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63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거주 노인의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의 이동권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 고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4년 7월 22일부터 동년 8월 16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노인복지기관을 방문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200부 중 19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분명한 설문지 33부는 제외하여 총 16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다중응답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 참여자들은 버스(34.6%), 자가운전(32.1%), 이륜차(16%) 순으로 이동 수단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복지시설(31.1%)과 병원 진료(23.7%), 사회활동(17.5%)을 위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인 식하는 운전의 주요 제약 요인은 시력 저하(38.3%), 반응 속도 저하(21.0%), 인지 저하(14.8%) 순의 결과를 보였다. 연 구 참여자 53.1%는 자가운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반면에 면허 반납에 대한 인식은 69.1% 수준으로 높은 필요성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 40.7%는 운전중단 시기를 스스로 운전을 못한다고 생각할 때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운전 재활에 대한 인식률은 91.4%로 매우 낮게 나타났고, 자가운전 지속을 위해 필요한 도움으로 운전 재활 전문가의 교육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북지역 노인의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주요 이동 수단, 이용 목적, 자가운전의 제약 요인 및 면허 반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 및 제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 구 대상 지역과 집단의 범위를 확대하고, 운전중단 이후의 대체 교통수단과 운전 재활 지원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 요하다.
        4,5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의 군은 무형의 전투력 강화를 위한 나름의 다문화정책을 추진해왔 으며, 학계에서도 관련 대비책 마련을 위한 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 러나 이 글은 민군 양자의 영역에서 기울이는 그간의 노력이 각각 공전(空轉) 할 뿐, 상보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다음의 두 단계 논 의를 거쳐 군 다문화정책 발전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다. 우선, 기 존의 문헌 자료들과 각종 연구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기본으로 하되, 이 글의 문제의식과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총 8가지 질의에 따라 육·해(해병대 포함)·공, 3군(軍)과 주무 부처인 국방부가 국회에 제출한 답변자료를 토대로, 군의 다문 화정책 시행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군사경찰에 의해 형사입 건된 다문화 장병 관련 차별 사건사례(건명, 모욕)가 2021년에 2건 발생했었고, 최근 5년간 다문화 이해 교육은 각 군별로 ‘실시’ 혹은 ‘미실시’, 관련 자료의 ‘보유’ 혹은 ‘미보유’ 등 별도의 관리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 음으로, 이상에서 파악된 문제점들을 근거로 ‘기술적 평가(descriptive evaluation)’ 방식을 준용한 4가지 기준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군 다문화정책 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정책에 대한 재논의와 다음의 정책 보완점이 필요함 을 주장한다. 첫째, 정부와 각 군 차원에서는 ‘다문화 전략’과 전략목표의 설정, 보 강된 다문화 이해 교육 실시를 위해 학계와의 ‘인식커뮤니티(epistemic community)’를 형성해야 하며, 둘째, 학술연구 차원에서는 민군이 연계 및 협력하 여 정책 연구 우수 성과를 발굴하고 확산시키는 과제를 병행함으로써 이행기 문화 시기의 군, 전(全) 장병을 위한 철저하고 기민한 대비를 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6,900원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로 도입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기본어휘 865개 항목이 고 등학교 ‘중국어’ 과목 교과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본어휘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별 기본어휘 비율, 범위 초과 어휘, 공통 어휘와 미수록 어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각 교과서 어휘 색인의 목록 어휘 비율은 58.8%에서 77.4%까지 다양하였으 나, ‘일러두기’에 따라 기본어휘로 인정되는 낱말들까지 포함하면 모두 80% 이상이었 다. 4종 이상의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범위 초과 어휘는 49개였는데, 대부분은 기 본어휘로 간주되는 경우였다. 7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낱말은 108개였는데, 이 가운데 1, 2급 어휘가 91.7%로 비중이 매우 높았다. 한편 미수록 어휘는 332개였으 며, 그중 1급 어휘는 55개로 많지 않았다. 기본어휘 활용의 효율성 제고와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목록 어휘 활용에 관한 공통 지침의 강화가 요구된다.
