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elapsed time after air flow cutoff on the germination rate of Italian ryegrass seed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during natural drying on reclaimed land, Jangheung and Kimje of Korea from 2023 to 2024, respectively. Seeds with moisture contents of 15.3, 22.3 and 28.0% were placed in vinyl bag (30 × 40 cm) at storage thicknesses of 10, 15, and 20 cm, and air flow was cutoff for 48 h. Seed moisture content, seed temperature (℃) and germination rate were investigated at 12-h intervals. After 48 h of airflow cutoff during natural drying, seed moisture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storage thickness treatment (p>0.05). When Italian ryegrass seeds with moisture contents of 27~28% were stored under conditions with air flow cutoff at 15~20cm thickness for 48 h, the seed temperature reached up to 30℃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excellent at around 70~80%.
Infrared radiation accounts for approximately 50% of the solar spectrum. Specifically, the near-infrared (NIR) spectrum, ranging from 760 nm to 2500 nm,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solar heat gain, increasing indoor temperatures and reducing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To address this issue, we developed a highly transparent thermo-shielding flexible film that maintains a high transmittance of the visible region (T = 80%) while reducing the transmittance of the NIR region (T ≈ 0%). NIR-absorbing indium tin oxide (ITO) nanocrystals were coated onto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s, and both films were sandwiched to improve the NIR absorption properties and protect the nanocrystal film layer. The fabricated films were applied to a model house and decreased the indoor temperature by approximately 8°C. Our study demonstrates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ITO nanocrystal-coated flexible films, with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smart window and mobility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adon reduction effectiveness of some radon barrier paints using the laboratory test on radon exhalation rate. The radon exhalation characteristics and radon exhalation rate of three radon barrier paints for concrete and three radon barrier paints for stone finish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Then the radon reduction rate was calculated to confirm the reduc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don reduction rate of radon barrier paint was less than 10%, which is not effective in reducing rad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reliable radon reduction evaluation method is needed to utilize radon barrier paints as an indoor radon control measur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소재 방법 및 코팅 방법)와 일반 렌즈를 시감투과율 0, 2, 3등급( 10종)으로 구 분하여, 250∼1,400 nm의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청색광 및 근적외선 차단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주행 중 교통 신호등 감지에 대한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대 시각 감쇄 계수(Q)를 분석하였다. 결과 : 시감투과율 분류 0, 2, 3등급에서 투과율은 일반렌즈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보다 높았다(p<0.05). 410∼470 nm 영역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렌즈의 청색광 차단율은 차이가 없었고(p>0.05), 470 nm ∼500 nm 영역의 0, 2, 3등급은 차이가 있었다(p<0.05). 근적외선(780 nm∼1,400 nm) 영역의 차단율은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일반 렌즈에 비해 높았고(p<0.05),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더 우수함을 입증 하였다. 근적외선의 침투로 인해 영향을 받는 눈과 피부 영역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일반 렌즈보다 차단율 이 높았고(p<0.05), 일반렌즈 보다 근적외선의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차단율의 0등급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차단 렌즈의 차단 성능이 좋았다(p<0.05). 시감투과율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주행 중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색 구별에 적합했다. 결론 : 시감투과율 분류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일반 렌즈에 비해 높은 차단율을 나타내어 그 성능을 입증하였고, 근적외선의 영향을 받는 눈과 피부의 파장 영역에서도 근적외선의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In conventional construction practices, roof-parapet junction structures inevitably disrupt the insulation installation's continuity, leading to energy loss and thermal bridging. To address this issu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installed to interrupt the heat flow between the roof and the parapet, effectively preventing thermal bridging and energy loss and thereby reducing overall energy loss in buildings. This study equipped three experimental specimens with the developed parapet thermal breaks to verify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Thes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unidirectional loading under displacement-controlled condition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se insulation structur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 results with corresponding analytical studies conduc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five analytical models with varying parameters of th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developed and compared against the baseline model. Consequently, the most efficient shape of the parapet thermal break was determined.
