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V+完’과 ‘V+好’ 구문의 의미특징을 간략히 살피되 궁극적으로 두 구문이 어떠한 인지과정을 거쳐 이해되는지 그 인지과정을 고찰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작 의 완료라는 기본 의미의 전제하에 양의 소실과 출현을 근거로 의미특징을 비교하였는데, ‘V +完’은 양의 소실, ‘V+好’는 양의 획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유형별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보어 감지→인과관계를 매개로한 연상 작용→인과관계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인과관계의 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V+完1 /完2/好1/好2’ 구문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혼성공간으로 투사되기 전 ‘完2’는 완성이라는 원형의미에서부터 주어진 양의 달성으로써 양의 소실의 의미가 부가되는 의미 획득의 원형확장이 진행되고, ‘好1’은 원형의미 로부터 추론기제가 작용하여 완성의 의미만을 나타내는 의미 소실의 원형확장이 이뤄지는 것으로 원형의미와의 인지적 변별이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5,2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먼저 언어의 형태와 구조의 관점에서 중국어 해음을 문장 내 코드 전환이 실현된 것으로서 보고 교체언어의 실현 양상에 따라 교체형과 변이형으로 나누어 그 유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앞선 유형 분류에서 소개한 해음의 예 가운데 ‘杯具-悲剧’, ‘海龟-海归’, ‘BC-白痴’를 중심으로 해음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음 현상은 ‘해음 감지→발음의 유사성을 매개로한 연상 작용→본래 글자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해음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 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5,200원
        3.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gital advertising is one of the most crucial medium of communication and marketing (Berner and Kiley, 2005). Digital advertising brings with itself several benefits such as increase in reach, low advertising cost, and high degree of customer engagement. However, along with benefits it also brings several challenges for the marketers such as comprehending consumer attitude, consumption and behaviour towards digital advertisements.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 attitude towards internet consists of factors such as information, entertainment, irritation, and trustworthiness (Aaker & Bruzzone, 1985). Ad bloc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for advertising industry globally. This paper h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eries of actions that leads to ad blocking. This series consists of consumer response and consumer attitude towards digital advertising where the constant ad delivery creates ad intrusiveness which leads to ad irritation which in turn leads to ad avoidance and ultimately results in ad blocking. Ad blocking further has serious consequences in brand image and brand valuation, because as more number of users opt to download and use ad blockers, advertisement instead of increasing brand valuation results in brand devaluation, not to mention wastage of ad spend.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reports discuss ad blockers and its operations but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n the process that leads a consumer to install ad blocking software on his digital device. The research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of consumers that leads them to take a decision of installing an ad blocking software on their digital device. The study therefore proposes four research questions, 1. What aspects of online advertising irritate users? 2. How do consumers avoid advertisements? 3. What causes a consumer to use ad blocker? 4. What cognitive process lead a consumer to install ad blocking software? A mixed method research is adopted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the first stage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order to understand consumer opinion on what leads them to install an ad blocking (Jagani and Panda 2016). Thematic analysis of transcripts was conducted from which 81 items on ad irritation, ad avoidance and ad blocking were identified for second stage of the study which consists of online survey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items for the quantitative survey are \categorised in three main categories viz. Irritation, Avoidance and Action. The sample consists of 18 to 35 year olds who are active users of internet and have been exposed to digital advertisement, spends more than two hours per day on internet through various digital device and are aware of ad blockers or have used them in the past. Non-probabilistic sampling method was selected for the study and quota sampling was implemented. The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process that leads a consumer to install an ad blocking software on his or her digital device.
        4.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lobal society is overwhelmed by growing soc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linked to hazardous clothing wastes and exploitation of labor in poor countries. We acknowledge that the sustainability philosophy could be an alternative governing principle that can lead us to a better future for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brain responses of fashion professionals and consumers as they are presented with sustainable fashion of luxury and SPA brands.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he whole brain responses of participa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o reveal how their brain responses differ depending on fashion products’ brand type and certification mark. We build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for professionals and lay consumers on the subject of sustainable fashion. Brain responses are measured from both groups of professionals and consumers while they are exposed to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of luxury and SPA brands. A group of subjects watch the online educational program while under the counterpart condition subjects see another video of the same length, unrelated to sustainability. BOLD measures are acquired using Siemens 3T scanner and analyzed using SPM 12 software. We find selective brain activation patterns that can distinguish the educated group from the uneducated on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must do our best to build a sustainability education program which can motivate professionals and consumers effectively, by stimulating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bases of behavioral change.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한 집단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서울시 관악구 치매관리센터와 성북구 치매지원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8주 동안 16회 집단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으며, 4주 후 추적평가까지 총 12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집단인지재활치료는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하여 보상모델, 교육모델, 회복모델과 습득모델을 선택하여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 집단인지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언어유창성검사, 간이정신상태검사,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치료효과가 확인되었다(p<.05). 하지만 보스톤 명명검사, 단어목록기억 검사, 구성능력 및 구성회상 검사 등의 인지기능검사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노인우울척도 상에서도 유의한 우울 증상 개선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에 있어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한 집단인지재활치료는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 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5,100원
        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lor conveys a lot of meanings through language in our daily life. Such connotation of the color term arises from meaning extension of it, and the meaning extension of it is realized through our cognitive process. For this reas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notation of the color term ‘red’ in various contexts and figure out the cognitive process of its meaning extension by elaborating how our cognitive mechanisms are combined and work in depth. In addition, this paper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extension of the color term ‘red’ and verifies that it is not arbitrary but motivated by primarily human physical experience, along with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9.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만 5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는 106.50(SD=12.49)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의 특성의 발현 정도는 순차처리가 가장 높았고, 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52.57%로, 중간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가 보통 집단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전체적인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영역에서 높은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