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8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논에서의 콩 재배 확대 및 기상여건상 상습적인 과습 장해에 대비하여 내습성 콩 품종의 조기육성 및 습해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 질소농도는 2003년과 204년 모두 대조구에 비해 과습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정도는 장엽콩이 가장 컸고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이 적었다. 이는 과습처리후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의 뿌리와 근류의 회복력이 빨라 질소흡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2. 대조구 SPAD 값에 대한 과습구 SPAD 값의 백분율로 나타낸 잎의 녹색도는 V5 와 R2 stage 과습처리 시 모두 과습처리 종료 21일 후에는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의 녹색도가 66~74%로 회복력이 높았으나, 장엽콩, 명주나 물콩 및 Peking은 40% 이하로 회복되지 못했다. 3. 엽병의 ureide 함량은 2003년과 2004년 모두 처리시기에 상관없이 대조구에 비해 47~64% 정도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정도는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이 적었고 장엽콩, 명주나물콩 및 Peking이 컸다. 이는 ureide 함량은 근류의 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과습처리 후 근류의 회복력과 깊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됨. 4. ureide 함량과 SPAD 값과의 관계는 ureide 함량 3mmol/g 까지는 SPAD 값과 직선적인 관계가 있으나 ureide 함량 3 mmol/g 이상에서는 SPAD 값의 차이가 구분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엽질소농도와 SPAD값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5. 포장시험에서의 수량관련 형질 및 수량은 품종에 상관없이 V5 stage보다는 R2 stage의 과습처리에서 수량감소가 더 컸으며, 품종별로는 과습처리 시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이 수량감소가 적어 습해에 강하였다. 6. 과습처리 시기와 수량관련 형질과 생리적 형질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V5 stage 과습처리시에는 개체당 협수와 수량은 엽질소농도, SPAD값 및 엽병의 ureide함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R2 stage 과습처리 시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SPAD 값은 수량과 고도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7. 결론적으로 습해처리 시 엽질소농도, 엽병의 ureide 및 엽색도의 변화는 내습성 콩 품종을 선발하는데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됨.
        8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이상기후 대비 내습성 콩 품종의 조기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록소형광반응은 모든 시험품종이 V5 stage에 비해 R2 stage 과습처리시 더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이 장엽콩과 명주나물콩에 비해 엽록소형광반응의 감소정도가 더 적었고, 과습처리 종료 5일 후 과습구가 대조구의 95~97% 정도로 회복도 더 빨랐다. 2. 광합성율은 과습처리 시기에 상관없이 풍산나물콩과 무한콩이 장엽콩과 명주나물콩에 비해 더 적게 감소하였으며, R2 stage 과습처리 종료 31일 후에 무한콩은 대조구에 비하여 과습구의 광합성율이 66%로 회복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명주나물콩은 41%로 광합성율의 회복속도가 가장 늦었다. 증산량의 변화도 광합성율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3. 기공전도도는 R2 stage 과습처리에서는 평균 71% 감소한 반면 V5 stage 과습처리에서는 62%로 더 적게 감소하였다. R2 stage 과습처리 종료 31일 후에는 기공전도도가 대조구의 44%였으나, V5 stage 과습처리 종료 21일 후에는 대조구의 63%로, V5 stage 과습처리시에 회복속도가 더 빨랐다. 4. 단순회귀분석 결과, 대조구와 과습구 모두 기공전도도와 광합성율, 증산량과 광합성율 및 기공전도도와 증산량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5. 증산량과 기공전도도가 광합성율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기공전도도가 광합성율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했을 때 대조구와 과습구의 R2 값이 0.7293과 0.7582였으나, 또 다른 독립변수인 증산량이 회귀식에 추가되어도 광합성율 변이의 설명정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습해를 받을 경우 기공전도도나 증산율 중 어느 한 요소의 변화만을 측정해도 이들과 상관이 높은 광합성율의 변화를 추정할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8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ypsin inhibitors occur in a wide range of foods, they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plants such as soybean (Glycinemax) as the majority of specie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ood sources. Selected soybeans were subjected to various treatments including microwave heating, supercritical fluid CO2 de-fatting, ultrasound incubating by different treat time (5min-120min) to determine the effect on soybean trypsin inhibitor (STI) activities compared to the non-treat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microwave reduced trypsin inhibitors ranged from 20.57±1.40 TIU/mg to 14.60±1.48 TIU/mg compared to the control (21.44±1.04 TIU/mg) respectively (p<0.05). The inactivation of STI activities by ultrasound ranged from 28.47±0.16 TIU/mg to 19.86±0.78 TIU/mg compared to the control (28.87±0.18 TIU/mg) respectively (p<0.05). While the observed STI activities by supercritical CO2 de-fatting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study signifies the effective potential of inactivation of trypsin inhibitor by several applicable treatments which might be benefit in the food manufacture and livestock feeding industry.
