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보령호를 대상으로 어류상 및 붕어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17년 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류상 조사결과, 총 9과 15종 3,506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한국고유종은 얼룩동사리 1종 (6.6%),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종은 떡붕어, 배스 2종 (13.3%)이 조사되었다. 상대풍부도 분석결과, 빙어 1,706개체 (48.6%), 붕어 1,021개체 (29.1%)로 각각 우점, 아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량 분석결과 붕어가 246,130 g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동자개 50,610 g, 떡붕어 14,730 g, 메기 11,560 g, 잉어 10,930 g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 0.87 (±0.2), 다양도 지수 0.78 (±0.5), 균등도지수 0.47 (±0.2), 풍부도지수 0.99 (±0.5)로 분석되었다. 붕어 개체군의 전장 - 체중 상관관계 분석결과 회귀계수 b값은 3.06으로 나타났으며, 비만도 지수 (K) 기울기는 양의 기울기로 분석되었다. 전장빈도분포 분석결과, 당년생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2년생으로 추정되는 170~190 mm 개체는 다수 출현하였고, 4~5년생으로 추정되는 230~280 mm 개체는 낮은 출현을 나타내었다. 보령호의 저수량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평균저수량과 NDWI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3년에서 2014년에 급격한 연평균 저수량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웅천천이 유입되는 St. 4에서 수위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ytogenetic and hemat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on Cyprinidae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crucian carp, C. cuvieri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in four major rivers of Korea. In our results, DNA contents of triploid Cyprinidae were 50% more than those of diploid Cyprinidae. Also, erythrocyte size of triploid Cyprinidae was 50% larger than those of diploid Cyprinidae. In all sampling rivers, sex ratios of C. auratus were biased to female, and especially, triploid groups of C. auratus were all female groups (p <0.05). In principle, sex ratios of C. cuvieri and common carp were equivalent between male and female.
본 연구는 시멘트 노출에 따른 어류 조직의 형태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여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노출된 아가미는 일차새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염세포와 점액세포도 두드러지게 활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차새변의 새엽에서는 상피세포의 증식과 박리 및 곤봉화 현상도 관찰되었다. 신장 조직에서는 보우만 주머니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고, 표피 조직은 표피층의 두께가 감소하며 진피층의 배열이 불규칙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항산화효소와 LDH의 활성은 조직 및 노출 기간에 따라 활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피 조직에서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은 해당과정과 에너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확인되었고 발현이 저하된 단백질들은 근수축에 관여하는 근섬유 구성 단백질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용해된 시멘트 분말은 붕어 조직의 형태적 변형과 생리적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어류의 생존에 커다란 위협이 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토사로 인한 탁도 증가가 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실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강 또는 호소에서 출현 비율이 높은 붕어, 잉어, 송사리를 대상으로 수정란 부화율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붕어, 잉어는 4,040 NTU 수준까지 수정란 부화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지만, 송사리는 254 NTU 이상의 구간에서 부화율이 저해되는 영향을 보였다. 붕어, 잉어, 송사리 치어의 4일간 노출 결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반면 성장률 결과에서 잉어와 붕어는 7일, 14일, 21일 모두 143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송사리는 14일 노출 시 254 NTU, 21일간 노출 시 501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강 또는 호소에서 143 NTU 이상의 탁도가 발생할 경우 붕어, 잉어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고, 250 NTU 이상의 탁도는 송사리와 같이 민감 어종의 부화율이 저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생태계에서 외래종의 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배스의 경우 높은 포식압으로 수생태계 내에서 상당한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위해종으로 선정되어 관리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해종인 배스가 국내토착종인 붕어의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조사는 총 7지역의 저수지에서 시행하였으며, 배스의 유무에 따라 붕어의 길이분포와 길이무게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스가 서식하는 지역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 치어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고 오히려 2년생 이상의 큰 개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일반적인 성장 패턴을 보였다. 