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국내 고추종자 12 품종을 대상으로 SMP 처리시 최적의 발아온도와 건조기간을 구명하고, 3 종류의 종자처리기술을 적용하여 고추종자의 입모율과 수확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아온도에 따른 결과는 무처리 종자가 15℃에서 12 품종 모두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SMP 처리종자는 발아율이 77(여명)∼100%(대왕)로 높았으며, 15℃ 여명품종의 77%와 35℃의 부강품종 85%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모든 온도에서 93% 이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은 45℃에서 3시간이 적절한 품종으로 금수레, 동방, 종가네, 향촌, 여명, 광복, 왕 품종이었으며, 35℃에서 6 시간이 적절한 품종은 마니따, 조양 품종이었고, 25℃에서 12시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품종은 부강, 다보탑, 대왕 품종이었다. 건조기간에 따른 고추종자의 수분 함수율 변화는 품종마다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45℃에서 3∼6시간으로 판단되었다. SMP, osmopriming, pH조절처리에 따른 입묘율을 비교한 결과 낮은 입모율을 보이는 처리는 향촌품종의 pH 조절처리, 다보품종은 무처리, osmopriming 처리였다. 또한 광복품종은 입모율이 낮았고, 대왕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양호한 경향이었다. 정식 후 90일째 수량에서 무처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결주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품종에 따라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며, pH 조절과 osmopriming의 처리 또한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율을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SMP 처리조건은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의 확보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반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추 12품종의 종자 처리시 적정 SMP carrier 선발을 하고자 하였다. SMP carrier 중 탄산칼슘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발아율을 보이거나,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실용성이 낮은 carrier로 판단되었다. Micro-cel E는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50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왕 품종의 경우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차후 대량의 종자처리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규조토의 처리는 수분의 배율을 1.5배 처리한 조양과 향촌품종이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50과 MDG가 단축되었다. 왕 품종의 경우 규조토로 1.0, 1.5배 처리는 T50이 0.99일과 0.89일로, Micro-cel E의 5.0, 7.0배의 1.59, 0.94일 보다 0.60일, 0.05일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적용 가능한 carrier는 Micro -cel E와 대등한 성능을 갖는 규조토로 판단되며, 수분배율은 1.0배 처리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12 품종의 SMP 처리시 carrier와 수분의 배율, 처리기간 및 처리온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적정 처리기간과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은 품종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처리 중 발아가 일어나지 않았고, 발아율을 높이며, T50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처리로 왕과 마니따 품종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1 : 3에서 7일이었다. 나머지 10 품종은 1 : 7의 비율에서 3일이 좋았다. 종가집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처리기간과 수분배율에 따라 발아율과 T50이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낸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처리온도는 15℃에서 35℃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처리 중 유근돌출의 억제와 발아성 향상에 안정적인 처리는 2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이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촉진을 위해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hydropriming의 적정 환경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이종자의 발아촉진에 최적 priming 처리제는 50 mL NaNO3였다. 유근장 및 유근 건물중은 priming 처리제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priming 및 hydropriming 종자는 무처리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50 mL NaNO3와 hydropriming 처리간 발아력 증진 효과가 동일하여 오이종자에서는 물을 이용한 hydro-priming 처리가 처리비용을 절가할 수 있어 합리적인 종자처리였다. 오이종자의 hydropriming 적정 처리온도는 20℃, 처리시간은 24시간이였다. Hydropriming시 종자 2g에 대한 용액량 10 mL 공급처리에서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발아촉진에 좋아 적정 용액량이라고 판단되었다. 인위노화 종자는 발아율이 감소하였고 T50 및 MDG는 지연되었으며, 비정상적인 발아는 증가하였다. 활력이 저하된 조화종자를 ,hydropriming한 처리는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조기 발아하였다. 또한 비정상인 발아는 감소되었으며, 유근생장이 촉진되어 발아력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노화일수가 경과된 종자일수록, 부적당한 발아조건인 15℃에서 현저하였다.
        4,000원
        7.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optimal conditions for breaking dormancy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seeds. A series of experiments according to seed maturity and treatment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performed to improve germination percentage and synchronize germination of the seeds.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useful effect of seed treatment before sowing leads to healthy seedling and early vigorous growth. The average seed size was 1.85 mm (length) x 0.82 mm(width). The seed size was much smaller than other vegetable seeds. Seeds colorappeared dark brown, the shape of the seeds was oval and the weight of 1,000seeds was 352.8 mg.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2℃. Light exposure during germination did not affect germination promotion, suggesting that A. rugosa seeds are a kind of dark germinating seeds. Seed dormancy lasted for 40 days after harvesting, and GA3 treatment of dormant seeds could break dorma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seeds.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mature seeds was 10 – 18% higher than that of immature seeds, and germination rate was 2 days faster. GA3 treatment during growth regulator treatment improved germinability, but BAP or ethephone treatment did not. The optimal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 of for germination was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100 mM GA3 + 100 mM BAP.
