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천적 쌍꼬리진디벌(Binodoxys communis)에 대한 분류·동정과 성비, 수명 등 생물학적 특성과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조사한 온도 조건(17.5°C ~ 35.0°C) 중 35.0°C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 온도 조건별로 는 17.5°C에서 발육 기간이 21.7일로 가장 길었고, 32.5°C에서 6.4일로 나타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수 성 비는 25.0°C ~ 30.0°C의 온도범위 내에서 암컷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암컷의 발육영점온도는 10.87°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였고, 수컷은 발육영점온도는 10.74°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로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등 4종의 농작물 주요 진딧 물을 대상으로 한 기주 선호성은 상대적으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콩진딧물에 대해서도 높은 편이었지만, 복숭아 혹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하여는 선호도가 낮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mount of Metcalfa pruinosa was higher in Cheonan and Geumsan, which are adjacent to Chungbuk province and in Taean, Dangjin, Asan, Cheonan adjacent to Gyeonggi provin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 pruinosa has spread from Chungbuk and Gyeonggi to Chungnam.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 pruinosa eggs using SADIE, in 2017, the aggregation index(Ia) of 1.406 was close to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but in 2018, Ia of 1.102 was close to the random distribut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pests have spread throughout Chungnam.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hosts that M. pruinosa larvae preferr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host preference with 38 species and 30 species in Asteraceae and Rosaceae, respectively. When the degree of occurrence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plants with the highest occurrence degree of 4 were Aralia elata, Styrax japonica, Ziziphus jujuba, Prunus cerasifera and Robinia pseudoacacia, in woody plant, and Rhododendron indicum, Rumex japonicus, Helianthus annuus, Humulus japonicus, and Cirsium japonicum in herbaceous plant. These plants can be used as a chemical substance that can attract larvae and adults before the laying of eggs. Therefore, we plan to utilize these plants to select incentives by studying behavioral responses of M. pruinosa.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목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체를 섭식하였으며 특히 공주시 팔봉산 산림 속의 경우 노린재 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멍석딸기, 복분자, 산딸기, 상수리나무, 산수유, 싸리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철쭉, 영 산홍을 선호하였다. 성충 출현 이후 홍성군 용봉산 조사에서 산란전기간의 성충은 주로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을 가장 선호하였고 산란기에 접어 들면서 이들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 같은 1년생 초종에서의 거의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은 산란을 위하여 수목류나 관목류의 목본류로 이 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공주시 팔봉산 조사에서 산란기주는 주로 병꽃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개모시, 고욤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매실나 무, 벚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버드나무, 산철쭉, 층층나무 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정도, 산란수, 성충수는 산림 속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월 등히 밀도가 높았으며 산란정도와 산란수의 경우 고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충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본 결과는 갈색날개 매미충의 발육단계별 선호기주에 관한 보고로서 특정 시기에 선호하기는 기주를 선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트랩식물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 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 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외적으로 침입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완전 기생성 외래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gelm)은 토착종에 비하여 그 분포범위와 개체군의 크기가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농작물 등에 피해를 주는 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금강수계 86개 지점과 공주대학교 교내 야외 온실에 있는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또한 미국실새삼이 나타난 지점에서의 출현식물을 조사하여 각 과별 미국실새삼에 기생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미국실새삼의 발아기인 5월과 개화기인 10월을 기준으로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년간 조사가 진행되었다. 금강수계와 교내에서 출현한 식물은 91과 245속 385종이였으며 이 중 미국실새삼의 기주식물은 39과 88속 107종으로 27.8%의 기생비율이 조사되었다.