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중독은 만성재발장애인 동시에 뇌장애로 설명될 정도로 다른 중독에 비해 재 발은 쉽고 회복이 어려워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마약류 중독자를 치료의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무엇이 마약중독 치료 예후에 도움이 되는가는 치료자들의 가 장 큰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무작위로 선정된 국내 교정시설 내 마약류사범 369명을 대상으로 한 중독재활치료에서 마약류사범 대상 한국어판 회복단계척도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회복과정으로서의 변화단계인 전숙고, 숙고, 실행, 유지 요인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의 결과는 척도의 적합도와 4요인 구조를 지지하였다. 신뢰도는 전체 .83, 전숙고 요인은 .82, 숙고 요인은 .79, 실행 요인은 .93, 유지 요인은 .81로 나타났다. 회복단 계가 상승할수록 단약자기효능감과 변화준비도 단계 및 치료열망 척도의 인식 및 행 동실천 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우울・불안・스트레스 척도 및 전숙고(중독문제를 부인함으로써 회복을 방해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요인)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판 회복단계척도가 원척도와 같이 네 가지 회복단계를 측정하며 치료의 유지 및 결과 예측의 유용한 척도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정시설 내 마약류 사범의 중독특성을 탐색하고 회복가능성을 예측하여 마약 중독재활치료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금당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모래(sand)와 진흙(mud)이 풍부하였다. 수심은 평균 48(21~124)㎝로 다소 깊었으며, 유속이 0.24(0.08~0.36)m/sec로 느렸다. 암수 성비는 1 : 0.98 이었고, 채집된 개체의 전장 범위는 23㎜에서 162㎜ 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5월 기준 전장이 23~59㎜는 만 1년생, 60~99㎜는 만 2년생, 100~139㎜는 만 3년생, 140~162㎜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2차성징으로 생식적 유두(genital papilla)는 암컷의 경우 원통형 모양으로 끝의 안쪽이 비어 있으며 직경이 수컷에 비해 컷으며 수컷은 끝이 뾰족하여 원뿔 모양이었 다. 성적성숙이 이루어진 수컷은 혼인색으로 복부와 몸통 전체가 검은색을 띄었다. 암컷의 경우 60~69㎜에 해당하는 일부 개체만 성적성숙을 하였고 70㎜ 이상이면 모두 성적성숙을 하였다. 수컷은 70~79㎜에 해당하는 개체 중 일부만 성적성숙을 하였고 80㎜ 이상에서 모두 성적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5월부터 시작되어 7월에 끝났으며(수온 19.6~29℃) 산란 성기는 6월로 추정되었다(수온 26℃). 포란수는 평균 2,473(883~4,955)개 이었고 성숙란은 짙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1.42(1.20~0.54)mm 이었다. 전장-체중과의 상관관계식은 BW=0.0000006TL3.21로 상수 a는 0.0000006를, 매개변수 b는 3.21 이었다. 비만도 지수는 평균 K=1.67(1.18~2.43) 이었고 기울기(Slope)는 0.116로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Radon is an inert gas, and a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 Radon is produced by radium and uranium. Generated radon causes lung cancer through the inhalation. Therefore, If uranium contaminated soil is close to indoor spaces, residents may be exposed to this radioactive material(Radon). Generally, radon affects the first to third floors of buildings. But our research team has often detected high radon concentration in the indoor air of high-rise apart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uranium and radium are brought into a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radon emission rate of building materials being used in South Korea. Also, our team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radon emission rate of gypsum tiles and concrete found in an apartment(17th floor apartment indoor radon concentration 5.03 pCi/L, Rad- 7(DURRIDGECo.USA)). Finally, we investigated the radon emission rate of bricks containing the soil near a uranium mine. The average radon emission rates of general building materials are as followings: (gypsum board : 0.20·h-1/kg, gravel : 0.05, gypsum tile : 0.02, indoor tile : 0.08, general brick : 0.02, red clay tile : 0.02, concrete : 0.11, uranium mine soil : 4.81). The results regarding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a 17th floor apartment’s building materials are as followings: (gypsum board : 0.70, concrete : N/A). The results regarding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bricks containing soil near a uranium mine was 0.19. This experiment indicates that gypsum boards show the highest radon emission rate among general building materials. In particular,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the gypsum boards in a 17th floor apartment was 3.5 times higher than general gypsum board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building materials that possess high levels of uranium emit more radon gas than any other materials. South Korea has not established legal regulations on radon emission from building material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manage the radon emission rate of building materials and control their usage before construction.
국내 전통식품 인증을 획득한 된장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억제를 위한 기능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국내 농산물로만 제조되어진 전통식품인증 된장총 24개 제품을 전국에서 수집하여 70% 메탄올로 추출한다음, MEF 세포주에 처리하여 간섬유화의 지표인 α-SMA의 발현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공장식 생산과정을 거치는 일반 시판된장과 대조군 대비, 경북지역에서 수집된No. 13 전통인증된장 추출물이 약 74%의 α-SMA 발현억제활성을 나타내어 뛰어난 간 섬유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silymarin 84%과 비교시10%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았으며, 2년 이상의 발효시간을거친 제품임을 감안할 때 향후 발효시기에 따른 기능성의향상에 대한 기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We surveyed the sanitary conditions for 17 cold and frozen food storage warehouses in Korea,using the following 5 inspections items: “putting into warehouse (A)”,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B)”, “storage management (C)”, “temperature control (D)”, and “management of records and documents (E)”, We included 20detailed items. The results of distribution for frequency by five major inspection items showed that “(E)” was the highest,the next “(D)”, “(C)”; and “(B)” was the lowest. In the correlation of inspection scores between total scores, “(B)”and “(C)” were highly related to the total score, therefore, the higher score of “(B)” or “(C)”, the higher for the total score. In details of inspection items, “the management of cross-contamination upon taking product out of the warehouse”had the lowest score with a mean, of 2.67 ± 1.80, and also ranked as first of the 20 items.
이 글은 김성일이 임진왜란 당시 어떤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초유사 또는 경상우감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했고, 그것이 임진왜란의 극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가늠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김성일은 전형적인 퇴계학파 계열의 학자·관료였지만 인간적 성향 및 기 질에 있어 조식 및 남명학파와의 친연성이 컸고, 최영경의 신원운동을 주도 하는 과정에서는 강우 남명학파권 인사들로부터 상당한 신망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런 바탕 위에서 그는 김면·곽재우·정인홍 등 남명문인이 중심이 된 의병조직을 원만하게 지휘·조율하며 전란에 대응했고, 그 결과로서 호남 을 수호하는 바탕을 마련했다. 또한 김성일은 수십년 관료 생활의 과정에서 형성되어 있었던 조정 관료 들과의 인적 연계망을 최대한 활용하며 직무를 수행해 나갔다. 류성룡·김우 옹·유근·김응남 등 주로 동인계 중진 관료에 집중되어 있었던 관료적 네트워 크는 군량의 조달 및 확충에 크게 보탬이 되었다. 결국 김성일은 남명학파와 의 사적(私的) 네트워크와 재조 관료들과의 공적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며 공인으로서의 책무를 충실히 수행했던 것이다. 그가 통신사행에 따른 실보(失報)에도 불구하고 영남재조론(嶺南再造論)의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