        8.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LTG) is an important trait for breeding of varieties for use in direct-seeding rice production systems. Although rice (Oryza sativa L.) is generally sensitive to low temperatures, genetic variation for LTG exists and several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have been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mploy high-efficiency molecular markers for evaluation of LTG in rice germplasm. A panel of japonica rice accessions (n=180) from temperate regions in Asia was evaluated for LTG and genotyped with markers from regions previously reported to harbor other LTG QTLs. ANOVA revealed that four markers on chromosome 2, 4, and 11 from previously reported QTLs showed highly significant value (p < 1.0e-04) and their R2 ranged 0.083 (qLTG11-1) to 0.190 (qLTG4b-1). An assoc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NP data generated by sequencing of the panel. Eight SNP mark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TG using general and mixed linear models. Three SNP-based CAPS and dCAPS markers from these results were developed and showed higher accuracy in predicting sensitive LTG germplasm. These new LTG markers will be useful for molecular evaluation of germplasm, particularly to identify sensitive or weak LTG accessions.
        9.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 viability testing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assessing seed lot germinability. However, most testing methods require destruction of seed prior to test. Because the dissected seeds for viability test cannot be used further evaluation, the nondestructively X-ray photography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seed quality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know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X-ray photography technique in seed evaluation test that conducted to remove the abnormal seed from a seed lot,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from tetrazolium viability test, germination test and X-ray contrast method in cotton. Metallic salts treatment increased the efficiency of X-ray photographic method by enhancing the penetration of X-ray in abnormal or damaged seeds rather than normal seeds that have strong and well-organized tissues in seed. Cotton seeds presoaked for 16 hr in distilled water followed by soaking into metallic salt solution (5% NaI in water) for 60 min were easily classified seeds into dead seed and viable seed based on the radiography images obtained by X-ray radiation. We concluded that soft X-ray photography was reliable to find out the various defective characters due to heat and mechanical damage of seeds.
        1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riations in antioxidant capacity of leaves and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mong five Hibiscus hamabo populations in Korea were evaluated. While the leaves of H. hamabo from Shincheon contained highest Na concentration, those from Hado and Ohzo does lowest. MDA content and SOD activit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pulations, but total protein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ive populations. The filled seed rates of five populations were ranged from 92.0 to 98.7%, and the moisture contents of seeds from Shinyang and Soando were lower than that of R. syriacus (5.18%). The fresh weights of H. hamabo from Hado and Ohzo were the highest and those of seeds from Shinyang and Soando were the lowest.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H. hamabo populations were detected for all seed germination characters: percentage of germination, average germination time and germination rate and uniformity. SOD activities of seeds from Onpyoung and Soando were the highest of five populations,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of seeds in Ohzo and Shinyang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populations. H. hamabo is considered exposed to salt stress and all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s were inferior to other species.
        1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germination is one ofthe major determinants for stable stand establishment in the direct seeding method in temperate regions.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controlling low temperature germiability (LTG) and awn were confirmed in BC1F1 usi
        13.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related with low temperature germination and emergence in rice.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s) 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a cold-susceptible Tongil-type rice var