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전체 식물 종수가 10종 이상인 과 중에 미국실새삼의 기생비율이 가장 높은 과는 마디풀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에서 총 15종의 마디풀과가 출현하였으며 이 중 미국실새삼이 기생한 종은 8종으로 53.33%의 선호도를 보였으며 콩과 48.39%, 국화과 39.53%, 꿀풀과 36.36%, 사초과 27.27%, 벼과 20.75%, 장미과 17.6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기주식물을 과별로 정리해보면 국화과(17.14%), 콩과 (13.86%), 마디풀과(5.71%), 벼과(5.71%), 기타(57.58%)의 순서로 미국실새삼은 국화과에 가장 많이 기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출현한 식물에 비해 가장 많이 기생한 과가 마디풀과인 것을 보았을 때 미국실새삼은 국화과 보다는 마디풀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생부위를 줄기와 잎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을 때 미국실새삼은 국화과와 벼과 식물보다 콩과의 줄기에 적게 감았으며 반대로 잎은 콩과에 많이 감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실새삼이 4과 4속 4종의 멸종위기식물에도 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실새삼은 숙주에 기생하여 기주식물의 사망률을 높이고, 활력도를 떨어트려 가해곤충이 많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관찰되었다. 농작물의 피해를 확인하였던 미국실새삼이 멸종위기식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Since 2000, the damages of hemipteran pests have severely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proper monitoring methods and investigate seasonal occurrences of the two apple-infesting stink bug species by the year and to evaluate the orchard rate of infestation and rate of damaged apple. Also the preferences of stink bugs to the crabappl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in orchards. Compared data obtained from monitoring methods using visible counts,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r mercury light traps, the occurrence density of apple-infesting stink bugs (Plautia stali and Halyomorpha halys) could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in aggregation pheromone trap than visible count or mercury light trap. The occurrence densities of two species during growing season were low in 2013, but increased in 2014. From the investigations at 25 orchards of eight districts was the infestation rate was at 16.7% in 2013 and 62.1% in 2014 . The occurrence density of stink bugs in crabapples was highest in ‘Purple lemoine’ followed by ‘Professor sprenger’ ‘M. baccata’, ‘Robinson crab’, ‘Sandong pingguo’, damaged fruit rate. The number of damaged holes was high in order as ‘Hopa-A’, ‘Sandong pingguo’, ‘Adam’s crab’, ‘Professor sprenger’, ‘Purple lemoine’.
A total of 48 host plants of 12 species of leaf-rolling weevils form 5 provinces in Korea are recongnized by results of field observation of long period and breeding of cradles in the laboratory from April 2006 to September 2010. Of them 1 species are added the host plant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은 대상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생태계 내의 다른 비표적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재배에 앞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좀나방 내성 유전자변형 Bt (Cry1Ac1)양배추가 비표적 곤충인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기주선택실험 및 성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주선택실험에서, 두 개체씩의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각각 10마리의 유시 성충(alate virginoparae)을 접종하고, 사흘간 생식(reproduction) 기회를 제공한 후 생산한 약충의 마리수를 측정한 결과,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낳은 약충의 수가 각각 21.9±1.8와 22.5±2.2로 비슷하였다. 성장실험에서, 갓 태어난 무시 약충(apterous virginoparae)을 Bt 양배추 및 모본 양배추를 기주로 하여 키웠을 때, 성충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서 각각 5.8±0.2, 5.9±0.1 일(da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개체군 생장률(rm) 또한 0.7±0.1, 0.8±0.1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때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미미함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보완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is an oligophagous insect feeding on a few species of Solanaceae plants, including Nicotina tabacu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 assulta and plants, focusing on oviposition preference and larval performance of the specialist in host and non-host plants. (1) In choice experiments, N. tabacum and Phaseolus vulgaris were put in a cage with 5 females and 10 males. Most of eggs (ca. 98%) were layed in N. tabacum, whereas few eggs in P. vulgaris. (2) In non-choice experiments, N. tabacum, Datura stramonium, or P. vulgaris was individually put in a cage with 3 females and 6 males, resulting that N. tabacum was the most preferred host, followed by D. stramonium and P. vulgaris. Oviposition was delayed about 2 days in P. vulgaris (a non-host plant) compared to the two host plants. (3) Larval performance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ree plants. Larval growth was better in N. tabacum followed by D. stramonium and P. vulgaris, High mortality (ca. 100%) of larvae was observed in P. vulgaris, suggesting toxic component(s) derived from the non-host plant might cause the death. The ovipositional avoidance in P. vulgaris is current being investigated to search for the oviposition deterrent, which could be useful for the environment-friendly pest management of H. assulta.
