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language writing symbol inherited by the Chinese nation for nearly a thousand years, Chinese characters have obvious id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nents of Chinese characters play an important role at the ideographic level. Different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jointly participate in the overall formation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shape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aturally inseparable from the study of components. After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ast dynasties, both the overall shape and the partial components of the characters have changed over time. Modern Chinese characters use common regular script. If we trace and explore its specific components in combination with past dynasti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the meaning and source of the component itself may be more than one. In modern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ith component “口”. In most cases, the component “口” plays the formation meaning function of “mouth”. However, if we trace the origin of the Chinese characters containing the component “口” and start from the early forms of the relevant Chinese characters, we can discover a variety of formation meaning functions of the component “口” except "mouth". Through research, this paper finds that the modern Chinese character component “口” not only means “mouth”, but also has other formation meaning functions such as “ware”, “symbol” and “range”. For the research on the origin of the formation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 component “口”, the related academic achievements still need to be improved.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ce value of exploring and improving the multiple functions of the specific components.
        6,0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primary English textbooks include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Three third and fourth grade level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the proportions of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embody those component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teachers’ guid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l of the textbooks examined included diverse components that were intented to increase creativity, among which components stimulating divergent thinking and originality were a high proportion, while convergent thinking and dispositional aspects appeared less frequently. Among character building components, care-forgiveness and responsibility were two of the more popular components, while honesty and moral judgment were few and far between.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should be mo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extbook activities since they should be of equal importance in education.
        6,9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ariant form which created and broke the character components by stroke change. This variant form is made through add and reduction and change the stroke, as a result that is produced another new graph.This study reserches for these type variant forms which is how to made and there are how many types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4,800원
        4.
        201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results of three components analysis about food waste, moisture content appeared high in order of school(89.1%), townhouse(64.9%), apartment(63.2%) and home(63.2%). And content of ash also appeared high in order of school(8.8%), townhouse(6.3%), apartment(5.4%) and home(4.2%). This is judged as cause of difference of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emission-source, diversity of kind of cooked food and volume-rate disposal system which is not performed. Meanwhile, combustible content is 10.9~32.6% and it is the most highest in order of home, apartment, townhouse and school. And big difference of standard deviation of apartment and townhouse is judged as difference of homogeneity due to co-emission of food waste. In addition, Low heating value appeared high in order of home(1086.07 kcal/kg), apartment(1033.69 kcal/kg), townhouse (678.07 kcal/kg) and school(9.18 kcal/kg). And the reason that heating value of school is very low is error about simple formula which is applied when moisture content is more than 50%.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is difficult in analysis of Low heating value of food waste.
        4,000원
        5.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적인 고효율 한자교육법』중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을 집중적 으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한자를 배 우는 초학자들이 한자의 인식에 끼친 성과를 알아보자는 것이다. 본문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의 학습 이론과 교육 실험, 교육의 응용 예시 등을 기술하였다.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은 부건(部件)을 위주로 제시되는 교육방법 으로, 상용되는 한자 부건의 교육과 인식을 통하여 초학자의 한자 학습을 더욱 용 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홍콩의 어느 초등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은 사 실 한자교육에 있어 초학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 논문 의 설계에 따라 부건 한자 학습법을 이용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설계한 한자교재를 연구 도구로 삼아, 교육 시행 이전과 이후 수치에서 드러나는 학습 성적을 비교하 고,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실천에 따른 성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방법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학습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부건을 통한 한자 교육을 통하여, 77개의 상용 부건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을 서로 분해하거나 조합하면서 다량의 새로운 한자를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한자학습량 증가율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학생의 한자에 대한 민감도와 한 자학습량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5,200원
        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교육용기초한자 자소표 制定을 위한 試案 연구」(2015)에서 제시한 ‘試案’과 현재 중국 교육부에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現代常用字部件及 部件名稱規範」(2009)과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兩者 간의 得失을 따져 보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試案’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試案’에서 제시한 310개 組 453개 기초자소와 중국의 441개 組 514개 部件을 서로 비교하여 일차적으로 아래와 같은 兩者 간의 차이를 가려내었다. 1. 양자가 동일하게 선정한 자소: 343개 2. 前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10개 3. 後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71개 본고는 위의 3과 4를 중심으로 하여 양자 간에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그 원인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 것임을 적출 할 수 있었다. 1. 楷書體와 簡體字 간의 乖離 2. 對象 字數의 차이 3. 문자의 系統性과 現實性에 대한 인식차이 4. 層次分析 방법의 채택여부 5. 기타 이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양자 간의 得失을 糾明해 본 결과, 양자 모두 각 각 설정한 ‘자소추출원칙’을 일관되게 지키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게 확인되 었고, 疏漏한 부분 역시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작업을 통하여 전자 의 문제점을 다시 검토하고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으 며, 자소 數의 增減 、分組(組 나눔) 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修訂 해야 할 부분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외에 도, 본고의 작업결과는 한자문화권에서의 한자공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韓中 양국에서 각각 公式字形으로 사용하고 있는 楷書體와 簡體字간의 互換原理를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중요 한 학습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