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이론과 칼 슈미트의 정치개 념으로부터 발전시킨 ‘적대와 인정의 정치’ 틀로 공산체제 이후 헝가리 정치변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헝가리에서는 1990-2010년의 체제전환 기간에 온건다당제와 양당제를 가진 비교적 공고한 민주주의가 자리잡고 인정의 정치가 유지되었다. 정치세력 사이에 경쟁과 갈등은 존재했지만, 상대방을 정치무대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적대의 정치를 발견하기는 어려 웠다. 그러나 2010년 이래 헝가리의 정치는 엄청나게 변모하였다. 2010 년에 복귀한 오르반정부는 포퓰리즘을 대변하였고 3연임에 성공하였다. 오르반정부의 포퓰리즘은 비자유적 민주주의로 정당화되어왔다. 그의 정 부는 민주세력이나 반대세력을 억압하였고 언론자유를 침해해왔다. 또한 민족주의적 감정을 동원하거나 조장하였고, 반EU정책이나 반난민정책을 전개하였다. 오르반정부의 포퓰리즘으로 인해 헝가리에서는 인정의 정치 가 적대의 정치로 변모한 것이다. 2010년 이후 헝가리 민주주의는 후퇴 하고 악화되었으며, 헝가리정치는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사이에서 표류하 고 있다. 지오반니 사르토리의 정당체제이론을 헝가리에 적용하면, 헝가 리는 일당우위치제와 패권정당체제의 경계선에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요인 가운데 ‘신뢰’의 수준이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민주적 퇴행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을지 개괄하였다. 이를 위하여 민주적 후퇴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연구들과 더불어 사회적 자본 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민주적 후퇴는 포퓰리즘의 등장과 같은 것으로 이해한다. 민주적 후퇴가 등장한 전형적인 사례로써 헝가리와 폴란드를 선택하였고, 두 국가가 경험한 민주적 후퇴 과정을 서술한 후 사회적 자본의 측정 지표인 '신뢰'의 수준 변화를 시계열 추세 분석을 이용하여 추적했다. 분석을 위해, WVS가 설문조사 를 통해 수집한 개인적 신뢰 및 집단적 신뢰 데이터들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에서 모두 개인적 신뢰와 민주적 후퇴 간 인과관계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집단적 신뢰의 차원에서도 그 추세 변화가 민주적 후퇴와 연관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집단적 신뢰가 저수준으로 고착됐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이 민주적 후퇴 현상을 용인하는 토양이 되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는 아주 제한적이고 따라서 강력한 결론을 이끄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가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의 관계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이끄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유럽 국가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 냉전체제의 붕괴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변화 등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민주주의 정치체제, 시장경제체제 그리고 자본주의 문화를 수용하였다. 동유럽 공산체제는 공통적으로 경제위기에 따른 생활수준의 급격한 하락 그리고 글라스노스트(Glasnost, 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 (perestroika, 개혁) 정책으로 서구와의 협력을 모색하였던 고르바초프 (Gorbachev)의 등장 등으로 붕괴하였다. 이외에도 동유럽 국가들은 민주체제전환 과정에 있어서 그들 자체의 공산주의 특색을 보이며 상이한 체제전환을 경험하였고 폴란드와 헝가리의 체제전환은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동유럽 국가들의 사례와 같이 체제전환에는 심각한 정치적 문제와 중 대한 법적 과제를 수반한다.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에 따라 기존의 공산주의 과거사를 정리하지 않는다면 과도기 민주정부가 추구하는 국민 통합 및 상생은 달성될 수 없으므로 전환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에 대하여 논할 필요가 있다. 정치적 변혁기에 있어 전환기 정의는 국가가 법의 지배(rule of law) 원칙에 따라 합법적이고 공정하게 과거 억압하던 체제의 악행 및 불법행위에 대해 해결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민주체 제로의 전환은 그 과정에 있어 민주적이어야 하고 법의 지배 원칙에 부합되어야 한다. 동유럽의 공산체제 붕괴 이후 과거사 청산 과정에 있어서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공산정권으로부터 탄압당하고 희생된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및 정치적·법적 신분 회복, 가해자 명단 공개 및 심판, 공 산정권 요원과 협력한 자의 활동 제한, 공산정권 당시 작성된 문서의 당사자 열람, 진실과 화해를 위한 위원회 구성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폴란드와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들은 과거사 청산을 진행하면서 피해자들에 대한 정의를 구현하고 공산정권 당시 권력자 및 이에 협력한 자의 권리 를 박탈하여 진정한 주권 국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폴란드 및 헝가리 사례를 중심으로 1980년대 체제전환기 두 국가의 과거사 청산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과거사 청산에 있어서 어느 방안이 옳고 그른지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국가의 당시 상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산주의 과거사 청산을 위한 법제 및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폴란드 및 헝가리의 과거사 청산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통일 한국의 과거사 청산 과정에 있어서도 진정한 과거와의 대면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로써 국민 통합 및 상생의 과제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헝가리는 1985년부터 경제위기와 더불어 야권 세력이 등장하며 이념투쟁이 표면화 되었다. 1988년 6월 역사진상규명위원회가 구성되 었고, 헝가리 공산당 정부는 1989년 주요 재야단체, 시민단체들과 임시로 ‘원탁회의’를 구성했다. 1990년 4월 첫 번째 총선에서 헝가리민 주포럼(MDF)이 제1당이 되었고 당수인 언떨 요제프(Antal Jozesf)를 수상으로 선출했다. 체제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안은 과거사 정리이다. 충분한 피해자 보상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나름 상징적 차원에서 시도되었다고 평가된다. 