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장(鹽醬)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기저 음식으로 밥, 국, 반찬으로 구성된 한국 식사구조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물이다. 본고는 삼국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불교사찰과 일반사회의 식재료로서의 염장의 내용을 개괄하고 고려 시대 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冲止)의 시문을 통해 불교 수행자로서 산중 음식 생활에서의 염장의 모습과 선어(禪語)로서 염장이 선불교의 수행과 깨달음에서 어떠한 상징과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통일신라 시대 불교사원의 장독대인 장고(醬庫), 고려 시대 태안 마도선의 동식물, 음식유물은 해당 시기 음식문화를 밝히는 핵심자료로 기능하였으며 각 시기 문헌 자료와 더불어 상호보완적으로 당시의 음식실태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였다. 산중사찰 수행자의 염장 생활과 선어(禪語)와 선지(禪旨)로서의 염장고찰은 원감국사의 시문을 통해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와 화두로 정착하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1990년부터 베트남에서 활동해온 장요나 선교사의 선교사역을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특히 장요나 선교사와 언더우드 선교사를 비교하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와 장요나 선교사는 해당 국가가 복음전파를 금지 하고 있는 법을 어기고 복음을 전했다는 점에서, 본국에서 교단을 초월한 협력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그리고 천주교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반면에 언더우드와 달리 장요나 선교사는 베트남 현지에 있는 선교사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자신을 의사로 사칭하며 선교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가족과 자신의 질병을 돌보지 않고 선교사역을 이어갔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산국가인 베트남에서 오랫동안 지속해온 장요나 선교사의 선교사역은 교회, 병원, 학교설립 등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다는 점과 그가 추구하는 베트남을 포함한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와 같은 인도차이나반도 선교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The consumption of high-salt foods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increased hypertension. Thu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of taste sensitivity and pleasantness of high-salt foods such as Korean jang products, would help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salty food eating behavior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taste sensitivity and salinity of Korean jang products, and the preferences of food groups and nutrient intake in the rural elderly. We studied 269 elderly persons (males 83, females 186) aged above 65 years, residing in the rural area, Sunchang gun Jeonbuk. For each subject, a recognition threshold of 4 basic tastes and pleasant concentrations of NaCl were estimated using the sip- and–spit method. Taste preferences, frequency of intake of food groups, nutrient intakes, and salinity and sweetness of Korean jang products (Doenjang, Ganjang, Gochujang) were assessed.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alt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optimally preferred concentration of salt and salinity of Korean jang products. However, the sweet taste recognition threshol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weetness of Korean jang products. Also, the salinity of Doenja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food groups and nutrient intakes. That is to say that the sweet taste sensitivity was related to the sweetness of Korean jang products, but was not sensitive to the salty taste. The salinity of Doenjang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education to reduce the salinity of Doenjang, which is an important modifiable factor contributing to reducing sodium intake in the rural elder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tential acceptability of Korean jang products among Halal food consumer’s to predict its market possibility in a Halal food market.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implemented to 11 Halal food consumers residing in Korea for more than 4 month. During the test, 3 types of fermented paste, doenjang, ssamjang and gochujang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se to Korean foods. In 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liking of the jang applied samples, general experiences of Korean food and fermented food in their home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positive to Korean jang applied samples in general. The mean liking ratings of doenjang, ssamjang and gochujang were 7.1, 7 and 7.6 on 9-point hedonic scale, respectively. Consumers focused on the sweet and spicy flavor quality of the samples. Consumers commonly responded that the doenjang tasted too salty and needed to increase sweet and spicy flavor, and ssamjang needed to increase spicy flavor as well. Sweetening was necessary for gochujang. The reasons of liking Korean jang were because the flavors were unique yet familiar. The balanced flavor of salty, sweet and spicy flavor were additional reasons of liking. However, the fermented smell of jang products were reasons of disliking the products.
This study sought to prove the validity of Hansik Yangnyomjang classification Korean culinary education.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Cuisine professionals, culinary instructors, culinary professionals and potential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ny differences in terms of the validity of Hansik Yangnyomjang classification between groups based on their majors, teach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sauce classification.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fermented Jang is core element Korean cuisine. Second, Hansik Yangnyomjang classification needs to be organized around Balhyojang. Third, Hansik Yangnyomjang classification for beginners and foreig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Cuisine relatively easily. Finally, the term ‘sauce’ is not suitable for replacing Yangnyomjang.
Soengyo-jang has some characteristics as the most great house, the special functions, and the non-regional type of house form. And it has constructed continuously for two centuries by many owners in the different generations, It needs a special research method ; which are consist of a) comprehens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from documents and oral instructed materials, b) pursuit of design process through the building survey, and c) theoretical interpretation about 'collectivism'.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architectural purpose of this house was constructing 'a great manor'. At first phase, it had been a single ordinary house, at second, it had expanded to a complex including many housing clusters, and finally became to expand its dwelling territory into whole village. Its expansion was progressed by the four collecting phases of which were building, building cluster, group of clusters, and topological setting. Main design elements operated in each of collecting phases ; they were partial element of <Ondol+Floor>, exterior spaces of <Madang>, a linear building of <Haenglang>, and a pavilion of (Hwalleajeong>. The last two elements were also powerful datum.