 ,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preferenc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uller (Stylommatophora: Limacidae) using various foods. The food preference of D. reticulatum was most highest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followed on cucumber (Cucumis sativus L.), and significantly low on beet (Beta vulgaris var. Ruba),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carrot (Daucus carota L.) and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which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D. reticulatum was the highest (n = 109.6) on cucumber and the lowest (n = 10.1) on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Hatchability was the highest (92.4%) on cucumber and the lowest (62.5%) on leaf perilla. The egg developmental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2 days to 13 days among host plants. Juvenile period and adult longevity ranged from 75 days to 111 days and 66 days to 187 days, respectively. Thereby, life span from egg to adult longevity of D. reticulatum was the longest on cucumber with 273 days and the shortest on 190 days on leaf perilla.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Gyllenhal,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on Chinese milk vetch and hairy vetch. The insect usually feed on leaves, stems and pods of the green manure which causes severe reduction of bioma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occurrence of H. postica larva and adult on Chinese milk vetch in 2009 to 2010, and to evaluate host plants preference of 11 different seedlings in 2010, Milyang, Korea. Occurrence of H. postica larvae on Chinese milk vetch was observed to increase from early April clearly and its peak population was showed during middle to late April. The 1st generation of newly emerged adult of H. postica was appeared on 20th May. Newly emerged H. postica adult was fed on green manure such as Chinese milk vetch and hairy vetch as well as various seedlings located at nearby upland. And then the insects were migrated into aestivating places in middle to late of June. Thus, host plant preference of H. postica adults were evaluated with 11 different seedlings using transparent acrylcage and at Chinese milk vetch field. As a result, H. postica adult preferred on Chinese cabbage, followed by soybean, kale,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The damaged rating of seedlings were shown to have the same trend with adult occurrence. In particular, few H. postica adults were occurred on eggplant, lettuce, corn, crown daisy and peanut, and thereby those crops were regarded as non-preference plants due to the absence of damage. These informations can be used by upland farmers who sowing from late May to early Jun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H. postic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host preference, survivorship and feeding behavior using EPG against ggot-mae-mi, Lycorma delicatula against seven plants such as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Malus pumila, Pyrus calleryana, Hibiscus syriacus, and Pinus densiflora. In host preference. L. delicatula was most preferred the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nd was not preferred the other plants. Survival rate of 3rd Nymph was recorded from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15.0, and 15.4 days, respectively, it showed longest period. However, Malus pumila, Pyrus calleryana, Hibiscus syriacus, were survived within 6 days and Pinus densiflora was within 5 days. Moreover, L. delicatula was survived within 2 days to the three kinds of fruits. Ecdysis rate from 3rd to 4th nymph also high from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63.3, 63.0 % and the order was followed as Malus pumila(17.7%) > Pyrus calleryana(9.3%) > Hibiscus syriacus(7.8%) > Pinus densiflora(5.9%). Especially, ecdysis rate was recorded 0% to the three kinds of fruits. Feeding behavior was analyzed using EPG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their waveform from seven kinds of plants and three kinds of fruits. Non-probing time was short in host plants, reversely, Phloem-feeding time was recorded longer in Ailanthus altissima, Vitis vinifera as 45.7 and 13.7 min, respectively. And other plants and fruits were not showed feeding behavior.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 60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0.2일,2령 8.40.5일, 3령 6.40.4일,4령 7.40.3일,5령 12.6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