북한은 폐쇄사회이지만, 한류열풍과 중국 등지를 통한 교류는 북한주민들의 시야확장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내부의 노력에 의해 체제변화를 이끌어 낼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우리는 북한에 있는 조선그리스도교 연맹과 지하교회가 북한체제변화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관심을 갖고 고민하며 주시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Hungarian men’s costume. Transition of the Hungarian men’s costume can be divided into pre-eighteenth century, eighteenth century, and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Hungarian costume was derived from the Magyar who settled in Hungary in the ninth century. Hungry had begun to accept Western culture in the tenth century, so when the prototype of Hungarian costume was completed, it consisted of Dolman, Mente, pants, and boots combining traditional Magyar style with Western European style. In particular, Dolman shows the uniqueness of the Hungarian men’s costume; it has a high, stand-up collar in the back center, closes on the left, has a right front plate with a diagonal cut at the waist, and a wide front closure. In the eighteenth century, Hungarian men’s costum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splaying national pride while living under the oppression of the Habsburg Empire. In particular, Dolman was worn as a uniform at the battle of independence (1703~1710). This dress of male courtiers became the distinctive style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en became the basic style of men’s costumes.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Hungarian men’s costumes have acted as an means to promote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Hungary through the Citizen Revolution (1848), the War of Independence (1849), and the formation of the Dual Empire (1867). Looking at evolution of the Hungarian men’s dress style, it reveals that resistance and struggles against other nations, a history of aggression, and living under oppressed are factors that impact on important clothing transitions.
Imre Makovecz, a Hungarian architect, has chiefly known for his unique organic works. He has taken a lot of sharp criticism against mere functionalistic and stylistic approaches toward modern architecture. Instead, he has desired to pursue a true embodiment for organic beauty and hungarian cultural heritage in architecture. Although most of his works reside in Hungary, he has become an internationally recognised architect for his unique works.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Hungarian culture and its influence to Makovecz's architecture. It also examines how Makovecz investigated Hungarian folk art traditions and primitive craft patterns, and then applied the lessons learned into his own architectural designs. Then, this article attempts to expose the principles of his organic architecture deep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Rudolf Steiner. Finally, it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employing similar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a rich architectural tradition.
Ödön Lechner has been known as an architect who incorporates Hungarian folk motifs in creating a highly original Hungarian national style. Nevertheless, his work has been surprisingly neither exposed nor familiar to Korean audiences. This article attempts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echner’s architectural thought and ideas along with his buildings in Budapest. First of all, this article presents the evolution of Lechner’s architectural thought by dividing his career into four marking periods. They are in chronological order to serve as a record of his architectural career. The authors then discuss his concern on the Hungarian ethnography in architecture while turing away from orthodox classicism. Subsequently, this article analyzes Lechner’s three major buildings located at Budapest. By doing so, it attempts to expose his underlying design ideas and to shed light on the most elegant works of the architect. Finally, it marks out Lechner's influences on young Hungarian architects.
본 연구는 1999년 헝가리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35점을 평가하여 원예적 형질을 조사하고 유용한 자원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한국시판 대비 품종 ‘금당’과 ‘슈퍼비가림’과 비교했을 때 개화소요일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초장은 한국 품종이 평균 163cm이었으나 헝가리 자원은 133cm로 작게 조사되었다. 과형은 한국 품종과 유사한 sweet banana형이 83%로 가장 많았고, 소형은 cherry형이 14%였다. 과중은 대체로 한국 품종 25g에 비해 무거워 평균 34.7g이었다. ASTA 값은 100이상이 9자원이었으며, 당함량은 15% 이상이 4자원이었다. Capsaicinoids 함량은 10mg% 이하인 자원이 69%, 10~40mg%가 17%, 40mg% 이상은 14%로 대부분 매운맛 성분이 적은 자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