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활동과 학교생활에 더욱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경북 지역 25세 이상 성인학습자 2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25 일부터 2020년 11월 24일까지 직접 방문 및 구글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15부로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4부의 설 문지는 제외하고 총 21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학 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 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 은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 인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동아 리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고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 함을 시사한다.
Purpose: Improving students’ self-confidence is an important strategy in simulation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based on the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40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on students’ self-confidence were collected for student/ facilitator factors (satisfaction on major, overall grade average, and facilitator satisfaction), educational practice factors (active learning, collaboration, diverse ways of learning and educational goal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factors (objectives/information, support, problem solving, feedback, and fide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had an adjusted R2 of .61, indicating that education goal, active learning, facilitator satisfaction, and fide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Conclusion: To increase students' self-confidence with simulation learning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design lessons that include educational goals, active learning, improve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ator and fidelity based on the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노후 준비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2023년 4월 13일부터 6월 29일까지 K 사이버대학교 성인 학습자 147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분산분석, 단별량 및 다 별량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인 학습자의 노후준비 도 영향요인 차이는 성별, 연령별에서 차이가 나타났고(p<0.05), 노후 준비도 에 따른 노인 부양의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 학습자들의 경우 더욱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노후 준비도와 노인부양의식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결정계수 R값 은 경제적 부양요인과 정서적 부양요인(0.717), 신체적 부양요인(0.779)은 관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후준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노인부 양의식과 노후의 삶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철저한 사전 노후준비와 긍정적 인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변화 유도, 그리고 종합적이고 기초적인 유용한 자료 로 활용하는 데 함의가 있다.
Yang, Myung-hee & Kim, Bo-hyeon. 2017.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ith Chinese Students in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119~14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and the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o this end, 60 Chinese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the questionnaires: i.e., PRCA and FLCAS. The results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anguage anxiety level in the classrooms of the Chinese students is likely to be high. Also, it is not because of the participants’ traits, but becaus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re are 5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communication anxiety with native speakers, communication anxiety, fears of negative evaluation and failing in class, Korean proficiency anxiety,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class. Especially, the forth factor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need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f Korean, even after they enter undergraduate or graduate institutions. Thir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 and a residence period in Korea. That is,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for being exposed to Korean by a Korean educational intervention.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s one's volition to enter into communication at a particular time with a specific person or persons using an L2. Despite the growing interests about WTC in ESL and EFL context, there is little research done in the Korean EFL classroom context with young learners.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bles affecting WTC of young Korean EFL learners in regular English classes. A total of 149 fif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the ANOVA. The results confirmed the consensus about the positive correlation of competence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of apprehension to WTC.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WTC was communication with the native teacher and the second was prohibition of L1. There were partial statistical differences of WTC,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r, and Self-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onset, the amount of studying, and the length of stay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transferring activity 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4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taught to follow traditional listening instruc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o transfer information in listening text to visual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ural texts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use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short-answer and multiple choice techniques produced different results, suggesting a significant test method effect on test results. Lastly, the participants provided generally positive responses to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2004년에 웹2.0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부터 인터넷을 활용하는 여러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강의를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웹 2.0 환경의 Open-API, RSS, Mash-Up 등 웹 2.0의 참여·공유·개방을 촉진시키는 융합기술은 교육 분야에도 변화를 주고 있는데, 교육 분야에서의 융합은 ’이러닝 2.0’으로의 진회를 뭇하며 이러한 웹 2.0의 사조가 반영된 기술 환경에서의 새로운 교육을 ’이러닝 2.0’이라고 지칭한다. 웹 2.0을 반영한 교쥬L학습의 특성은 사용자 참여 중심이며, 개방성을 근간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개인의 참여가 핵심인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웹2.0 사조를 반영한 ’이러닝 2.0’ 교육서비스는 아직 운영되지 않고 있는데,이는 시스랩을 최신화하는 수준이 아니라 교육하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다OJ=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2.0 서비스가 줄 수 있는 장점을 어떻게 결합시킬 것인지 고민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발전된 웹 2.0 기술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활성화시키며 교육 내용의 수준을 한층 꿀어올리기 위해 웹 2.0 사 조를 반영한 ’이러닝 2.0’ 교육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영향 요인을 도출하여 소셜 웹 시대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접근에 대하여 조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