 한국의 미얀마 대상 농업 분야 ODA는 선택과 집중을 토대로 미얀마 농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농촌개발 분야에 장기적으로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약적 농업시스템으로 특징되는 관행농업은 생산성 증대를 이루었으나, 토질과 수질의 악화 등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며 농업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지속가능농업에 대한 관점과 태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영농방식 실천에 장애가 되는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농업인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장애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데 연구의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농업인들은 지속가능농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수익성 유지를 지적하면서 이를 최우선적으로 중점을 두고 해결할 것을 주문하였다. 지속가능농업 채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제적 동기와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과거에 비해 향후 지속가능성을 높게 전망했다. 관행농업인이거나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중인 농업인, 그리고 과거에 지속가능농업을 들어 본 적이 있는 농업인이 주목하는 경제적 장애요인은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 시 초래되는 비용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농업 시스템이 구축되었을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농업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농업인에게는 새로운 영농방식의 불확실성은 큰 장애가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중앙 아시아는 5 개의 국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국가들은 1991년에 소련 연방에서 독립하였다. 독립 이전에는 5개 국가 모두 공산주의 통치 하에 동일한 소비에트 계획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2. 1991년 이래로 중앙 아시아 국가들은 정치적, 사회적, 자연적, 지리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개발 경로를 경험하였다. 3. 더 나은 통치 환경은 현대 기술 혁신을 장려하고 토지에 대한 신기술의 적용 및 토지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거래 비용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생산 증대로 이어질 투자를 촉진한다. 4. 따라서 통치 환경의 개선은 농업 생산 증대에도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통치 환경과 농업 생산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5. 본 연구의 결과는 농업 생산의 증대를 위하여 통치 환경의 개선이 중요함을 입증하였으며 , 그 중에서도 부패 통제 및 법의 지배의 개선이 농업 생산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
        4,000원
        6.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rgues that expanding the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MFA) may mitigate existing agricultural problems. To do that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FA and presents practical tasks to achieve it. Theorizing the MFA begins with the theory of sustainability and first identifies the link between sustainability and MFA. Later,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ustainability theories, we examined where the false linkages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relations originated, and employed the (Re)productivity [(Re)produktivitat] theory in order to obtain alternatives. Research shows that welfare effects of the MFA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re not less than those derived from the agricultural products supplied to the real market, but the values are not recognized. The absence of proper care and compensation is the basis of agricultural problem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cknowledges that the MFA is as much worthy as re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nsists that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care should be given to humans (farmers) and nature (agricultural ecosystem) in order to maintain and expand the MFA. In other words, a virtuous cycle between sustainability and the MFA means that the process spreads sustainable farming methods to expand the MFA, forms social consensus on it, and pays fair remuneration for agriculture from the public sector. Transition to such a virtuous cycle requires re-establishing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MFA, implementing targeting policy, motivating policy targets, strengthening human capacity, and arranging maturity time.
        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학 환경 관련 교양 수강생 41명이 유전자변형농작물(GMO)에 대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후, 지속가능한 농업 측면에서 GMO를 각각 평가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GMO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p<0.05)가 있었으나,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GMO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간 평가 차는 패널토론에서 이공계열(그룹3)과 인문계열(그룹1)/사회계열(그룹2) 간 차에 기인한 것으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1). 다큐멘터리 시청 후 GMO가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한 이공계열 학생 중 43%가 패널토론 후에는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GMO로 식량 생산량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식량 생산 이익이 다국적기업 이익에만 치중되어 있다. 셋째, 농작물 독과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향후 GMO 기술이 경제·사회·환경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farm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farm survey was conducted using target respondents which were made of the local correspondents and reporters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Heckman's model was employ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ing the extent of farmers’ accepta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re farmers think it is important for Korea to adopt sustainable farming practices, the more they adopt sustainable agriculture. It is also shown that the high incomes farmers earn, the more interest they have in the environment and thu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adopt sustainable agriculture. Based upon the empirical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n adoption of economic incentive instruments, educat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agriculture technology, and an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frastructure to expand the scale of sustainable agriculture.