The hydrogen valve used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pplied to a automobile, and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length of the stem,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ptimized stem, and for thi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For this,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shut-off valve and especially the plunger and O-ring, which are key components in the solenoid valve driving the hydrogen shut-off valve, was calculated using the ANSYS-CFX flow analysis program.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length of the 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design temperature of -40℃ or higher should be at least 139 mm, and it is judged that it should be 140 mm or more considering safety. When determining the stem length of the hydrogen blocking valve for automobiles, constraints on installation in automobiles sh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method for evaluating noise blocking performance rating between floors. The definition of floor noise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floor noise can be described, and floor noise can be distinguished into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heavy impact sound. The wall-type structure, which is mainly adopted in domestic apartments, relatively transmits vibration caused by impact sources rather than using columns and beams, so noise problems between floors are relatively higher than systems using columns and beams. Three representative methods for reducing and blocking floor noise are described,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floor noise reduction by each method are described. In addition, the method for noise reduction and blocking grades for each construction method currently applied in Korea was described, and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domestic rating evaluation method was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nd a new evaluation method and standard were needed.
목적 : 적외선 차단렌즈의 근적외선 차단율과 시감투과율을 제조방식 및 근적외선 차단제 첨가 여부에 따라 조 사하고,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개발 방향에 대하고 논하였다. 방법 :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외 브랜드의 근적외선 차단렌즈 20종(C-type 10종, M-type 5종, TMtype 5종)을 대상으로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380~1,400 nm 영역에서 5 nm 간격으로 투과율을 측정한 후, KS B ISO 13666 표준에 따라 근적외선 차단율과 시감투과율 구하였다. 결과 : 근적외선 차단율은 TM—type이 평균 62.3%로 가장 우수하였지만, 착색렌즈에 미러코팅을 한 관계로 시 감투과율은 평균 20.2%로 매우 낮았다. M—type의 경우는 근적외선 차단제의 첨가로 인한 근적외선 차단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기는 했지만, 근적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지 않은 C-type의 렌즈의 근적외선 차단율보다 그 성능이 떨어졌고, 시감투과율 또한 낮았다. 근적외선 차단제가 첨가되지 않은 C-type의 렌즈들에서 근적외선 차단율은 우 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감투과율 또한 무반사 렌즈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최적화된 코팅설계가 적용되면 AR 렌즈 수준의 높은 시감투과율을 보이면서 TM-type의 근적외선 차단 율을 능가하는 우수한 근적외선 차단렌즈를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설계 방향은 C-type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목적 : 치과에서 광중합기 사용 시 착색 안경렌즈가 청색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큐링실드를 대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광중합기 부착형인 큐링실드와 염료의 색과 착색 시간을 달리한 착색 렌즈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큐링실드의 청색광과 가시광선 투과율이 각각 0.63%와 48.88%로 나타났다, 60분과 90분 동안 착색한 오렌지색 착색 렌즈의 청색광 투과율은 각각 0.82%와 0.59%, 가시광선 투과율은 48.14%와 47.50%로 큐링실드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90분 동안 착색된 노란색 착색 렌즈의 청색광 투과율은 12.43%, 가시광선 투과율은 56.94% 이었다. 60분 이상 착색된 갈색과 회색 착색 렌즈의 청색광 투과율은 2.00% 미만이었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25.00% 미만이었다. 결론 : 오렌지색 착색 렌즈는 청색광 차단효과가 우수하고 큐링실드와 비슷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어서 큐링실 드를 대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노란색 착색 렌즈는 착색 시간을 90분보다 더 길게 한 추가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갈색과 회색 착색 렌즈에서 큐링실드와 유사한 청색광차단 효과를 얻으려면 밝기가 어두워지는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HBM) 구조를 통해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대한 국내 인구의 태 도를 평가하였으며,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1월 1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v. 25.0 program을 이용하여 Cronbach's α,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독 립표본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자외선 차단제 사용에 대한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26±1.384로 나타났으며 건강신념모델 변수와 자외선차 단제 사용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성별, 연령, 피부색에도 각 변 수들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중 여성, 연장자, 밝은 피부색을 가진 집단에서 자외선 보호에 적극적인 성향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신념모델의 하위요인별 자기효능감(β=.629, p<.001), 인지된 취 약성(β=.139, p<.001)이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인지된 장벽(β=-.261, p<.001)은 자외선차단제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외선 차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제공함으로써, 자외선차단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 공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ternal flow path change and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and through this, the pressure loss characteristics and flow coefficient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were predicted. ANSYS CFX program was used to predict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When the flow path gap was 1.3 mm,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were satisfied, and the value of the flow coefficient of the valve was about 1.53. As the inlet pressure of the hydrogen shut-off valve increases, the outlet flow rate increases, but regardless of the inlet pressure, the flow coefficient of the valve is almost constant, ranging from 1.53 to 1.56, indicating that it is the inherent flow coefficient of the designed hydrogen shut-off valve.
