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개발로 점차 멸종위기 생물종이 증가하고 있어, 충분한 보호지역의 선제적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개발영향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보호지역 선정 시 고려해야 할 보전 우선순위지역을 확인하였다. 보전 우선순위 도출은 보전계획 의사결정 지원 소프트웨어인 MARXAN을 이용하여 기존 보호지역 포함 여부와 개발영향 반영여 부를 기준으로 총 네 가지의 시나리오로 분석하였다. 개발영향은 개발면적 비율, 인구밀도, 도로망 체계, 교통량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생물종 보전 대상 지역은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의 출현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한 서식적합지역을 이용하였다. 이 두 가지 요인을 입력 자료로 기계학습 기반 최적화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전 우선순위 지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멸종위기 생물종을 보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 기존 보호지역과 떨어진 지역에서 다수 나타났으며, 개발영향을 고려했을 때는 보전우선순위 지역이 파편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개발영 향과 기존보호지역을 모두 고려했을 때에도 기존 보호지역 주변으로 이미 도로개발이 많이 이뤄져 기존 보호지역과는 떨어진 지역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영향을 고려하여 멸종위기종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호지역 주변 이외의 지역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파편화되어 나타나는 보전 우선순위지역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풍수를 현대 도시에 응용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양기풍수적 입장에서의 해석과 아울러 풍수적 측면에서의 개발과 보존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경남도청을 귀납적 방법으로 혈장으로 선정 한 풍수 분석결과 거시적 맥세의 흐름은 좌우변화와 상하변화를 거친 생룡이지만 개장과 천심의 조건을 불분명하다. 사신사는 풍수적으로 이상적은 모습이 아니지만 혈장 주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물의 흐름은 각지에서 발원한 물이 창원천과 남천으로 유입되며, 이 2개의 하천이 바다로 유입하기전 합류함 으로써 합수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수구처에 한문(춘산, 뒷산)과 수구막이산(부엉산)이 존재함으로써 수구가 좁아야 하며 수구막이가 있어야 한다는 풍수적 조건과 합치한다.
창원의 개발과 보존에 대한 풍수적 제언으로서는 창원은 분지 형태의 장풍 국이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데 이는 하천의 정비와 녹지 시설의 확충, 대기오염원의 차단 등이 필요하다. 득수의 측면에서는 한문과 수구막이 산에 대한 보존이 필요하며, 주산에 대한 개발행위 억제, 주산인 봉림산을 중심으로 한 형국의 보완 및 회룡고조형에 대한 형국의 보완책이 필요하다.
히어리의 자연집단과 벌채집단간의 비교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접치재, 월등면, 황전면,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 5곳의 벌채지와 주변 자연림에 분포하는 히어리군락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100m2당 맹아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수는 벌채 집단에서 자연집단의 것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맹아수별 수고와 직경은 자연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종조성과 식생상관성은 없으며 벌채집단과 자연집단 모두에서 큰차이 없이 생육하였다. 개괄지인 벌채집단에서 근맹아 뿐만 아니라 실생묘로도 번식하였다. 이처럼 히어리는 환경적응력이 커서 인간이 훼손시킨 벌채집단에서 근맹아와 실생묘로 번식함으로써 종 자체의 소멸은 없고, 오히려 일시적인 교란이후에 개체군 확장을 보였다.
전라남도 순천시 서 면 청소골 일대에 분포하는 히어 리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히어리개체군은 계곡부와 인접한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대상으로 분포하였으며,북사면,북서사면 및 북동사면에만 분포하는 특이성을 보였다. 교목층이 형성된 삼림내에서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이루고 있으며,종조성에 있어서는 히어리가 분포하지 않는 인접지 역 삼림식생과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25 m2당 평균개체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지는 각각 6.25주 및 3개로서 다른 지 역 에 비해 낮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 역의 히어 리개체군이 쇠퇴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 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 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 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 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 되었다. 생장형 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Luoyang, as a famous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in China, has rich cultural heritage resources. The world cultural heritage, Luoyang Longmen Grottoes, is taken as the research object in this paper and this paper, starting from the current situation, analyz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cientific research, art, economic and other values of Luoyang Longmen Grottoes, and finally discusses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methods of Longmen Grottoes, hoping to be helpful to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of Luoyang Longmen Grottoes.
Pusan has experienced some different path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has faced the problem of over-saturation in environmental capacity. Pusan needs to find out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Agenda 21 by UNCED in 1992 to secure urban renewal.
Therefore, Pusan`s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cus on the 1)research on environmental capacity and reasonable population accommodation 2)supply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for the human settlement 3)protec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4)saving and control of energy and other resources 5)independent and stable execution of plan based on biological relation 6)harmony between nature and urban spatial organization.
In addition, these policies can be suggested along with the conclusions; First, establishment of green plan-middle and long term environmental goals included in the urban planning to reduc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nd pollution. Second, computation of sustainability index-the index is necessary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with green GNP of the national level.
Third, capacity estimation of nature and social environment-estim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to the civilized area is required become an ecopolis, and is required to focus on the western area of Pusan which has high degree of potenti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Herb Island in Japan, and explores influences of the herb garden o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herb garden can make a major impact on a rural community's econmoic stability and growth, and low-input cultivation of herbs serves to the ecosystem and soil conservation. In order to foster the herb industry in Korea, three aspcets should be considered. These are as follows. 1. Selection of suitable kinds of herbs and sites for Korean natural environment,and planning for proper landuse should be carried out first. 2. Proper policies for a herb garden to help local economy should be established. 3. Development of programs and exper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planning herb gardens in order to contribute to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This paper evalu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national park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nationally important ecological areas. Contrary to the widely held belief, the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has been unsuccessful in balancing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fundamental reasons for its failure are as follows: the Japan`s national park system has been largely founded and developed based on economic grounds and held sway by economic development policy; the policy and administrative coordination between government units concerning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public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groups` involvement in the decision making have been extremely limited; national parks have been perceived in the public image not as distinctive national heritage but as finest and popular tourist sites; and the dominant interest of tourism and recreational development has prevailed over conservation interest. Japan`s unsuccessful experience and lessons imply that there is urgent need to drastically reform our national park system, largely founded on the Japanese model, in order to save our last national environment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