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ch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Extensive Reading (ER) to better understand its pedagogical effects on language learner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teaching principles of ER and call for a re-visitation of the Freedom principle (“Learners choose what they want to read”) that has been frequently used by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of ER. Based on the focus group data collected from enthusiastic readers who participated in ER as a classroom activity and read beyond the designated class goal, we examined how these students chose what they wanted to read in an English-for-Academic-Purposes (EAP) contex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reedom principle, while allowing student autonomy, incurs complic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ER. Students may experience frustration if given a limited choice of books, providing support for the Freedom principle. However, as students freely choose their books, the activities they engage in may become incompatible with other ER principles. Drawing on the focus group data, we will discuss the details of such complexities and conclude with pedagogical implications.
        5,700원
        2.
        201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d the use of assessment techniques in extensive reading an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actice of extensive reading. A total of 23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laced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of classes and 13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completing a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a selected number of student and professor volunte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to compare two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Results revealed that writing short answers and assessments involving discussion with peers and professor were utilized more at the basic level, but students at the basic level reported discussion with peers and professor as the most effective assessment technique. In contrast, at the intermediate level,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F statements were used more as assessments, but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reported that writing one’s opinion on themes wa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Both groups believed that reading graded readers is helpful in improving reading skills and vocabulary as well as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professors preferred to use writing short-answer questions and in-class discussion as assessments on graded readers; however, they responded that a writing task was the most adequate type of assessment. In addition, they reported that graded readers are helpful in improving all language skills and favored the use of graded readers as part of the language program.
        6,300원
        3.
        2017.07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열린 읽기(Extensive Reading)와의 관계를 밝히고 일반적인 열린 읽기와 비교하여 여성결혼 이민자의 특성과 교실 환경에 맞는 변형된 열린 읽기 수업의 적용 방안으로 묵독이 아닌 소리내어 읽기, 대화하며 읽기 등의 기법 활용, 읽기 도우미(Reading supporter) 배치, 교실 밖과의 연계를 위한 SNS 활용 등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업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의적 영역(자신감 상승, 흥미도 등) 및 이해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나, 구체적인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입증하지 못한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5,8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loss locations in extensive reading readers on English read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It examined four groups of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n extensive reading class was conducted over sixteen weeks. The four groups were given graded readers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glosses, such as non-gloss, marginal gloss, footnote gloss, and endnote gloss.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pre- and post-reading ability test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see if there were any achievement i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our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extensive read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2) The footnote gloss group showed the greatest chan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ootnote glosses influenced the most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3) All the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affective domain including attitude, self-confidence, interest, expectation, and value. In conclusion, extensive reading made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groups and footnote glosse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6,000원
        5.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gnitive style (field in/dependence) on errors in English writing through extensive reading (ER). It explores different possibilities between two field-independent (FI) and field-dependent (FD) learners through ER, and it considers the types of errors (interlanguage or intralingual)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commit. The participants were two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cognitive styles. To ascertain their respective cognitive styles, the Group Embedded Figures Test (GEFT)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reading log once a week for six months.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y two raters, and for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Nvivo 10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ER was more beneficial to the FI learner with regard to writing proficiency, and both the FI and FD learners committed considerable interlanguage errors. Furthermore,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between the FI and FD learners as a result of the ER treatment in interlanguage error change.
        6,100원
        6.
        2014.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리】본 연구에서는 다독 프로그램을 일본 대학의 초급 한국 어 과정에서 실천한 사례를 보고한다. 먼저, 논문의 전반부에서 는 다독의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본 후, 다독을 2013학년도 전기 교양 한국어과정에 결합한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 보고한 다: 15주간에 걸친 다독 수업을 통해 1) 학습자들의 읽기 속도가 향상되었다. 2) C-test로 측정한 전반적인 한국어 능숙도는 향 상되지 않았다. 3) 다독에 대한 감상을 묻는 설문지 결과, 다독 이 즐거운 경험이었으며, 다독을 통해 어휘의 양적 지식뿐만 아 니라 질적 지식까지 늘릴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 논문의 후반부 에서는 2013학년도 후기 과정에 다독 프로그램을 접목한 방법 -LMS(Moodle)을 추가하였다-과 그 결과를 보고한다: 다독을 통해 1) 학습자들의 읽기 속도가 향상되었다. 2) 전반적인 한국 어 능숙도가 향상되었다. 3) 다독이 재미있는 활동이었고 한국 어 학습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4) Moodle과 관련해서 는 Moodle을 이용함으로써 시간이나 공간에 제약없이 읽기를 지속할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습자들은 Moodle이 번거롭고 작동하기 어려웠으며, 특히 단어 학습에 효과적이 지 않았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5) 이해확인문제의 경우, 읽 기물의 단어들을 복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마 지막으로,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1년간의 다독 프로그램의 운영 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8,100원
        7.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reading is part and parcel for the development of L2 literacy skills, such as in reading and writing, the skill has been practiced more often for grammar instruc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EFL contexts. While realizing there is les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L2 skills through extensive reading (ER) in EFL university context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 of an in-class ER approach in English university classrooms. With 249 students, the study reports on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ity level ER class and the outcome for L2 development via the measures of L2 reading speed, L2 speed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exical writing ability. Results indicated positive outcom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2reading ability, productive retrieval of academic words and lexical variety. The outcome of the ER program validates the effort and time expended on such programs when graded readers are utilized at matching student Lexile levels.
        6,600원
        8.
        2013.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 중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Extensive Reading’(이하, 열린 읽기)을 한국어 수업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를 위해 일본 내 대학 중 일본어 교육(JSL)을 실시하고 있는 早稲田大学(이하, 와세다 대학)의 열린 읽기 수업을 모델로 삼아 열린 읽기 수업의 한국어 수업 도입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열린 읽기 수업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수업의 다양화’, 둘째, 교사들이 많이 지적한 부분으로 ‘학교의 제도개선 및 지원’, 마지막으로는 ‘교사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5,200원
        10.
        201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학문 습득에 필요한 읽기와 쓰기의 중요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 가운데 특히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교수는 문법 항목과 쓰기 전 활동에 치중되어 있어 총체적인 쓰기 학습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읽기와 쓰기 학습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교실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자발적인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독 후행 활동으로서의 독서일지 쓰기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효과적인 쓰기 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안되어 왔던 다독과 다독 후행 활동의 하나인 독서일지 쓰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검증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6,300원
        11.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be pedagogical viability of extensive reading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an English book club was formed, consisting of 40 high school students. The book club activity was held during four months of summer and winter vacations in 2009.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freely write anything in their reading logs they felt while reading. The reading lo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y revealed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nd changes of the read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ad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1) extensive reading has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2) the readers could experience “amusement” and “absorption” by reading sufficient books with the i−1 level; and 3) extensive reading enabled them to choose their ways of reading an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choices.
        6,900원
        13.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15.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의식과 다독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소재 국·공립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9명과 동일 학교에서 근무 중인 영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와 학생에게 주어진 설문 문항은 기초 설문 항목, 학교 수업 실태 조사 항목과 다독 실태 조사 항목 및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들은 교과서를 제외한 영어 읽기 텍스트 부족과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적 구성 결핍을 현재 영어 읽기 교육의 주된 문제점으로 인식했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육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독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학생 설문 분석의 경우, 지나치게 난해한 표현들이 수능 영어 지문과 EBS 교재에 다수 포함되어 학생들은 영어 읽기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재 다루고 있는 수능 지문과 EBS 교재 이외에도 읽기 능력 향상과 수능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 기 위해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조사를 통해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의 요구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