또한 배스의 직접적인 먹이가 되는 1년생 이하의(160 mm 이하) 붕어개체를 대상으로 길이-무게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에서 매개변수 b값이 2.909, 배스가 서식하는 호소에서는 매개변수 b값이 3.100로 나타나 배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붕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스의 포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호소내 개체군이 생존을 위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붕어뿐만 아니라 국내 토착하는 다른종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 중 상류 수계에서 붕어의 자원량 및 자원관리의 기초로 사용되는 붕어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채집된 붕어의 전장은 95-288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연령은 비늘의 윤문을 통해 결정하였다. 연령형질로서 비늘은 윤문이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최고 연령어는 5세로 나타났다. 전체 표본에서 2세 연령어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으며(n=38), 다음으로는 3세 연령어가 풍부하였다(n=22). 연변수지수 분석을 통해 매년 단일 윤문이 형성됨이 확인되었다. 체장과 체중 간의 관계식은 BW = 0.0038BL3.73(R2=0.96) (p〈0.01)로 추정되었고, 인경과 체장 간의 관계식은 BL = 2.362R+2.76(R2=0.89)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 파라미터들은 이론적 최대체장 33.2cm이었으며, 이론적 최대체중 1,798.4g, 성장계수 0.20년-1, 체장이 0일 때의 연령 -0.51년 등으로 추정되었다. von Bertalanffy에 의한 붕어의 성장식은 Lt = 33.23(1-e-0.20(t+0.51))(R2=0.98)로 확인되었다. 연간 생존율은 0.427년-1로, 순간자연사망계수는 0.784년-1로 추정되었으며, 순간어획사망계수는 0.067년-1로 산출되었다. 생존율로부터 추정된 순간전사망계수는 0.851년-1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붕어를 이용하여 탁도 변화에 따른 여러 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탁도 50, 100, 150 NTU에서 사육기간에 따른 붕어 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의 변화는 50과 100 NTU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며, 고탁도인 150 NTU에서 비교적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냈다. 붕어 조직의 항산화능을 DPPH 소거 활성도에서 보면 아가미, 간 조직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 고탁도의 사육 조건에서 장기간 사육될 때 비효소적 항산화
We used flowcytometry to ploidy verification after that investigate difference between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through the truss dimension and classical dimension at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crucian carp C. cuvieri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collected from Hangang river, Hantangang river, Imjingang river, Geumgang river, Yeongsangang river and Nakdonggang river, Ko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species for the truss dimensions anterior origin of dorsal fin (2)× anterior origin of anal fin (5), 2× anterior origin of pelvic fin (6), 2× origin of pectoral fin (7), posterior origin of dorsal fin (3)×5, 3×6, and 3×7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species in the truss dimensions dorsal fin length (2×9) and eye diameter (ED)(P>0.05).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veral classical dimensions of each species (P>0.05). Three classical dimensions,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1)×2, 1×6 and 2× most posterior scale in lateral line (4) did not differ between the C. auratus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P>0.05). Two classical dimensions, 1×6 and longest length between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and gill cover (1×8) did not differ between the C. cuvieri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P>0.05). One classical dimensions, 1×2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mmon carp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ach diploid and triploid specie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lassification of each species and classification between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morphometrical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are useful indices of morphometrical status in the each species from major river of Korea.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ight spectra on circadian rhythm by exogenous prolactin (PRL) by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s): red, green, and purple. We injected PRL into live fish or treated cultured brain cells with PRL. We measured changes in the expressions of period 2 (Per2), cryptochrome 1 (Cry1), melatonin receptor 1 (MT1) mRNAs, and MT1 proteins, and in the plasma PRL, serotonin, and melatonin levels. After PRL injection and exposure to green LED light, MT1 expression and plasma melaton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but the expressions of Per2 and Cry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Plasma serotonin after PRL injection and exposure to red LED ligh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jection of high concentration PRL inhibits melatonin, and inhibited melatonin regulates circadian rhythm via clock genes and serotonin. Thus, exogenous PRL regulates the circadian rhythm and light spectra influence the effect of PRL in gold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