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y 2015 to explor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Rye and whole crop barley as winter forage crop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experimental location was over 10 points for each species and each sampling point area was 1 m² (Width: 1 m × Length: 1 m). Air mean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6.95 ± 5.75℃ and 70.45 ± 54.68 mm, respectively. Fresh forage yield of Italian ryegrass, the most cultivated forag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as 44.4 ± 7.0 ton/ha. The percentage of dry matter for whole crop barley was 28.9 ± 7.0%. Crude protein (CP) was higher in Italian ryegrass (10.7 ± 5.3%) whil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had the highest value in whole crop barley. Crude prote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location. However,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value of forage from Jeonbuk province were higher than in forage from Gyeongnam province.
        4,000원
        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winter rye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but silage quality of the winter rye produced from farmer's fields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age quality of winter rye which was participated in Forage Quality Contest in 2008. These data were classified by resign, forage production, added inoculants, planting date, and harvest date. Difference on lactic acid of rye silage was detected in forage production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ye silage tested. The moisture and lactic acid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 of rye silage.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silage added inoculants and control. The pH, ash, CP, NDF and ADF of rye added with inoculants were higher t㏊n those of control silage, however, the TDN and lactic acid were increased in silage added with inoculants. The ash and CP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ing date, but lactic acid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vest date. This experiment indicates t㏊t lactic acid of silage was good indicator for evaluation of rye silage. Differences in forage quality were also observed among winter rye silage. Therefore, nutritional quality as well as lactic acid is important in silage quality contest of winter rye silage.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가축분뇨와 시비시기가 추파 호밀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조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처리구로 화학비료 150N 전량기비구(CFB 150), 화학비료150N분시구(CFS150), 액상돈분 150N기비구(SLB150), 액상돈분150N분시구(SLS150), 액상돈분 300N기비구(SLB300), 액상돈분 300N분시구(SLS300), 액상우분 150N기비구(CLB150), 액상우분150N분시구(CLS15
        4,000원
        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의 연구목적은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출수기를 조사하여 숙기군을 분류하고, 지역별 파종기별 적품종을 추천하여 양질 다수성 조사료를 안전하게 생산 이용하기 위함이다. 축산 연구소 조사료자원과 시험포장에서,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개년 동안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사료용 호밀의 출수기가 가장 빠른 조숙품종은 올호밀, Vita grazer, 팔당호밀 등 3개품종이었으며, 중숙품종에는 Kool grazer, Bi,u grazer, M
        4,000원
        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정호(작물시험장) 이호진(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허일봉(작물시험장) 김시주(작물시험장) 김충국(작물시험장) 조현숙(작물시험장)
        4,000원
        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추파 호밀(Secale cereale L.)의 사초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에서 1998년 4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실험목장 사초 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으로서 ha 당 100, 150 및 20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로서 9월 5일, 9월 20일, 10월 5일 및 10월 20일 파종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밀의 출수 시작일은 파종기에 따라서 뚜렷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일 기준으로, 파종시기가 15일 지연됨에 따라 출수 시작일이 1일 지연되어짐으로서 호밀의 출수시작일과 파종시기간에는 1:15 비율이 나타났다. 호밀의 건물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200 kg/ha 파종구에서 13.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15.2, 14.2, 14.3 및 13.8%로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건물 함량이 낮아졌으며 (P<0.05), 호밀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교호작용(P<0.01)이 인정되었다. 호밀의 ADF 함량은 파종량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32.2, 31.6, 31.6 및 29.3%로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낮아졌으며,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NDF 함량도 ADF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17.3, 17.7, 18.2 및 18.9%로 증가하였다. In vitro 건물소화율(IVDMD)도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77.5, 80.6, 80.9 및 80.9%로 증가하였다. 호밀의 건물수량은 100 kg/ha 파종구가 9,059 kg/ha로 가장 높았고 200kg/ha 파종구가 7,647 kg/ha로 가장 낮았다(P<0.01). 파종시기간에는 10월 5일 파종구(8,945 kg/h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 20일 파종구(7,249 kg/ha)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호밀의 건물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P<0.01). CP 및 IVDDM 수량도 건물 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서 사초용 호밀을 재배시 건물 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파종은 9월 20일에서부터 10월 5일 사이에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조기 파종할 경우 100~150kg/ha, 만기 파종할 경우는 200 kg/ha로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7.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호밀()에 대한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호밀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9월 5일부터 1993년 4월 2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시럼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수행되였으며, 가을수확방법으로서 무예취, 가을예취 및 가을 방목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조기파종;9월 5일, 중기파종;9월 25일, 만기파종;10월 15일)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하
        4,000원
        8.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ing date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Kool grazer" winter rye(Seca1e cereale L.) as a soilage crop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of College of Agrlc. and Life Sciences, SNU,
        4,000원
        9.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upland of Livestock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winter-hardiness and forage yield of selected southern and northern-types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in com
        4,000원
        1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초용(飼草用) 호밀의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飼草)의 생육특성, 월동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서울대(大) 농대(農大) 사초시험포장(飼草試驗圃場)에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 호밀의 파종기(播種期)를 9월 8일, 9월28일, 10월18일로 하고 ha당 파종량(播種量)을 80, 130 및 180kg로 하여 9처리(處理) 3반복(反復) 난괴법으로 실시하였다. 호밀의 초장(草長)은 파종기(播種期)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
        4,000원
        11.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팔당호밀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월동전 청초 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검토코저, 춘천, 수원, 화성 및 청주에서 2개년 동안 실시하였다. 파종기는 각 지역 모두 4파종시기로서, 청초예취는 월동직전 1회 예취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전 예취시 초장, m2 당 경수 및 청초수량은 조기파종인 9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크고 많았으며, 만기파종인 10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적었는데, 춘천의 9월 11 일 파종에서 청초수량이 10a당 1.803kg으로서 가장 많았다. 2. 청초수량의 기여정도는 주로 초장 및 경수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경수보다는 초장의 기여도가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예취에 의하여 월동중 냉해의 피해를 받았으며, 또한 출수기가 늦고, 초장도 감소되었다. 4. 수량구성형질중 m2 9당 수수만이 예취별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 있었으며, 타형질들은 파종기 및 예취구분간에 변이가 적었다. 5. 종실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며 예취구와의 차이는 45kg/10a로서, 예취구의 간장 및 월동률저하는 종자수양을 감소시켰다. 또한 수양구성요소중 m2 당 수수는 종자생산에 가장 크게 영향하였다. 6. 청초수량이 많은 조파의 종실수량은 청초예취 및 무예취구간에 변이가 적고 절대수량이 많아 적절한 재배관리에 의하여 축산농가에서 월동전 청초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