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Chinese style appearing in Chinese fashion designer Shiatzy Chen’s collections and, accordingly, recommend various directions for the New-Chinese style design.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Chinese style and New-Chinese style were reviewed, while relevant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prior research. Concerning the data collection, 21 season collections from A/W 2014 to A/W 2024, were selected, and 26 reviews and 1,168 collection data were col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convergence” emerges as design methods reflecting social changes and utilizes diverse cultural elements. In fashion design, it emerges in a harmonious combination of culture and artistic styles, expressing the integration of varied cultures —for instance, East–West cultural convergence. Second, “historical tradition” consistently expresses Shiatzy Chen’s fashion; continuously explores Chinese people’s garments and aesthetics; and integrates oriental dignity, culture, and discipline into fashion design. Third, “temporary diversity” refers to a Chinese fashion design culture that represents the seamless ble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social values— leading the new consumer market by combining new and old generations, graffiti aesthetics on modern streets, and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expressions. Fourth, “positive metaphor” expresses the intrinsic mental element and emphasizes covert rather than overt beauty. These expressions metaphorically communicate ancient Chinese legends via artistic techniques, such as contemporary illustration and embroidery, thereby conveying an active mental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in the collection of Chinese fashion designer Ziggy Chen, analyze the inner meaning, and suggest a new direction in Chinese fashion design. As a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New-Chinese style occurrence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fashion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were summarized as cultural tradition, historical ethnicity, and pluralistic convergence. Based on these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Ziggy Chen’s men’s fashion design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ion range was selected as the range of 20 seasons collected from 2012 S/S to 2022 A/W, which was collected on fashion sites and the brand’s official Insta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cultural resistance is a retro and ragged decadence formed by combining punk elements and industrial styles based on the clothing styles of lower-class Chinese people in the 17th and 90s. Second, cultural traditionality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by mainland Chinese designers, who expressed the conservative presence of tradition and the Chinese style by looking at it from an oriental perspective. Third, historical ethnicity forms a Chinese fashion culture in which the national spirit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exist, while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social values develop in harmony. Fourth, traditional fashion develops by combining a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and lifestyle with pluralistic convergence.
서양 실내악의 쟝르인 예술가곡(藝術歌曲)은 성악작품으로 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 유럽에서 탄생되었다. 음악과 시, 반주 가 고도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German and Austria)파 작곡가들인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 (Johann Jakob Brahms, 1806–1872) 등이 이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부동한 나라와 지역에서 예 술가곡이 전파발전함에 따라 각자의 문화적 차이와 음악적 특 색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에서는 음악 창작의 차원에서 한국의 <마중>과 중국의 <친문타타하(親吻沱沱河)>에서 나타난 곡조 구조와 리듬 등에 대하여 분석과 연구하였다. 여기 한·중 예술 가곡은 각기 한 지역의 문화 특색과 예술을 내포하고 있어 양 국의 예술가곡 창작과 발전을 위한 일정한 계시와 공헌을 하였 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랴오닝성 조양시 카좌지역은 자사문화가 농후하고 역사가 유구하며 풍부한 자사광물자원과 심원한 자사역사를 갖고있으며 북방 자사의 대표이기도 하다. 현지의 지역문화는 당대 자사기물의 조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카좌지역의 자사공 예대사는 현지의 우수한 문화유물을 계승한 기초에서 자사기물의 조형면에서 이론과 실천상의 끊임없는 탐색을 하였다. 이것은 오랜 제작공예와 현대조형예술이 완벽하게 결합되여 카좌 지방특색을 띤 자사기물조형을 형성하였다. 비록 카좌자사산업의 발전은 비교적 늦었지만 그 자사산업의 기원은 일찍 홍산문화시기로 거슬러올라갈수 있다. 유구한 역사적배경으로 하여 카좌자사기물의 조형은 일정한 연구가치가 있다. 전체 문장은 주로 두개 방면으로 논술하였다. 제1 부분에서는 카좌지역의 각 시기 자사의 발전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제2 부분은 카좌 현지 문화유물이 카좌자사 기물의 조 형에 준 영향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각 시기 당지의 문화유물 을 주요원소로 하여 당대의 카좌자사기물조형에서 응용한 과정을 분석하여 카좌지역의 대표성을 띤 자사기물조형을 형성하였다. 또한 문물의 역사와 조형 방면에 대해 개술하고 조형요소를 응용한 자사기물이 대표하는 의의와 존재가치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몽골족을 주체로 한 현지 민족문화가 카좌자사 기물조형에 준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몽골족 특유의 옷고름 장식, 민족악기, 건축풍격 등 조형요소를 카좌 당대의 자사기물 조형에 응용하였다. 이는 카좌자사공예의 전시일뿐만아니라 몽골족의 민족특색을 전승하는 중요한 담체로서 자사공예와 민족문화가 완벽하게 융합되었다.
