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은 오랜 역사 속에서 장식적 기능을 넘어 심리적 안정과 영적 상징의 매개체로 사용되어 왔으며, 색채는 인간의 정서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수의 연구에서 검증되어 왔다. 본 연구는 보석 컬러 테라피의 치유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보석치유와 색채치료의 개념 적 기초를 정리하고, 보석 컬러 테라피가 심리적 치유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석 컬러 테라 피는 색채의 정서적 안정 효과와 보석의 상징적 의미를 결합하 여 불안 완화, 자기성찰 촉진, 대인관계 증진 및 사회적 웰빙 강 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담과 심리치료 현장 에서는 내담자의 자기표현 촉진 도구로, 교육 및 평생학습 현장 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강화 자원으로, 웰니스 산 업에서는 차별화된 치유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통 합예술치유의 확장 모델로 적용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는 보석 컬러 테라피의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활용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예술치유 및 보완대체요법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 고 효과적인 치유 모델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한국교회는 교회적 차원, 타종교적 차원, 민족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교회 성장의 쇠퇴 현상 속에서 교회 성장 동력의 회복 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종교의 양대 축을 형성하는 불교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불교도 전도의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반백 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민족분단의 상황 속에서 북한 복음화의 대비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해석학적 공동체로서 교회의 상황신학 창출 책무에 주목하면서 필자는 상기한 삼중 과제를 탐색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II장에서는 선교와 상황화의 상호 불가분성이 하나님과 교회의 본질 및 사명과 연계되어 소개된다. 이어서 III장, IV장, V장에서는 교회적, 타종교적, 민족적 차원에서 민중신학, 회통모델, 단군사상의 기여점 및 한계가 각각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21세기 한국교회에게 부여된 해석학적 공동체의 역할은 민중신학의 사회참여성, 회통모델의 상호존중성, 단군사상의 민족유대성을 중시한 통전적 상황신학의 구축 이다.
가설검증 과정에서 자료 분석 결과 산출된 통계치에 대한 해석은 몇 가지 통계학적 이론을 토대로 분석 결과 산출된 관련 통계치의 이론적 확률 분포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어 실험 조건 간 측정치의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 은 대개 전집 특성에 대한 몇 가지 이론적 가정에 기초해 구성된 해당 평균 차이값의 확률 분포(예: Student's t)에 기초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통계치의 분포가 아닌 실측정 자료의 무선 재구성을 통해 얻어진 경험적 통계치의 분포에 기초해 가설 검증을 시도하는 무선재추출법의 기본 논리와 장점을 살펴보고 사건관련전위 분석 상황 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더 나아가 무선 추출 원리에 기초한 무선치환법이 적용된 구체적 사례를 소개하고 ERP 자료 분석에 있어서 경험적 통계 분석 적용에 앞서 유의할 점을 살펴봄으로써 뇌파 연구자들의 무선재추출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사회적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속가능성의 문제이다. 자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회 적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영역에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특성상 사회적기업 의 경쟁력을 갖추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국내의 성공적인 사회적기업들에서 창출하는 일자리와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서비스의 증가는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고용창출과 사회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사회적 프랜차이징이다. 이미 선진국에서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프랜차이징을 통하여 취약계층의 고용과 사회서비스의 확산이 가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지만,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사회적 프랜차이징을 통해 이 루어지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관해 이루어진 소수 실증적 연구를 제외하고는 사회적 프 랜차이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사회적 가치창출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보기 힘든 실정이다.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프랜차이징을 통하여 보다 양적이고 질적인 고용창출과 보다 많은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서비스의 확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무적이고 정책적인 관점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사회적 프랜차이징의 사회적 가치창출의 효과에 대한 논리적인 체계화를 시도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This study considered network quotient (NQ) of deluxe hotel employees and schematized characteristic attributes of being selected by employees with image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in terms of cognition degre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employees (292 samples) an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reliability and correspondence analysis. First, the hotel employees indicated the high average value in “participating in special education or seminar for improving ability (3.85±0.7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average value in men was higher than in women.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age and career lead to a rise even in the average value of relationship index. Third, in consequence of carrying out correspondence analysis in order to prepare image map according to cognition level on relationship index in hotel employees, the measurement item that is placed in the closest distance to the response as saying of not so very was the response as saying of “having a lunch (dinner) engagement twice or three times a week.”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as saying of “tending to have many acquaintances compared to coworkers” was schematized in the close distance to the response as saying of very so.
This study considered the whole intake patterns and realities of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on sales targe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a total of 1021 subjects, data from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chi-square,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ference levels for instant noodles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5.25, thereby showing a more than moderate preference. Middle school boy students' preference for instant noodles was the highest. The main reason for preferring instant noodles was taste and convenience. The main reason for disliking instant noodles was poor nutrition and likelihood of becoming fat. The intake of instant noodles was the highest between lunch and dinner with a frequency of once to twice per week. Content of soup powder given taking instant noodles was the largest in having putted all. The soup quantity of being left given taking instant noodles was possessed the majority in almost not eating soup. The main reason for not consuming soup was being full or concerns for heal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ference level for instant noodles and in intake patterns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이 글은 은행의 국제화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주요 초점은 은행의 국제화와 성과 간 관계 변화 유형을 확인하는 작업과, 성과에 미치는 내부화특유 우위 요소의 동태적 효과 및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영향력의 시간적 관성에 둔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기업특유 및 내부화특유 우위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1) 내부화특유 우위 요소가 국제화에 따른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2) 내부화특유 우위 요소에 대해 1년과 2년의 타임 래그(t-1과 t-2)를 부여하여 개별 요소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 세계 75개국 1,520개 상업은행이며 연구기간은 1990∼2007년 기간이다. 응용된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합동(pooled) OLS와 고정 및 확률효과 모형 간 타당성 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된 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은행의 다국적 활동은 거래비용 및 관리·조정에 따른 비용을 발생시키며 이는 운영범위에 따라 증가하기가 쉽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은행의 국제화에 따른 성과는 진입 이후 적정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 증가하다가 적정 시점 이후에는 감소하는 역U자형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비용효율성과 같은 내부화특유우위 요소는 국제화에 따른 성과 변화에 대해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동태적 시간적 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per reviews the methodologies of confirmatory data analysis(CDA) and exploratory data analysis(EDA) in statistical quality control(SQC), design of experiment(DOE) and reliability engineering(RE). The study discusses the properties of flexibility, openness, resistance and reexpression for EDA.
사회적 여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웰니스 산림 힐링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기 및 실내공기 오염증가, 생활환경 악화, 아파트 생활 그리고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경향이 전염병, 급성질환 중심에서 벗어나 만성질환 및 생활습관성 질환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질병에는 이르지 않지만 항상 피곤함을 느끼는 등 건강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미병(未病)상태의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심리적인 효과 중심으로 웰니스 힐링 숲길 참가자를 대상으로 Ulrich의 스트레스 감소이론과 Kaplan과 Kaplan의 주의회복이론, Orians의 사바나 이론에 비추어 심리치유를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신속한 긍정정서의 자연환경의 구성체들에 의해 반응하여 스트레스 회복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둘째, 주의피로 상태에서 소모된 주의력을 회복시켜 주는 회복환경에서 쾌적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태초의 환경으로서 가장 선호하는 자연환경 속에서 편안함을 회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치유의 영역에서 가족 또는 지인들과 함께 힐링의 시간을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