Eh-jang (fermented aquatic products) of Asia can be classified 4 groups, those are Chot-kal (salted fish guts), Chot-kal Paste, Eh-ganjang (fish sauce) and Shic-hae (lactic acid fermented fish products). The native place of Eh-jang and rice culture is almost same and Eh-jang had been spread out all the area of Asia along with rice culture. Korea has variety of Chot-gal and consumes much Chot-gal that Korea is the culture area of both soybean sauce and Chot-gal. Eh-ganjang had been edible all area of Korea during Chosun Dynasty, but it remains only Southern part of Korea. Korean Chot-gal paste is produced as a form of Kon-chang-yi-chot. Korean Shic-hae had been edible all area of Korea during Chosun Dynasty, but remains at the east coast and some area of Hwang-hae Do and Kyung-sang-nam-d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태권도장 경영 현황을 비교하여 그 문제점과 경영모형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태권도장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마케팅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태권도장을 비교분석 하는데 있어 시설, 프로그램, 법령절차, 홍보방법으로 한정하였으며 한국 서울시 G태권도장과 중국 지난시 H태권도장을 설정하여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설면을 살펴보면 규모로는 한국 G태권도장이 중국 H태권도장에 비해서 규모가 소규모이 며, 수련생을 위한 편의시설의 다양성 면에서도 중국 H태권도장이 우수하였다. 중국 H태권도장은 대수련관, 소수련관, 샤워실, 탈의실, 상담실, 관장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둘째, 태권도장을 이용하는 시간과 요일을 비교분석한 결과 중국 H태권도장의 경우 평일은 오후 2 시에 주말은 오전 8시30분에 개방하여 오후 8시30분까지 운영한다. 매주 월요일에 휴관하였다. 반면 한국 G태권도장은 오후2시부터 오후10시까지 운영하였으며 매주 토·일요일 휴관하였다. 주말에 행사 가 있으면 예외 였다. 셋째, 수련비의 경우 한국 G태권도장은 서울시 태권도 협회 및 각 지역 태권도협회 규정 수련비에 맞게 책정되었고, 중국 H태권도장은 중국태권도협회나 지역 태권도협회의 규정요금이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시·구의 실정에 맞게 관장 임의로 수련비를 책정하여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수련비는 시간 대비 환산해서 시간당7000원 정도에 수련비를 받고 있다. 넷째, 태권도장에서 수련시간과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G태권도장 의 경우 1일 수련시간 60분, 주5회 운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출석은 각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사범 들이 관리하고 있다. 운동 프로그램은 기본동작(바른 자세, 발차기등), 겨루기 품새, 호신술 등으로 실시하며 인성 교육으로는 예절, 지도력, 책임감, 자신감 등으로 교육하며 수련강도는 수련생들의 능력에 따라 강도를 맞추어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반면 중국 H태권도장은 1일 수련시간은 90분 주 2회 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련프로그램은 한국은 프로그램이 다양한 편이나 중국은 겨루기 수련 위주로 단 조롭다. 다섯째, 한국에서의 태권도장 개설을 위한 제도적 법령철차는 지도자의 자격조건 구비가 필수적이며 시·구청 등록, 세무서 등록, 각 지역 태권도협회 가입 등을 마쳐야 하지만 중국에서는 태권도 장 개설 시 각 지역 ‘체육국’의 법령절차에 따라 접수를 하고 지도자의 자격조건에 대해서는 경기 실적 증명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홍보방법에 있어서 중국 H태권도장 보다 한국 G태권도장의 홍보 전략에 있어 더 많은 전략을 가지고 있다. 중국 H태권도장은 광고, 전단지 배포 및 포스터, 태권도장 프랜카드, 태권도 시범, 수련생의 가족 및 동료집단에 의한 홍보, 위쳇을 통한 홍보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G태권도 장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현수막, 태권도 시범, 간판광고 등이 있고 수련생들의 승급 심사, 수련회를 통한 특수 이벤트로 홍보 전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은 한국의 독특한 발효 식품이며 장양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숙성 된장에서 새롭게 생성된 성분과 그것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5년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새로운 o-dihydroxyisoflavone인 7,3',4'-trihydroxyisoflavone과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의 o-dihydroxyisoflavone을 각각 분리하여 다른 isoflavone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 저해 효과는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그리고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pund 3)은 각각 21.5 ± 0.2, 28.7 ± 0.4 그리고 32.6 ± 0.6 (IC50)을 나타낸 반면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약한 DPPH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Superoxide 소거 효과는 L-ascorbic acid에 비해 compound 1 (IC50 = 18.10 ± 0.2 μM)과 2 (IC50 = 10.54 ± 0.4 μM)가 보다 효과적인 반면 compound 3과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elan-a cells에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특히 Compound 1 (IC50 = 11.21 ± 0.2 μM), 2 (IC50 = 5.23 ± 0.6 μM)의 경우 compound 3과 daidzein에 비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멜라닌 생성을 50 % 억제할 때의 결과에서 이들 화합물은 각각 12.23 ± 0.7 μM (1), 7.83 ± 0.7 μM (2)과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7,3',4'-trihydroxyisoflavone은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