MCCI, one of the ex-vessel phenomena during a severe accident, is generally caused by mutual reactions between molten core and reactor building basemat concrete, but occurs between sacrificial materials made by concrete and corium in APR nuclear power plant with PECS applied. In this paper, MCCI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ign and apply a device to block the core melt at the junction connected to the ICI cavity sump from the core catcher installed in the reactor cavity of the APR. Unlike the sacrificial material, which has a cooling effect by inducing erosion of the ex-vessel core melt, the device is composed of concrete applied as a barrier to protect the ICI cavity sump. The decent thickness of the barrier wall of the device was calculated.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및 다양한 전산모사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더 복잡한 원소로 이루어진 화학시스템의 해석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분자동역학 전사모사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실험위주로 진행되던 고분자 막에 대한 기체 투과 특성을 계산하는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고, 식품포장, 의약품등에 사용되고 있는 기체차단성 막 에 대한 분자동역학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실크 피브로인을 이용해 코팅막을 만들었을 때 기체 차단 효과가 나 타난다는 보고가 있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크 피브로인을 활용해 복합막을 만들었을 때 산소 차단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일 모델을 제작하고 기체 투과 특성을 계산하고 실험값과 비교를 통해 모델이 실제 실험 결과를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복합막 모델을 만들어 고분자 내에서 기체 이동경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산소 분자가 피브로인 영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크 피브로인이 도입된 복합막이 산소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식품포장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a structural thermal barrier, installed inside the structure of a building and performed the role of a load-bearing element and an insulation simultaneously,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net-zero building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model,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LS-DYNA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shown through the flexural experiment, the reliability of the thermal cross-section insulation structure model for slabs was valid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UHPC block on the load support performance and its contribution to vertical deflection was verified.
본 연구는 임해 매립지에 조성되는 골프장 부지의 자연적 장해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요소를 검토하 여 향후 매립지에 조성되는 식재공사 등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선행 연 구자들의 임해 매립지 토양 환경의 이화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종도 국제공항 내 골프장의 토양 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을 배수 처리 체계와 함께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수목 또는 식물의 생장을 고려한 계획을 통해 경제적이며, 장기적으로 정상적인 식물 또는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임해 매립지에서 식물 생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염분 상승 또는 식생 지반의 염분 과다는 식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따라서 임해 매립지의 경우 탈염 과정을 거쳐 식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선하여야 될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 에서 염분 상승의 차단을 위한 차단층의 설치가 필요하다. 특히 모세관 상승의 차단은 입도가 큰 재료 일수록 차단 효과가 컸으며,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차단층의 두께가 클수록 확실한 모세관 상승 차단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임해 매립지 조성 시 염분 상승에 의한 식물 생육 저해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식재기반 조성 시 매립 방법을 달리하여 지하수위를 저하 시킴으로써 모세관 상승에 의한 염분 상승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자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차단층의 재료 선정 및 차단층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식재 단면층의 조성 두께 등 의 설정은 실내시험으로 인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서남해안의 경우 환경적 영향(밀물과 썰물의 조위 차, 일조량, 풍향, 풍량 등 염분 상승)이 되는 인자들의 변수 조건에 대한 미적용의 한계성과 염분 차단층 설치 시 염분 상승은 기대할 수 있으나 모관수 차단으로 인한 건조피해에 대한 대책은 연구과 정에서 부족했던 부분이다 추후 부족한 부분에 대한 연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목적: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외선을 포함한 청색광과 같은 유해광선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23년 4월부터 5월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에 응답한 충남지역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 자외선과 청색광 차단렌즈의 착용실태에 대한 문항, 자외선과 청색광에 대 한 지식도 및 인식도 문항, 그리고 차단렌즈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요구도 문항으로 구성된 총 15문항의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외선 차단을 위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비율은 56.3%로 나타났으나 청색광 차단 안경이 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경우는 35.9%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자외선과 청색광의 유해성에 관한 지식도는 각각 2.58±0.91, 2.44±0.98로 조사되었으며, 자외선과 청색광으로부터 눈 보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항목의 평균 점수는 각각 3.49±0.61, 3.35±0.68점으로 조사되어 자외선과 청색광 차단의 중요성에 대한 인 식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생들의 자외선과 청색광에 대한 지식도와 인식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청색광 차단렌즈에 올바른 선택법에 대한 지식은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청색광 차단렌즈의 올바른 선택을 위한 교육 강화와 가이드라 인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