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육교육 적용을 위한 지식구조를 구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종목으로는 배구형 게임인 비치발리볼과 바다수영이 설정되었으며 연구수행을 위하여 지식구조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협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에 기반한 지식구조를 마련하였다. 둘째,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 육수업 적용 기반을 마련하였다.셋째, 비치발리볼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넷째, 바다수영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 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도입될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현된 모습을 미리 대비하였다는 것에 의미 가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교사를 파견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과학과 생물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연구자 참여관찰형식의 질적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인도네시아의 과학교육 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도네시아는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 하고 있으며, 과학교육에 관심이 높다. 과학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달리, 인성과 종교성을 높 이는 과학수업에 더 높은 관심이 있다. 두 번째로, 인도네시아의 과학을 포함한 모든 교육의 근간은 종교이다. 논쟁을 통한 갈등보다는 과학적 사실이 일부 왜곡되더라도 조화로운 방법으 로 이해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자신의 삶에서 가장 궁극적 목적인 종교와 조화시킨다. 셋째 로,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의 생태적 환경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생물교육에서 중 요하게 강조되는 내용들과 차이가 있다. 넷째로, 인도네시아는 과학교육을 포함한 모든 교육에 서 다문화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있다. 때문에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며, 용어를 통하여 개념을 이해하는 과학교육에서 용어의 차이로 인한 공약불가능한 상황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 번째로, 인도네시아에서 과학교사의 전문성은 낮고 관습적으로 행해지던 학습 방법을 그대로 활용하여 교육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변화에 뒤쳐지고 있 다. 마지막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가설·연역적 실험실교육보다 관찰과 분류 중심의 귀납적 탐 구활동이 일반적이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도네시아에 파견되는 과학교사들을 위한 교사교 육을 제언한다.
【벼리】세계화·정보화로 인해 나날이 다양해지는 사회문화적 소통 환 경은, 우리에게 한국문화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와 함께 실천적인 교 육 방안 모색이라는 도전을 안겨 준다. 무엇보다 학습자들이 매일 마 주하는 실세계 맥락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원활한 문화 간 대화는 사 회문화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즉 다문화적 환경에서 더욱 강조되는 것이 ‘소통 능력’이라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무분별한 수용 혹은 배척이 아니라, 복잡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을 스스로 선택
학교 환경교육 현황에 관한 설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질적이며 다양한 환경영역을 포함하는 학교 환경프로그램과 교재가 교과서 중심으로 개발 및 연구되어야 하며 이는 이론중심이 아닌 아동 생활반경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내용과 실천적인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친환경적 기반 시설 분석 및 활용 가능성 평가에 관한 설문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교사들이 친환경적 기반 시설을 환경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내 친환경요소로 대표되고 있는 자연 생태원으로서의 기반시설인 자연학습장(교재원), 학교 조경, 친수성 공간(연못), 텃밭 및 기타 시설 녹화 등의 공간을 적극 이용할 수 있는 환경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제공해 주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시설들을 환경교육에 적극 활용하는 것은 도시학교에서 학교 내 체험환경교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we chose 60 gifted students attending U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classified thes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n applied newly developed program to the 3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applied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the 30 comparative group students.
Below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effective in increas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for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higher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ecological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ducational space considering of the effects of ecological education.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ecological education of elementary program in the interior landscape. We considered the criteria of interior landscape at elementary school as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physiological environment. Observation type, exhibition type and experience type were considered as a type of interior landscape in ecological curriculum. Because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to trace the educational facilities design criteria, this research supplies interior landscape design information for user by web environment. Specially, curriculum analysis is very useful data for interior landscape design criteria. There are three category in this database: obervation, exhibition, experience style. The other category is consist of floor type and elevation type. The last category is garden style, container style, hanging style, and movible or fixed application. User favorite style can be chosen in web environment. This study will be a basic data in the field of interior landscap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by the creative educational space. We proposed educational space considering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transform plan into the system of nature image and effective space to ecological education space. The elementary school space is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It should be expected thin this design as following points: It will be improved environmental quality in elementary school, changed into the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green school as well. It will be energetic school as a living space for rest and ecological education. it will be improved the image of school and opened to the public.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space created by this pl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