        5,400원
        5.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산림지역에 조성된 각종 산림도로의 밀도를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산림도로망의 현황과 문제점 을 평가하였다. 분석은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임상도와 임도 현황, 국토교통부의 도로중심선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림 내부 및 인접 지역(산림 경계로부터 75m 이내)에 위치한 도로의 총길이를 계산하고, 이를 전체 산림면적으로 나누어 산림도로 밀도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산림도로 밀도는 전국 평균이 무려 51.0m/ha에 달하였다. 이는 일본의 산림도로 밀도 24.1m/ha, 오스트리아 전체 산림의 도로 밀도 37.0m/ha, 오스트리아의 경영림을 대상으로 한 산림도로 밀도 45.0m/ha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높은 수치였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산림 도로망이 관리와 경영을 위한 요구 조건을 훌쩍 넘어섰음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도로 건설은 경제적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산림 경영에 필요한 적정 도로밀도는 5~14m/ha로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불 조기 진화 등을 위한 도로망 확장 필요성 등도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고 있어 현재 임도를 중심으로 한 산림도로 밀도 확장정책은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철새도래지로 지정․보호되고 있는 남양호 일대에서 물닭 Fulica atra의 조사시기에 따른 로드킬 출현 개체 현황, 서식지 간 이동, 호수 내 결빙 경향성 및 차량 이동현황 등을 토대로 물닭 개체군 보호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는 2017년 11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총 50회 실시하였고, 로드킬 사망개체 확인 시 GPS 위치와 수면 결빙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로드킬 발생지역 일대의 차종별 이용 및 이동량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남양호는 월동기인 12월에서 1월 사이에 기온저하로 호수 수면부가 결빙되면서 물닭의 로드킬 발생이 증가하였고, 다른 조류에 비해 물닭이 차지하는 비율(54.5%)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닭의 주요 로드킬 발생 지역은 장안대교와 남양호교 일대로 호수 내 결빙으로 먹이 섭취가 점차 어려워지면서 낙곡 등 먹이원을 찾아 호수에서 농경지로 이동하는 개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닭은 남양호에서 주변 농경지 및 도로로 이동시 주로 걸어서 이동하였고, 다수 개체에 의한 비행이 소수 개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행고도가 높았다. 조사지역에서 차량의 이동량은 302번 지방도 일대에서 가장 높았고, 차량 속도도 전체 조사지역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로드킬 발생 빈도는 장안대교와 남양호교 일대에서 높았는데, 이는 남양호 일대에서의 물닭 로드킬 발생은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도로 주변 일대의 다양한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에 따른 물닭의 로드킬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로 내 차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의 추가 설치와 무인과속단속 장비의 신설이 요구되며, 물닭 차량 충돌 지역임을 확인시켜 줄 로드킬 주의 안내판과 내비게이션 등을 통한 주요 충돌 지역임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남양호 수변부로 물닭의 비행고도 유지를 위해 교목층의 상록침엽수림, 목재형 울타리 및 전신주 지하 매립 등으로 서식지간 이동시 비행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다층으로 수목을 식재하여 도로에서 수계 지역으로 이동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로 및 주변 일대로의 물닭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가드레일 하단 차폐, 도로 주변 제초 시행, 도로 침입 경보음과 경광등의 설치를 실시하고, 로드킬 비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낙곡 등의 먹이원 공급 지역을 확대 등의 저감방안을 다양하게 수립한다면, 물닭의 로드킬 발생으로 인한 사망 요인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에서 확인된 로드킬 개체는 현지에서 발생한 사망 개체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로 더 많은 조류가 차량 이동으로 인해 생명에 위험 및 위협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철새도래지 일대에서 물닭의 로드킬을 저감하기 위해 기 제시되었던 저감방안의 수립과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지 교란을 최소화한다면, 물닭의 월동지 및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는 남양호에서의 개체군 감소 및 남양호 내의 조류의 종다양성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7.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intake status and the factors affecting intake of functional foods using the data from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mong the total respondents, 80.4% took functional foods,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took two types of functional foods was the highest. The main reason for taking functional foods was to prevent disease, and the main places of purchase of functional foods were off-line large supermarkets, on-line shopping malls, and pharmacies. Compared to a year ago, the percentage of increase in functional food purchases this year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decreas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not taking functional foods were ‘not feeling the need’ and ‘not trusting the qual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ake of functional foods, gender, age, marital status, illness state, alcohol drinking, and convenience-seeking type among dietary lifestyles were significant.