        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perness,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n the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LEAD). For this, we survey 11 public officers who manage the LEAD. Most of them aware necessities of LEAD project. They have a higher satisfaction and think that the project affect ripple effect and contribution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Main performance expected of the LEAD project is a spread of natural circulation agriculture in connection with cultivation and stockbreeding. For continua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fter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find markets of products. Also policy making rel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technique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AD project need a modification based on field and change of agricultural issues.
        10.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ustainable strategies of the project for developing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LSEAD). This study used assessment 3 indicators, efficiency, impact and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ertification area and farmers, management situations of croplivestock circulation center, educations f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changes of farmer’s income and so on. This project has contribute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model of LSEAD. 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LSEAD, it is necessary to renovate crop-livestock circulation centers, promote organic farming of resource-circulation type, converse to non-pesticide or organic farming of low pesticide one, do active marketing activities,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of business projects and so forth.
        1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ased on farm awareness analysis. To analysis farm management, a series of farm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on farmers residing in Embong-Myun. The sample size of the survey is 108 respectively. As a survey result, satisfaction level about market stability and understanding of upper organization is high, on the contrary, awareness of related organization is low in a relative sense. Most of farmers reveal their intention to sustai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but future agriculturalist and an ageing society that one face as well.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an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istently expanded. On the other hand, self-supporting ability of farmer’s organization and education system attempt to expand for sustainability.
        1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iculture plays a vital role in the sustenance of human society and is the fundamental of developing economies. Nitroge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nputs that define crop productivity. To ensure better value for investment as well as to minimize the adverse impacts of the accumulative nitrogen species in environment, improving nitrogen use efficiency of crop plants is of key importance.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genetic and molecular biological basis as well as the biochemical mechanisms involved in nitrogen uptake, assimilation, translocation and remobilization in crops and model plants. This review gives an overview of metabolic, enzymatic, genetic and biotechnological aspects of nitrogen uptake, assimilation, remobilization and regulation. This review presents the complexity of nitrogen use efficiency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physiology, quantitative trait genetics, system biology, soil science, ecophysiology and biotechnological interventions to improve nitrogen use efficiency.
        13.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licies on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EFA) and find out some implications. As we know well, EFA contributes environmental substantiality by using organic production methods and provides consumers with a secure, safe nutritious food supply. As consump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ing, policies on EFA began in the 1990s and it has been generally expanded in Korea. The strategies for sustainable EFA aim to promote harmony among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ity and nature require. In addition, support to develop marketing activities, regionalization, and political support must be further developed.
        14.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concepts and practices and to present their directions toward better rural planning.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including use of available documents and field visits both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are two main methods of data collection with no quantitative analysis. Before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was fashionably used in the 1990s in the worl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other similar terminologies such as organic farming, alternative agriculture, low-input sustainable agriculture, natural farming, and environment-friendly farming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academics as well as In actio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rmers' engagement in sustainable farming and their participation in voluntary social organizations is evidenced, so that it might be said that sustainable agriculture be the basis of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Whether in sustainable agriculture or in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he sustainable rural econom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oward better rural planning both in Korea and in the world.
        15.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ddress complex solutions to tackle the cost rise with the increasing of the prices of crude oil, and to lower warming gas discharge in agricultural sector in line with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e need to not only develop the methods of simply reducing energy use ratio, but also effectively energize resources discharged in the course of agricultural production aimed at enabling repeated farming, and develop systems to reinvest such energy in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apply them to actual farming. To that end, specifically, we need to reduce the energy cost i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roduce and harness bio gas that makes it possible to stabilize the continued supply of energy. Thus, in this research, we seek to discuss energy use volume and warming gas dischar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io gas and its use methods alike, in agricultural sector, and thus present methods for environment-friendly and continual development in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