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rine cryptosporidiosis mainly occurs in young goats, with morbidity rates of 80%–100% and mortality over 50% in goat kids.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Cryptosporidium parvum, a diarrhea-causing pathogen, on the intestinal microbiota of goat kids. In this study, 16S rRNA-based metataxonom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icrobial diversity and abundance of the gut microbiota between C. parvum-infected and uninfected goat kids. In total, 12 goat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including seven naturally C. parvum-infected and five uninfected goats from Chungcheongbuk-do, Korea. After amplification of the V3–V4 hypervariable region of the bacterial 16S rRNA, high-throughput sequencing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microbial composition between C. parvum-infected and uninfected groups based on beta diversit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ere the most dominant phyla in both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acteroidetes/Firmicutes ratio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ed with the uninfected group, the C. parvum-infec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bundances of Tyzzerella nexillis, Lactobacillus johnsonii, Butyricicoccus pullicaecorum, Enterococcus raffinosus, Enterococcus faecalis, and Negativicoccus massiliensis, and significantly reduced abundances of Aerococcus vaginalis, Faecalicoccus pleomorphus, Oribacterium parvum, and Coprococcus co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 parvum infec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diarrhea in neonatal goats, induces alterations in the caprine gut microbiota.
우리는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장에 존재하는 공생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그중 다양한 식물 들을 대상으로 성장 촉진 효과가 보고된 세균을 단일배양 분리하였다. 이 세균은 16S rRNA sequencing을 통하여 Enterobacter roggenkampii로 동정되었다. 우리는 분리된 E. roggenkampii에 대하여 genomic sequencing을 수행하 였고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E. roggenkampii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중 IAA-Asp hydrolase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분리된 E. roggenkampii와 같은 속의 세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API kit와 기질 첨가 배지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향후 IAA-Asp 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잠재적인 식물 생장 촉진 비료 미생물로 등록하여 다양한 작물을 대상으로 생장 촉진 효과를 확인할 것이다.
Over the last decad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plastic degradation capabilities of insect because herbivorous insects may be a valuable resource for microorganisms that can break down synthetic plastics. Insects that can digest plastics using their gut microbiota are gaining interest for use in bioremediation, although their environmental benefits remain unknown. However, most plastics biodegraded by insect gut microbes are polyethylene, polystyrene with little knowledge available on the gut microbiome of insects capable of degrading other synthetic plastic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microbial resources based on insect-microbiome interactions and promote end-of-life solutions for synthetic plastics.
Honeybees are pollinating agent of economic importance, and a model organism for microbiome analysis. The microbiota plays a great role in honeybee health and development as such needs to be fully elucidated among Apis mellifera in Korea. using 16S rRNA gene illumina sequencing, the gut microbiota of Apis mellifera at four developmental stages under natural condition shows dysbiosis of essential microbiota, especially between the 5-days larvae and workers.
본 연구에서는 남극 로스해 연안에 서식하는 아델리펭귄(Pygoscelis adeliae)과 황제펭귄 (Aptenodytes forsteri)의 분변 시료를 기반으로 펭귄 장내 미생물 메타지놈 연구를 수행하였 다. Taxonomy 분석 결과,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의 장내 미생물에는 주로 7개의 문(phylum), 18개의 과(family)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Alpha diversity 및 OTU abund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아델리펭귄의 장내 미생물 다양 성이 황제펭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PCoA를 기반으로 한 Beta diversity 분석을 통해 두 개체군 간 장내 미생물 군집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ICRUSt를 활용한 기능적인 차원의 KEGG pathway 분석을 통해서는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 시료에서 nucleoside and nucleotide biosynthesis pathway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남극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의 장내미생물 구성과 다양성을 비교분석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는 향후 펭귄의 먹이 섭식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남극 생물의 장내 미생물 메타지놈 분석에 대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글은 황해도굿에 등장하는 무복과 무구인 오방신장기의 연 원과 향방을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 뿐만 아니라 한국의 무속 에서는 오방색은 감각적 측면의 표현보다는 주술적, 종교적 의 미로 오방색을 받아들이고 활용하여 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특히 적색은 복을 기원하는 가장 기본적인 색으로 다양하게 활 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남색 역시 벽사의 힘을 가졌다 믿는 장군·신장의 무복에서 많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무속에 나타나는 오방색은 중국의 경극에서도 나타나는데, 무복과 경극의 의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무복과 오방신장기에서 나타난 오방색은 <오제설>에서 비롯된 것이며 오방신장기는 방위의 의미와 함께 신장이라는 신령과 결합하여 다양하게 활 용되고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을 밝 혔으며, 오방색으로 구성된 무복이 가지는 미의식을 색채관으 로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