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초국가적 종교 인식론적 공동체의 관점에서 탈동성애 운동 의 세계정치적 양상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탈동성애 운동은 동성애 정 체성을 벗어났다고 주장하는 개인들에 의해 주도되는 지역적·문화적 현 상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서구권의 보수적 복음주의 세력이 주도하 는 조직화된 국제 네트워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특 정 분야의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과 권위를 공유하는 전문가 집단, 즉 인식론적 공동체로서 기능한다. 특히 탈동성애 운동의 종교 보 수 활동가들은 자신을 인간의 성(性)에 관한 전문가로 규정하고, 과학적 외형을 갖춘 증거, 헌법적·권리 기반의 논리, 개인의 간증 등 다양한 전 략을 활용하여 동성애가 변화 가능하며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을 주요 사례로 삼아, 한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엘리 트들이 서구(특히 미국)의 복음주의자들로부터 탈동성애 담론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입하고 현지화한 방식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활동가들이 초국적으로 유통되는 진정성, 피해자성, 인권과 같은 자유민주주의적 레토릭을 전략적으로 차용하여, 자신들의 LGBTQ+ 인권 반대 활동을 종교의 자유 및 주체적인 삶의 경험(lived experiences)의 정당한 표현으로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ith the rapid growth of Podcast listening volume in the past two years (SoundOn, 2021), more and more research is also devoted to podcasts. Previous literature investigating podcasts mainly focused on the motivation of podcast listener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r and the psychological needs of the listener that affect listening intention, including speech rate, voice pitch, voice gender, and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affiliation needs and epistemic curiosity between proximity and listening intention. This study collects data from 3 experiments. We construct our stimuli from a script for a book introduction.
Tense, aspect and epistemic modality belong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sentences and have the effect of transforming virtual events into actual events. Linguistic typology studie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future tense into epistemic modality is a common feature of human languages. The future tense markers "- 겠 -" and "Yao"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ve the conceptual meanings of "speculation" and "intention", which are used to describe the future events. The description of the future events can be divided into objectively inevitable events and subjectively inevitable or possible events. For these two cases, due to the uncertainty of future events, both of them show strong subjectivity. Therefor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peaker's certainty of subjective evaluation: inevitability, possibility and virtual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 겠 -" and "Yao" in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explain the cognitive mechanism behind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총 11편의 지구과학 수업 녹화물을 수집하였으며, 모두 전사한 후,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특정한 인식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적 집합으로서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확인하였고, 그 특징을 인식적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 분석 결과를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구 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 중학교 과학 수업과 대안적인 형태의 과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과 같은 확대된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신뢰성 해석을 수행할 때 정보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식론적 불확실성(epistemic uncertainty)은 고유의 변동성에 의해 존재하는 내재적 불확실성(aleatory uncertainty)보다 더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확률이론은 주로 내재적 불확실성을 모델링하는데 이용된 반면,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모델링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접근법이 없었다. 최근 이를 위해 probability theory를 포함한 여러 접근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통계적 이론들을 바탕으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각 방법들의 결과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 확률을 계산하는 문제를 가지고 이러한 방법들이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robability method, combined distribution method, interval analysis method 그리고 evidence theory를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문제에 대해 각 방법들의 특징들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력변수의 확률분포 형태를 알 수 있다면 probability method가 가장 우수하나, 이를 전혀 모르면 interval method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계산비용 면에서는 두 방법이 유사하므로 결국 입력변수의 확률특성 정보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방법을 선택한다. Combined distribution method는 failure probability의 평균만 제공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이 방법은 계산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Evidence theory는 probability와 interval 방법의 중간에 해당하며, 구간별 probability assignment를 세분화 할수록 probability결과에 접근한다. 이 방법은 계산비용이 가장 높은 것이 문제이다.
조직 구성원간의 신뢰는 조직내에서 지식을 창출하고 또한 창출된 지식이 조직내에서 전파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내의 기관, 제도등의 차이에 따라 조직내 구성원들간의 신념 공유나 상호 이해의 정도가 상이하며 이렇게 상이한 신념의 공유 정도나 상호 이해도가 조직내에서 지식을 창출하려는 동기부여나 창출된 지식의 조직내 전파 가능성 혹은 전파 범위나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분석한 개념적 논문이다.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native English teachers’ and Korean EFL teachers’ understanding and teaching experience of epistemic modals. For the study, a total of 51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11 of them had a follow-up interview.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teachers’ understanding was surprisingly low, indicating 10.94% of accuracy rate on average while native English teachers showed 94.74% of accuracy rate. The two groups’ mean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erning both groups of the teachers’experience of epistemic modals, while 78% of them had teaching experiences, both groups of the teachers merely focused on forms and meanings, not semantic system, which concerned a hierarchy for logical meanings. Finally,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and using functions of epistemic modals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taxonomy of English modals by Hofmann (1966) and Palmer (1990), the present study aimed at examining Korean EFL teachers’understanding and teaching experience of semantic concepts of epistemic modals. For the data, a total of 42 teachers enrolled in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at 2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Of the participants, 18 participated in a face-to-face interview.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English epistemic modals was very low, indicating 11.92% of accuracy rate on average. In particular, their understanding of expressing speakers’ positive inference showed the lowest accuracy rate (0%). Regarding the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epistemic modals, the survey indicated that more than 60% of the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However, the teachers merely focused on forms and meanings, not functions. Importance of being aware of the semantic systems of epistemic modals, which were to express a hierarchy for logical meanings,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