        14.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ilm coated snap bean (Phaseolus vulgaris) seeds with five different coating materials treated with 3% increase in seed weight were planted at sandy loam soil controlled moisture content of 18, 19, 20 and 21 %. The oxygen diffusion rate (ODR) was calculated from the different moisture content soil. The number of normal seedlings, seedling vigor, and seedling capability in field (seed vigor x dry matter weight) were observed at 9 days after planting and compared to the changes of ODR. The germination rate and ODR were sharply decreased simultaneously in the seeds planted at 21 % soil moisture content. Seedling emergence did not occur at all as the soil moisture content increased above 22 %. Hence this valu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hreshold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seedling emergence. An ODR value under 20% did not influence the percent emergence significantly. The certain difference observing in the emergence at the same ODR was not related clearly to the condition of soil.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limit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the emergence of snap bean was approximately 20%. The value of 18% soil moisture content may be considered as the optimum for snap bean emergence.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alue of ODR in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s and the emergence. The germination rates of the seeds coated with the different materials were quite different when the seeds were planted at 21 % soil moisture. Dry weight of the seedlings from film coated seeds was decreased slightly, but the germination rate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on-treated control under relatively higher soil moisture content (21 %). Major factor lowering emergence rate was oxygen stress while film coating act as a minor constraint for snap bean sown in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
        15.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치종 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건전종자와 인위적으로 노화처리하여 활력이 낮은 종자를 수분함량이 50, 75, 100, 125%인 vermiculite와 섞어 25℃ 에서 24시간 matriconditioning하였다. 처리된 종자를 토양에 파종하여 25℃ 와 co]d test(10℃ 에서 7일 처리 후 25℃ 에서 7일 처리)조건에서 종자활력을 조사하여 matriconditioning에 알맞은 vermiculite의 수분함량을 구명하였고, 또 침종시 종자의 당과 전해질의 누출량, α -amylase 활성, DNA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을 조사하여 mariconditioning할 때 종자의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의 출아율, 출아속도, 유묘생장은 마치종 >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작았다. 건전종자가 노화종자보다 출아율, 출아속도, 유묘생장이 좋았고. α -amylase 활성, DNA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높았으나 당과 전해질의 누출은 적었다. 2. Matriconditioning은 25℃ 에서 발아할 때 마치종과 단옥수수의 건전종자의 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활력이 낮았던 초당옥수수 건전종자와 모든 genotype의 노화종자는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출아율이 증가하였다. Cold test에서는 25℃ 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출아율이 더 낮았다. 3. 출아속도는 단옥수수 건전종자는 25℃ 와 cold test에서 모두 matriconditioning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다른 종자는 25℃ 와 cold test에서 모두 matriconditionig 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출아속도가 빨랐다. 4. 유아장과 유아중은 cold test에서 matriconditioning의 영향이 없었던 초당옥수수의 건전종자와 노화종자를 제외한 다른 종자는 모두 25℃ 와 cold test에서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유아장과 유아중이 증가하였다. 5. 종자의 당 누출량은 마치종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많았다. 마치종은 건전종자와 노화종자 모두 당 누출량이 적었다. 단옥수수는 노화종자의 당 누출량이 건전종자보다 다소 많았고,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당누출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초당옥수수는 노화종자가 건전종자보다 당 누출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건전종자는 50%, 노화종자는 100%까지 matriconditioning처리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당 누출량은 감소하였다. 6. 종자의 전해질 누출량(침지액의 전기전도도)은 마치종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높았고, matriconditioning할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전해질의 누출량은 감소하였다. 7. α -amylase활성은 단옥수수 <마치종<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높았다. 모든 옥수수 genotype에서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α -amylase활성이 증가하였다. 8. DNA와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초당옥수수 <마치종 <단옥수수의 순으로 높았다 모든 genotype의 건전종자와 노화종자는 matriconditoining할 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DNA와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16.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bacco seeds (Nicotiana tabacum L. cv KF109) were primed in the polyethylene glycol 6000(PEG) solution and then stored at 5 and 25~circC under 40, 60 and 80% relative humidity (RH) conditions for six months.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mean germination time (T50 ), longevity and germination of the primed tobacco seeds were compared. Untreated seeds (control) stored at 5~circC showed high germinability throughout the entire storage period and humidity, and a decline in germinability showed after 6 months at 60% RH and after 3 months at 80% RH when stored at 25~circC , Primed seeds retained high germinability until 6 months at 60% RH and 3 months at 80% RH when stored at 5~circC but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germinability after 3 months at 40% RH, and 1 months at 60% and 80% RH, respectively when stored at 25~circC , Primed seeds were completely lost viability when stored at 25~circC under 60% RH for 6 months and under 80% RH for 3 months.
