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has been extended, and the transition from aging to aging is accelerating. This rapid increase in aging has mad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more important. The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ople are burdened with social and economic burden. Along with the physical change of the elderly,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health measures of the elderly should be emphasized and adequate and sustainable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A healthy lifestyl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ad been better in the elderly with a lively social relations determine these social links are physical activity, the ability of the elderly.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facility tend to be depressed or self-esteemed by mental anxiety due to the transfer from the family to the facility. Therefore, we need a program to improve the self - esteem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f a non-single, self-integration program is provided to the elderly, the integration program consisting of nature-friendly contents will be familiar to the elderly and participation will increase. The program with the play is effective because it can give pleasure and laughter, and the nature-friendly integration program is applied. A natural-friendly integration program is an integration program of integrated forest healing, horticultural therapy, and play, based on an earlier paper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nd plant-mediated horticultural therapy, Respectively.
무료시설에 입소자들과 생활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해왔지만,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하고 생활한 분들이 많아 효과를 적고 참여도 부진한 점이 있어 무료하고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변화를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무료 시설에 있는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K시의 S시설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생활에서는 자아존중감은 향상되고 우울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유사 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있었으며 이는 원예치료가 생명체를 매개체로 하면서 반복을 하고 특히 그룹 활동을 통해서 대상자간 치료사와 대상자간의 교류를 통해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주었기 때문이다.
무료시설에 있는 노인의 경우 어려운 형편으로 프로그램의 관심이나 참여가 저조하여 집단으로 즐길 수 있으며 프로그램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스스로 즐길 수 있는 원예치료를 적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추후에 이에 대한 연구를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 된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가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그룹 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이는 살아있는 식물을 매개체로 오감을 만족시키므로 창작활동을 통해 자기표현을 함으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흥미 있고 기분이 상쾌해지는 아름다운 꽃과 식물 기르기를 통해 그룹 홈 청소년들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었으며 자기가 완성한 작품을 남에게 선물을 하므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 대인관계와 자기존재의식이 확립이 되는 기회를 주므로 원예치료가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