        4,300원
        8.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ways, particularly installed at the estuary, have a purpose to encourage fluent migration for migratory fishes, as well as amphidromous and even freshwater species. Not choosing the laborious traditional method of using traps, we assessed the efficiency of the two fishways installed at the west and east barrage of the Nakdong River estuarine barrage respectively, by analyzing the videos recorded through automatic monitoring system. We randomly selected 30 videos monthly at each fishways and identified what kind of fishes were using the fishways and categorised their behaviour such as size, time and whether they passed the monitoring system or not. As a result, a total 8 families 14 species were recorded by monitoring system, with the most dominance of Erythroculter erythropterus (Relative Abundance: 59.5%), followed by Micropterus salmoides (R.A: 19.9%) and Mugil cephalus (R.A: 9.9%). The monitoring system can capture passing fishes during night but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fish species at each hour of a day indicated significant diurnal activities (p<0.05). When fishes pass the monitoring system, approximately 70% of them pass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while 17% of them showed fallback movement. Our finding indicates that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fish are well represented through video monitoring method. In order to maximise advantages of using video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stallation point properly so that the monitoring system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fish. Also, the utilisation of AI technology in the future is also necessary.
        4,300원
        9.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 host numerous significant wetlands, including the Nakdong River Estuary, one of the largest migratory bird habitats in East Asia, making it an essential habitat for waterbirds. However, issues such as wetland area reduction have arisen due to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1980s. This study analyzed annual and monthly changes in waterbird populations and examined habitat use patterns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four wetland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Nakdong River Estuary (NRE), Lower Nakdong River (LNR), Junam Reservoir (JUR), and Upo Wetland (UPO), using waterbird data collected from 1999 to 2024. The results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waterbirds at the NRE and UPO, while an increasing trend was observed at the LNR and JUR. Notably, populations of Anatidae decreased at the NRE and UPO but increased at the LNR and JUR, indicating that changes in Anatidae significantly influenced waterbird population trends. Monthly population fluctuation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at the NRE and LNR. While the population decreased at the NRE after November, it increased at the LNR. This suggests that waterbirds moved to the LNR due to habitat and food resource reductions in the NRE. In contrast, the JUR and UPO exhibited weaker associations with the other sit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future wetland management and waterbird conservation strategies in the B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
        4,000원
        10.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nual change and distribution of flora,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Korean Red List species, and invasive plant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Ecological Park over a 10-year period (2013~2023). The park was established in 2009 as part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e investigation identified a total of 704 taxa, comprising 137 families, 401 genera, 631 species, 18 subspecies, 38 varieties, 11 forms, and 6 hybrids. Eulsukdo Ecological Park exhibited the highest plant diversity with 531 taxa, followed by Hwamyeong (404 taxa), Samnak (387 taxa), Daejeo (369 taxa), and Maekdo (356 taxa). The endangered wildlife survey identified three endangered plant species (Class II): Euryale ferox, Brasenia schreberi, and Saururus chinensis. Following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E. ferox has been consistently observed both within the restoration area and the riparian of main channel.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highest in Eulsukdo Ecological Park (24.1%), followed by Hwamyeong (20.0%), Samnak (18.1%), Maekdo (17.8%), and Daejeo Ecological Parks (16.7%). Twelve invasive plants were identified: Sicyos angulatus, Lactuca scariola, Ambrosia trifida, Ambrosia artemisiifolia, Solanum carolinense, Aster pilosus, Hypochaeris radicata, Rumex acetosella, S. altissima, Paspalum disticum,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and Humulus japonicus. Notably, S. altissima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ts total distribution area, shrinking from 741,092 m2 in 2021 to 241,396 m2 in 2024.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necessary to prevent invasive plants, including ecosystem-disturbing species, from forming large colonies and hindering the growth of native plants.