        17.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어린 묘 중에서 가장 판매주수가 많은 것이 고추 묘로서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는 발아와 균일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와 균일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priming 처리중의 광질처리와 발아온도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를 추적하여 고추 공정묘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명고추 [(주)중앙종묘]와 왕고추[(주)동부한농종묘]를 공시품종으로 파종 전처리는 priming 제 [KNO3; Ca(NO3)2], 농도 (0, 150, 300 mM), 처리기간 (0, 6, 12일), 광질 (적색, 초적색, 청색, 암)과 발아과정에서는 온도 (15, 25℃ 항온, 25/15℃ 변온)를 달리하여 발아과정에서는 백열등으로 조사하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riming제로서는 KNO3보다는 Ca(NO3)2가 발아율을 향상시켰으며 최종발아율과 T50은 공시품종 모두 Ca(NO3)2로 6~12일간 priming 처리하는 것이 처리하지 않는 것보다는 각각 증가되거나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발아온도 25℃ 항온에서 파종 후 5일까지는 암상태에서 priming한 것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나 파종 7일 이후에는 초적색광을 조사하면서 priming할 경우 가장 낮았다. 3. 발아율은 25℃ 항온에서 가장 높고 15℃ 항온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25/15℃ 변온에서의 최종발아율은 25℃ 항온에 근접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공시품종의 발아율은 priming 유무, priming 중에 처리되는 광질과 발아온도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발아온도를 달리할 경우 파종 7일 후부터 priming중 적색광 처리시 발아율이 가장 높아 priming중의 광질효과도 발아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어린 묘 중에서 가장 판매주수가 많은 것이 고추 묘로서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는 발아와 균일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와 균일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GA3, 처리중의 광질처리와 발아온도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를 추적하여 고추 공정묘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 하였다 대명고추 [(주)중앙종묘]와 왕고추 [(주)동부한농종묘]를 공시품종으로 파종 전처리로는 GA3처리농도 (0, 0.01, 0.1, 1.0 mM), 처리기간 (0, 1, 2, 3일), 광질 (적색, 초적색, 청색, 암)과 발아과정에서는 온도 (15, 25℃ 항온, 25/15℃ 변온)를 달리하여 치상 후 9일까지 백열등으로 조사하면서 발아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종발아율은 GA3 처리농도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으나, T50은 증류수에 침지하는 것보다 GA3를 처리할 경우 단축되었다. 2. 발아온도 25℃ 항온에서는 최종발아율은 GA3 처리유무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초기발아율은 GA3 처리로 증가되었던 반면, 치상 후 5~7일에서는 암상태에서 가장 낮았다. 3. 공시품종 모두 발아율은 25℃ 항온에서 가장 높고 15℃ 항온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던 반면 왕고추는 25/15℃ 변온에서의 최종발아율은 25℃ 항온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광질은 발아온도 25℃ 항온, 25/15℃ 변온에서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15℃ 항온에서는 GA3침지중 가하여지는 적색광 또는 암처리에서 치상 후 5일 이후부터 발아율을 증가시켰다.
        1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failed occasionally to take a reasonable emergence rate since tobacco (Nicotiana tabacum L.) seeds were planted on late Jan. showing lowest temperature. This experiment was done to measure the effect of GA3 (concentration ; period) , light quality (red ; white ; dark) during or after its treatment, daily irradiation hours( 0 ; 8 ; 12 ;16) and germination termperature (20 or 10 ℃ ocnstant ; 20/10℃ alternating) on the germination rate. Red and white light given during grmination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other daily irradiation hours except that 8 hours red light delayed germination although their 12 hours irradiation had the gratest rate. The rate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to GA3 0.01 mM or increased imbibition period to 3 days although the rate of cv. NC 82 was less than that of cv. Burley 21 in the case of dark imbibition of GA3 but daily 12 hours irradiation during germination. Light quality forced during GA3 imbibition eliminated such effect of GA3 shown in the darkness so that only light quality pretreatment and termperature during germinition were affected on the rate. The germination rate of thecultivar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red, white light, darkness meaning that it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light quality during GA3 treatment. Regardless of GA3 or light quality treatment,on the other hand, the rate was greater in 20 ℃ constat than 10℃ constant and 20/10℃ alternating germination temperature having similar germinative patterns.
        2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저하발아성에 대한 유전 양상을 구명하여 저온발아성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숙기가 다른 세 그룹에서 10품종을 선정 '94년에 15일 간격 4시기로 파종 및 이앙을 실시하여 수량한 종자를 '95년 4~5월에 13℃ 항온 실내 시험과, 건답 직파의 포장 시험으로 저온발아성을 조사하고, 저온발아성 고 1품종, 저 1품종, 중 4품종을 선정 '94 하계에 절영법에 의한 정역이면교잡을 실시하여 얻어진 F1 교배입을 '95년 5월에 13℃ 항온에서 저온발아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 시기를 달리하여 수량된 종자의 실내 및 포장에서의 저온발아성 분산분석 결과 품종에 따라 재배시기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실내 13℃ 항온 저온발아계수와 포장의 자연상태 건답직파에서의 출아계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r=0.5111)이 인정되었다. 3. 조합능력 분석 결과 일반조합능력 및 특정조합능력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일반조합능력이 특정조합능력보다 커서 상가적작용이 상위성 작용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정역차이 분산분석 결과 정역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5. 부친열 공분산/모친열 공분산 Graph에서 6개의 교배열 모두가 모본 효과를 보였으며, Alpha와 Beta 유전 분석 결과, 저온발아성의 정역간 차이는 Alpha 유전의 효과로 나타났다. 6. 평균우성도 분석 결과, 30개 조합 중 17개 조합에서 초월분리를 보였으며, 그 중 9개 조합이 저온발아성이 낮은 쪽으로 초월분리를 보였다.켜야 했다.0~130일이었고 재배가능 기간인 등숙만한기(CLRD)까지는 인제 154일, 수원과 대전 170~180일, 전주, 밀양 및 부산 등지는 180~200일이었다.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