본고는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 중 ‘이해와 감상’의 성취기준 중의 하나인 ‘한문 산문의 다양한 서술 방식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가 교과서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한문 산문’의 ‘이해와 감상’을 포괄하는 성취기준은 ‘한문 산문의 다양한 서술 방식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이다.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글의 감상에 한문 산문의 다양한 서술 방식을 이용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많은 교과서가 한문산문에 사용된 서술방식만 제시하였고, 한문산문의 다양한 서술방식을 이용하여 산문을 감상한 경우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고등학교 한문Ⅰ 수준에서 한문 산문의 감상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학생들이 한문을 이해함에 있어 글을 읽고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는 것만도 너무 어렵게 느낀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산문의 이해와 감상은 할 수 있으 면 좋겠지만 무리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를 학습할 때에도 그 어려움이 그대로 드러난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한문의 본질인 읽고 내용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산문의 이해와 감상과 관련한 ‘한문 산문의 다양한 서술방식’은 한문Ⅰ 교육과정에서 삭제하거나 한문Ⅱ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etary style of Chinese singles;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venience food consump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singles was evaluated through construct model develop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ood and quality of life. A statistical analysis of 153 surveys from Tianj was conduct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and SEM using AMOS 5.0 statistics packag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confirm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measurement model was confirmed as appropriate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in conjunction with AMOS.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were as follows. Dietary styl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ood was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and quality of lif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se findings was supported by 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0.6 and higher for all the factors.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ood based on dietary 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of singl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ll tests indicated that the model satisfied the recommended level of goodness of fit index and thus, the overall research model was appropriate. The current study highlights the increased interest in eating habits of singles and is necessary for further improvement in nutrition education.
The study is part of the Chinese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dietary style purchases based on the different dietary styles among different factors and consumer behavior analysi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study were for the people living in Tianjin China objects directly in the local implementation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of 455 was conducted using SPSS 19. Using the general statistical analysis and cause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OVA test and cross analysis. Investigation object types related dietary style 20 projects, selection attributes 14 exploratory analysis of the cau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etary style in five factors, respectively of the health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economy oriented, gourmet oriented, food safety oriented convenient type named pursuit. Selection attributes is to consider three items of the preference factors,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information factors named. Food safety oriented showed a high percentage, Gourmet orient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higher proportion of singles. Food safety oriented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to purchase consideration magazine and newspaper has obtained the information. Gourmet oriented production and functional factors to purchase consideration TV and radio were obtained by using the information. Health oriented green tea beverages have been preferred.