        4,2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equency of flooding is increasing due to heavy rainfall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order to prevent flood damage in low-lying areas, systematic measures are needed for urban watersheds. The underground infrastructure of Shinwol was built to sustained heavy rains that occur more than once every 30 years, which has prevent flooding in the area. Additional construction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facilities is plann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Seoul and Busan. Overseas countries have installed numerous underground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lood damage and improving water quality in urban areas, and have verified their social and economic effects. However, since there are still few cases of introduction in Korea,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fea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business, a multipurpose utilization plan must be developed to enhance the value of water resources and underground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flood prevention effect,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systematic and stable design and operation technology must be secur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promot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optimizing plann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urban flood control facilities’ project starting in 2024 to secure core technologies for Korea’s customized underground infrastructure. The project aims to develop flood control facility technologies that can protect citizens safety and property from urban flooding. I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facilities introduced from overseas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urban flooding and examined the improvement effects through introduction.
        5,7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23 to establish proper eating habits and enhance the nutrition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during a nutrition camp hosted by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total of thirty boys and twenty-three girls participated, with an average age of 11.2 years. The breakfast skipping rate was 11.3%, while 84.9% reported eating out once or twice a week, and 86.8% indicated they consumed delivery food once or twice a week. Regarding snacks, 47.5% of students reported eating snacks twice a day, and 73.6% identified as picky eaters. Furthermore, 66%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no prior experience with nutrition education or consulting nutritionists. The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score before the start of the nutrition camp was 14.4 out of 20, and after the end of the nutrition camp, it statistically increased significantly to 16.4 points (p<0.001). The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utrition cam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start of the nutrition camp, and this result shows that various activity programs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can be effective.
        4,0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41 individuals in 7 locations within CP, MG, UC, and DN map sheets were observed. The MG map sheet had the highest number (n=13) of individuals, while the CP-3 site on the CP map sheet had the lowest number (n=1) of individuals. Land us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G site with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had a high percentage (70.56%) of forest land areas with a small percentage (12.63%) of farmland areas. The CP-3 site with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had a small percentage (26.47%) of farmland areas. It also had the highest percentage (32.13%)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covering 19,616 m2. Measurement results of the physical habitat environment for B. karubei indicated a mean substrate of -2.1 (Φm), an average water depth of 63.0 cm, and a flow velocity of 0.2 m s-1. The association rule analysis for co-occurring species revealed that Semisulcospira coreana, Ecdyonurus kibunensis, and Goera japonica had the highest associations among lotic species, while Limnodrilus gotoi and Calopteryx japonica demonstrated the highest association among lentic species.
        4,2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과정과 교육방식 현황분석을 통 해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효과적인 교육방식 적용 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 적인 교육훈련기관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육방식, 그리고 교육목표와의 연계성 등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특성과 교육목표에 적합한 교육방 식 적용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육훈련기관 의 교육운영계획서 및 관련자료, 선행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 으며, 결과에 따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상관없이 대면 교육방식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다. 둘째 하이브리드 교육방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셋째, 교육방식과 교육목표의 정합성 정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교육방식과 무관하게 유사한 교육목표 유형을 설정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방식 채택기준 에 대한 표준화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6,7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10,977 individu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ISTF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on Jeju island as of 2022. The number of ISTFs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hillside area, where the elevation is above 200 m and is recognized as a major area for groundwater recharge. A total of 80 ISTF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management status and effluent water quality. This was carried out in two areas, Aewol-eup and Jocheon-eup, which are known to have the highest density of ISTFs in Jeju island. Consequently, 23.9% of ISTFs failed to remove sludge regularly, and 41.3% of ISTFs did not run the blower. The effluent water quality revealed that violating percentage of the legal standards for BOD, SS, T-N, and T-P were 75.0%, 62.5%, 100%, and 86%,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iciency of effluent quality by management,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he BOD and TOC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building usag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luent from ISTFs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the building usage. Furthermore, no distinction was observed in contamination components due to blower operation, with the exception of DO. However, the mean value of the NH4 +-N/T-N ratio was found to decrease with DO, indicating that blower operation may potentially reduce the contamination burden of ammonium in groundwater.
        4,2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propose new grading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current domestic grading standards for onions in South Korea are bas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They classify onions based on criteria such as uniformity, shape, color, and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Onion grading standard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bulb diameter and weight. However, in the actual domestic market, onion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a five-grade classification based on bulb diameter.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onions into eight grad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in the domestic market. These grades are applicable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Marketable onions were classified into A1 (extra large) to A5 (extra small) based on the diameter of a single bulb. Onions used for non-marketable purposes (processing) were classified as grade B. Additionally, grade C and grade D were designated for processing and disposal, respectively. By establishing quality grading classifications that align with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arket trends as well a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we can expect improvements in work efficiency and reductions in distribution costs. Following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quality grading standards that include both external criteria (such as bulb weight and size) and internal criteria (such as detection of internal decay and disease occurrence).