        8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warming means not only increase in average air temperature but also increase in frequency of extreme weathers such as extremely high temperature over 45oC. Crops are generally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during their reproductive growth stage. This experiment was thus conducted to investgate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Oryza sativa cv. Chucheong) and soybean (Glycine max cv. Sinpaldal) to high temperature (HT) stress at their reproductive stage. Rice and soybean were exposed to different degrees of high temperature stress by keeping them in a growth cabinet deisnged to maintain air temperature up to 45oC for at least 5 hours in a day for different durations, 0, 1, 2, 3, and 4 days. HT stress treatment delayed heading and flowering of rice and increased the sterility of its' main panicle with increasing duration of HT treatment; 19.7 43.4, 68.1, 81.5 and 91.1% at 0, 1, 2, 3 and 4 days HT treatment, respectively. Increasing sterility due to HT treatment thus resulted in significant rice yield loss; 5.07 4.27, 4.32, 4.51 and 3.62 g/plant at 0, 1, 2, 3 and 4 days of HT treatment, respectively. Soybean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HT stress in its pod formation and sterility, particularly along the vertical stem. Increasing pod sterility with increasing HT treatemnt thus resulted in significant soybean yield loss.
        90.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기상여건상 상습적인 과습장해에 대비하여 내습성 콩 품종의 조기육성 및 습해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뿌리건물중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59~67%로 과습에 의한 감소정도가 가장 적었고, 장엽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47~49%로 감소정도가 가장 컸다. 본엽4엽기(V5 stage) 과습처리후 21일간 뿌리건물중 일당증가량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47~56%로 회복력이 가장 컸고, 장엽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26~27%로 회복력이 가장 적었다. 2. 근류건물중은 풍산나물콩이 과습구가 대조구의 83~91%로 과습에 의한 감소가 가장 적었으나, 명주나물콩은 과습구가 대조구의 48~66%로 감소정도가 가장 컸다. 3. 지상부 건물중에 대한 지하부 건물중의 비율(R/S)은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장엽콩은 과습처리 직후부터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 까지 대조구가 과습구에 비해 R/S가 0.04~0.06 정도 더 높았으며, 풍산나물콩은 과습처리 종료 4일 후 까지는 대조구가 과습구에 비해 R/S가 0.04 정도 더 높았으나,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에는 대조구는 R/S가 0.37였으나 과습구는 R/S가 0.39으로서, 대조구에 비해 과습구의 R/S가 더 높았다. 이는 과습처리 종료 후 뿌리의 회복속도가 빠르고, 부정근(adventitious root)의 발생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습처리 종료 11일 후 전체 뿌리 생체중에 대한 부정근의 생체중 비율은 명주나물콩이 14%로 가장 낮았고, 풍산나물콩이 38%로 가장 높아 생육후기 양 수분 흡수능력증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9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발생포장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접종구에서 협 피해 및 수량 감소가 적었던 품종은 풍산나물콩, 소백나물콩, 두유콩, 신팔달콩 2호로 다른 품종에 비해 노린재 선호도가 낮은 품종으로 생각되었고, 명주나물콩, 만리콩, 황금콩은 피해가 심한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콩 품종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선호성으로 모용색이 회백색인 품종군의 피해율이 13.0%인데 비해 갈색모용의 품종군은 8.2%로 피해율이 낮았으며, 제색도 황색에 비해 담갈색>갈색>회갈색 순으로 제
        96.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재래종과 야생종 자원의 엽 형질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콩의 엽형 조사를 계량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콩의 초형개량과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두류유전자원관리실에서 분양받은 콩 재배종 94개와 야생종 91개의 엽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종과 야생종의 엽장은 각각 12.3pm1.25 cm(8.7~15.3 cm)과 평균 6.6pm1.35 cm(3.7~11.3 cm), 엽폭은 각