중국 水墨畵는 동양예술의 독특한 철학적 意蘊과 인문의 情懷를 지니 고 있으며 ‘物’과 ‘我’관계에서 항상 ‘我’를 중요하게 여겼다. 사물의 표 현에서 “寄情于景”、“寄情于物”、“借物抒情”의 사상이 반영되어 최종적 으로 “物我為一”의 境界에 도달하며 동시에 객관적인 사물의 형상을 통 해서 주관적인 예술로 재창조 된다. 바로 이런 “外師造化,中得心源”의 繪畫 주장과 영향은 인문학적 미학 사상과 회화의 筆墨精神을 완벽하게 결합시켰다. 本考는 中國畵論 중에서 수묵화 언어에 대해 考察해 보았다. 중국 수묵화의 審美 정취와 繪畵技法과의 관계에서 시작해, 화가 자 신의 예술적 修養과 풍부한 회화 언어의 취득 방법 및 의의에 대해 다 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문인화의 필묵정신의 대표적인 예로 蘇軾이 제기한 文人畵의 개념을 분석하고 문인들이 문인화를 추구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意在筆先”의 ‘意’는 詩 중에서 意境을 말하며, 그 속에 문인의 淸廉 하고 고상한 人格과 超脫飄逸의 情趣가 표현된다. 예술창작 과정은 “眼 中之竹”에서 “胸中之竹”으로, “胸中之竹”에서 “畫中之竹”으로의 과정이 다. 이는 意象에서 形象으로의 物化과정을 말하며, 다양한 예술적인 상 상과 사유를 통해서 작가의 구체적인 사고를 표출해 낼 수 있다. 형상 과 韻味는 수묵화의 기본 언어인 筆墨으로 표현된다. 수묵화는 筆法과 墨法으로 意境을 표출해내 形神兼備의 미학적 경계를 얻는다. 문인화가 는 창작과정에서 意境을 중시하는데 중국미학의 중요한 범주에 속하는 意境은 문인의 생활 경험과 부단한 창작활동을 통해 비로소 성숙되고, 화가의 사유 방식과 회화 기법에 의해 비로소 수묵화 언어는 완성된다. 다음으로 文人畵의 시대적 위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늘날, 많은 화가들은 수묵 언어의 審美系統 연구나 자신의 인격과 예술적 수양보다는 수묵화의 技法에만 무게를 두고 있어 회화기법을 위 한 표면적 연구는 턱없이 부족하다. 수많은 화가들의 그림 속에는 대부 분 자기만의 필묵언어가 없이 여전히 옛 선인들의 방식만을 그대로 踏 襲하고 있으며 화면은 私利私慾으로 가득 차 있다. 이는 자기 修養과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함으로, 그림의 품격이 현격히 저하되고 자신만의 필묵정신은 반영되기 어려워 문인화는 絶體絶命의 위기에 놓여있다. 文人畵의 발전을 위해 보다 깊은 思考를 필요로 한다. 기존의 수묵화 역사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墨象을 재발견하고 개개인에 따른 수묵정신을 직접 체득해야 한다. 이러한 각성은 반드시 새로운 가치관 과 철학사상 및 예술이념에서 출발하여야 하며 자연적인 예술 수법을 채택하여 당대의 함축된 문화, 수묵 정신, 이성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재검토가 되어야 하겠다.
본 논문은 중국 남북조시대 크게 유행한 계수호의 연원과 형식, 양식변천을 파악하고 그 소멸 원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편년이 확실한 출토품과 중국 국내외 박물관 수장품에 대한 형식과 양식 분석을 시도하였다. 원래 계수 도상은 중국 전통의 닭에 대한 길상적 사고와 서방의 영향이 합쳐져 서진시대 청자에 장식된 것이 그 시초였다. 이후 흑유로 그 제작의 폭이 넓어졌으며 부장품과 위세품으로 또한 실생활에 사용되는 주기로 사용되었다. 남북조시대 들어 사회 변동과 불교의 유입, 서방 양식의 유입, 월주요를 중심으로 한청자 제작기술의 향상으로 다양한 형식과 양식의 계수호가 출현하게 된 것을 파악하였다. 계수호의 형식은 손잡이에 따라 크게 계수계미형과 계수병형, 계수용 병형으로 분류하였고 닭의 형태와 문양 장식에 따라 세분하였다. 계수호의 양식은 시기별로 변화하였다. 계수계미형과 구형의 몸체가 처음 등장하는 서진 시기에는 월주요가 주 생산지였다. 이후 덕청요의 흑유계수와 계수병형이 나타나는 동진 시기, 안양요와 월주요가 주 생산지이며 크기가 커지고 장식적이며 몸체가 입호형의 계수용병이 제작되는 남북조 시기, 북방의 형요를 중심으로 백자가 나타나는 수대로 양식이변화한것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당대 이후 계수호의 소멸 원인으로는 최고 소비층의 당삼채와 서방풍의 봉수호의 선호에 따라 명기로서도 주기로서도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Housing problem is one of the most basic human problems. This paper refer to primary ecological concept of the traditional local-style dwelling houses, try to find a way, put the traditional ecological concept into use for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study the applicability between traditional local-style dwelling houses and modern residential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roticism of the exposed body and clothing style of Chinese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d to design and develop a niche market for the Chinese. A Chinese professor translated 52 questions, which formed a preliminary survey given to 30 Chinese students. Following this preliminary survey, some questions were then revised. Th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3 weeks starting from the 5th of October. Only 289 of 330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Regression analyses in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ider men's breast, back, and neck line in order to develop the design of men's clothes, and the leg and collarbones for women's clothing.