        4,0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New Zealand’s beekeeping industry and Manuka honey grading system to suggest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s for Korea’s honey grading system. Manuka honey in New Zealand is harvested from the Manuka tree (Leptospermum scoparium). It is known for its various bioactive propertie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s. Since 2017, the New Zealand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national certification and grading for all exported Manuka honey. For this purpose, compositions of Manuka honey across New Zealand have been investigated and four chemical indicators and one biological indicator have been established. Currently, Korea has been fully implementing a honey grading system since September 2023, which divides honey (acacia honey, chestnut honey, and miscellaneous honey) into 1+ grade, 1 grade, and 2 grade according to Enforcement Rules of the Livestock Act. The following seven indicators are used: carbon isotope consumption, moisture content, sugar ratio, hydroxytmethylfurfural, flavor, chromaticity, and defects, similar to Codex standards or European standards. However, details are modified to suit Korean conditions. To make the Korean honey grading system more sta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troduce different indicators for honey functionality and honey grading system matur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farmers in the honey grading system, secure consumer trust in the honey grading system, and continue to promote it.
        4,0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and the formation of cyanotoxins in lakes and reservoirs are influenced by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the harmful cyanobacteria occurrence and cyanotoxins concentrations was investigated in three agricultural reservoirs in the southern Gyeonggi-do in 2023. Although harmful cyanobacteria growth and cyanotoxins formation are influenc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ctual ecosystem, the cell density of harmful cyanobacteria reached its maximum in Septem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highest cyanotoxins (microcystin and anatoxin-a)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Octo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dropped to the range of 20~23℃. From this investigation, harmful cyanobacteria blooms and cyanotoxins residence in investigated three agricultural reservoirs was observed.
        4,0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자립준비청년은 원 가정에서 분리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가 종료된 뒤 자립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이들은 경제적, 교육적, 심 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 복지부 중심의 자립지원정책이 2019년부터 본격화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와 논의들은 자립지원정책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본 연구는 정책자료와 학술자료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립지원정책은 부처 간 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자립준비청년 간 자립역량과 자립수준의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현 정책은 청년이 된 이후의 지 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청소년기부터 개인별 자립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로드맵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의 개선 방안으로, 자립지원 전달체계의 통합과 자립지원 방식의 다 각화를 제안하였다.
        9,200원
        20.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업과 복지연계를 통해 건강회복・유지・증진으로 사회적비용을 절감함과 동 시에, 농촌의 새로운 활로 및 소득원 창출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 하기 위해 치유농업 정책 및 사업이 추진 되고, 2020년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치유농업법’)이 제정되어 치유농업이 법제화된 5년 차 즈음에 그동안의 한국 치유농업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치유농장의 입장에서 한국 치유 농업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한국 치유농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총설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발행된 논문, 기사, 보고서 및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치유농업사 교재 및 자료와 제1차 치유농 업 연구개발 및 육성종합계획(’22∼’26) 를 참조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치유농장’, ‘원예’, ‘동물을 활용한 치유농장’, ‘치유농업의 현황’, ‘치유농업의 한계’, ‘치유농업의 문제점’, ‘치유농업의 발전방향’, 농사백과, 현장정보, 농촌문화 데이터를 검색 할 수 있는 ‘농사로’ 에서 하였다. 논문 검색 범위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행된 논문 8개와 기사 8개 학술지 3개를 대상으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검색 방법으로는 국가과학기술성 보 센터(NDSL),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KERIS), 한국학술정보서비스(KISS), 농사로, 농촌진흥청,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 6곳과 인터넷 언론매체에서 치유농업과 관련 된 자료만을 선택하여 검색 하였다. 한국 치유농업의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 1. 치유농업 중앙 컨트롤타워의 필요하다. 2. 치유농업 정책의 통합이 필요하다. 3. 치유농장의 수익성 확보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4. 사회적농업과 연계가 필요하다. 5. 치유농업 시설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6. 치 유농업사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7. 치유농업 효과성 입증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