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90±0.36 세; 신장, 174.30±1.09 cm; 체중, 66.50±1.00 kg; 신체질량지수, 21.90±0.31 kg/m2), 3가지의 기본 정적 스쿼트 동작, 발란스 보드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및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을 부착한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복직근, 내복사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p=.004, p=.000),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의 근활성도는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적 스쿼트 훈련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후 6개월 이상 지난 3명의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ABAC디자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기초선(A1) 1주, 중재기(B) 2주, 기초선(A2) 1주, 그리고 중재기(C) 2주로 총 6주간 진행되었으며, 중재기(B)에서는 완곡추적 안구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EM)의 단일중재를, 중재기(C)에서는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Neck Muscle Vibration; NMV)과 SPEM의 결합중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매회기 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Bells test)를 실시하였으며, 한국판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Catherine Bergego Scale; K-CBS)와 한국판 일상생활활동 중심 작업기반 신경행동 평가(Korean version of ADL-focused Occupation-based Neurobehavioral Evaluation; K-A-ONE)를 기초선(A1)의 첫 회기와 각 중재기의 마지막 회기에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SPEM과 NMV를 단일 또는 결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편측무시의 지필검사(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와 관찰적 검사(K-CBS와 K-A-ONE)에서 편측무시가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결합중재시에 더 효과가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측무시가 개선됨에 따라 일상생활활동의 수행(K-A-ONE)에서도 향상을 보였는데, 편측무시 환자의 일상생활을 저해하는 신경행동 손상은 편측무시 뿐만 아니라 공간관계나 마비와 같은 손상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신경행동 손상의 중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해야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PEM과 NMV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 활동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4,500원
        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ompared to healthy people,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have reduced balance abilities which may cause proprioception problems,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void physical activities due to pain, and reduced activity levels lead to muscle weakening, which can further exacerbate pain.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se of sensory stimulation; and among these studies, interventions that use vibrational stimulation have shown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the balance ability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person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5 subjects in each.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via a balance ability test,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test, a pain test, and a proprioceptive sensory test. Both groups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general stabilization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the pain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Conclusions: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s than the conventional intervention method. Therefore, the stabilization exercise in a vibration stimulation environment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4,000원
        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편측무시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중 기초선 개별사례연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대상자별 실험설계는, 대상자 1은 기초선 5회, 중재기 15회, 대상 자 2는 기초선 7회, 중재기 13회, 대상자 3은 기초선 9회, 중재기 11로 대상자간 기초선과 중재기 회기 수는 다르나 총 회기 수는 20회로 동일하였다. 각 중재기 동안 진동자극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왼쪽 전완부에 진동자극을 회기 당 30분씩 적용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간에는 편측무시 평가를 위해 선 나 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와 알버트 검사(Albert’s test)를 시행하였고 중재 전, 후로 일상 생활에서의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해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왼쪽 전완부에 진동자극 후 모든 대상자에서 중재 전과 비교하여 LBT, 알버트 검사, CBS 점수가 향상되어 편측무시가 감소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왼쪽 전완부의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 로 확인되었다.
        4,200원
        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 : 연구 기간은 2013년 12월 9일부터 28일까지 뇌졸중 발병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연구에 동의하에 선별되었다. 대상자 13명은 각각 실험군(n=7)과 대조군(n=6)으로 분배되었고, 실험군에게는 진동자극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진동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는 SD카드를 제거하여 진동자극이 제공되지 않도록 위약중재(placebo)를 적용하였다.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진동자극기 중재는 주 5회씩 2주간 총 10회기 동안 실시하였고, 두 집단 모두 실험 기간 동안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사전, 사후평가로 총 2회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상지운동기능(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강직(spasticity), 손 기민성(hand dexterity), 감각기능(sensory function), 그리고 3차원 동작분석을 이용한 움직임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실험군에서는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p<.05), 상지운동기능, 손기민성, 강직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대조군은 중재 전, 후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간 비교에서는 중재 전엔 실험군과 대조군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중재 후, 실험군에서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결론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동자극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자 대상자의 환측 팔꿉관절의 움직임과 감각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후의 연구는 진동자극을 보다 기능적으로 활용하여 일상생활에 실제로 응용할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4,800원
        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하는 것이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와 종료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 중 ABA 연구 설계를 이용하였다. 총 실험회기는 24회로 기초선 과정, 중재 과정, 기초선 회기 과정으로 나누어 각 8회기씩 진행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환측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적용되었다. 상자와 블록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그리고 컵을 쥐기 및 놓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BBT 점수는 기초선 과정에 비교하였을 때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과제 수행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은 중재 기간 동안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05). 이 러한 경향은 회귀 과정 동안에도 긍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진동자극이 이환된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물건을 쥐고 놓는 동안 손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의 활성 형태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300원
        8.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고유수용성 자극의 하나인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들의 시지각 반응 속도 및 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한 한 대학병원에 입원중인 25명의 뇌졸중 환자로 하였다. MVPT 평가시 환측 손목 폄근에 진동자극을 가했을 경우 MVPT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진동자극은 단기적이기는 하나 뇌졸중 환자의 저하된 시지각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지만(P<0.05), 지각기능 자체를 향상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반응 속도의 저하가 심하면 심할수록 보다 큰 시지각 반응 속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시지각 반응 속도가 저하되어 있는 대상자들에게 진동자극을 적용한 결과 반응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치료에 진동자극을 함께 적용한다면 보다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