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we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articles of clothing to expand the erotic market for Chinese women's clothes: mini-skirts, side slit skirts, and tight-skirts for bottoms; blouses or T-shirts with a neckline scooped out deeply for tops; and see-through one-piece dresses with deeply scooped out back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KFL Leaners. For this I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52 Polish and 43 Chinese learners by Cohen, Oxford, and Chi's (2002) LSS (Learning Style Survey). Research questionnaires consist of 11 parts, I categorized these as Sensory Type, Personality Type, Desired Degree of Generality based on Oxford (2003). The major findings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n each part, three dimensions of Concrete-Sequential vs. Random-Intuitive, Impulsive vs. Reflective, Global vs. Particular were significant within the level of p
중국 전통문화의 산물인 태극권은 각 파별의 전통문화가 그 주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각 태극권이 각 파별의 전통문화에 대한 주도적 참고도 있다. 양씨태극권은 태극권의 한 유파로 중국 무술계에 등장하여 인류가 몸을 튼튼히 만들고 질병을 치료하며 연년익수하고(延年益壽) 품성을 연마하기를 다루는데 탁월한 공헌을 한다. 태극권은 대대로 비밀하게 물려받기부터 공개적으로 폭넓게 가르치고 전 세계에서 유행할 때까지 인류사회의 공통된 재산과 사회문명 진보의 상징으로 된다. 본 논문은 주로 문헌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태극권에 포함되는 중국 전통 문화 사상을 연구하고 양씨 태극권의 기원과 양씨 태극권과 유가, 도가, 중의, 병가와 중화전통 미학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태극권 심층 문화 사상에 대한 인식과 문 화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중국 사람의 가치관, 사고방식, 도덕관, 심미적 가치관 그리고 및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와 역할을 하게 되고자 한다.
본고는 필자가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한자 자소관련 연구 작업 의 일환으로서, 그 동안 발표해 온 해서체 자소분석 결과와 簡體字 部件 관련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서체와 간체자 간의 자소대응관계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해 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양자간의 대응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한자의 字量은 중국 敎育部와 國家語言文字工作委員會가 제정하고, 2013년 國務院이 최종 공포한 통용규범한자표의 8,105字로 하였다. 본고는 이들 8,105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선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작업을 시도하였다. 첫째, 8,105자 가운데 자소대체가 발생한 글자들을 먼저 추려내고, 부분대체 혹은 일괄대체인가를 확인하여, 해서체 자소의 자소별 沿用 및 대체 현황을 정리하였다. 개별 자소들은 전통 해서체 자전에서 사용 한 214部首를 이용하여 나열하였다. 둘째, 첫 번째 작업을 통하여 파악된 해서체와 간체자의 기초적 자소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간체자 자소가 내포하고 해서체 자소들을 정리 하여 나열하였다. 이상의 두 가지 기초 작업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대체 방식의 유형들을 정리하고, 아래와 같은 문제들을 분석하여 그 득실을 논하였다. 첫째, 자소대체 과정에서의 일관성 문제 둘째, 자소대체의 적합성과 모호성 문제 셋째, 字素대체와 成字대체 문제 넷째, 同形化 문제 다섯째,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