        9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s of black soybea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hysiological functions related to human health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iles of anthocyanin in fourteen black soybean variet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PAD). In all of the cultivars analyzed totally nine anthocyanins including, CatCy3glc, Dp3gal, Dp3glc, Cy3gal, Cy3glc, Pt3glc, Pg3glc, Pn3glc, and Cy were found. Cy3glc was the major anthocyanin content, represention 69.5% of anthocyanin, followed by Dp3glc (23.0%), Pt3glc (4.9%), Pn3glc (1.2%), and Pg3glc(1.1%),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other five anthocyanins were in very low amounts, below 0.3 % in all varieties. Comparing cultivars and anthocyanin compositions, Geomjeong 2, Cheongja 2, and Cheongja 3 were found to content 9 anthocyanins. Geomjeong 1 and Seonheuk contented CatCy3glc, Cy3gal, Cy3glc, and Pn3glc. The variation of total anthocyani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 for soybean cultivars. Geomjeong 2 showed highest average total anthocyanin content (17,937.8 ㎍/g seed coat), and Tawonkong and Heugcheong had the lowest total anthocyanin values (2,835.7 and 2,853.1 ㎍/g seed coat, respectively).
        9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 diversity plays a great role in the survival and adaptability of a species under changable environment. Korea is known as original region of cultivated soybean species with high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ivated soybean lines. We have collected many semi-wild soybean lines, however, the information about the genetic diversity of these lines is limited. And also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nd genetic distance among the semi-wild, typical wild types (Glycine soja Sied. & Zucc.), and cultivated soybean(Glycine max (L.) Merr.) have been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versity of the three groups, and to verify their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diversity indexes of typical wild, semi-wild, and cultivated soybean accessions were 0.854, 0.677, and 0.52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genetic relationships, 58 accessions were defined into three genetic groups. Cluster I consisted of 20 cultivated soybean accessions and three semi-wild soybean lines. Cluster II contained 13 semi-wild soybean lines and one typical wild soybean line. Cluster II included 21 typical wild soybean lines and one semi-wild soybean line. Genetic distance between cultivated and semi-wild soybean, typical wild and semi-wild, and cultivated and typical wild were 0.525 0.761 and 0.810,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mi-wild soybean was much closer to the cultivated soybean the to the wild soybean
        10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id rain due to air pollution has been believed to be harmful to vegetation and crops, either by direct deposition on the foliage or by indirect leaching of nutrients from the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response and damage of soybean caused by acid rain in the glasshouse at the experimental st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oybean (Glycine max L.) cv. Sinpaldal was subjected to simulated acid rain (SAR) two times a week from R2 stage until its maturity. The pH values of SAR treatments were ranged from 2 to 5 together with tap water treatment (pH 7±0.2) as a control. The SAR was composed of H2SO4 and HNO3 at the ratio of 2:1 (v/v). SAR treatment at pH 2 caused clear visual damage on leaves and pods with severe chlorosis and necrosis even after the first SAR was applied, while those at pH greater than 3 showed no clear visual damage. Chlorophyll content (expressed as SPAD value) tended to decrease with decreasing pH with significant reduction at pH 2 as compared with pH values greater than 3. Photosynthesis also showed decrease with decreasing pH with significant reduction at pH 3 and 2. Soybean yield and its components were also affected by SAR treatment, particularly significant at pH 2.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