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수요는 최근까지도 늘어났지만 종자 상태에서 개화에 이르기까지 확률은 낮은 편으로 자생지에서의 개체수는 해마다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땅나리(Lilium callosum Siebold & Zucc.)와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in ex D.D.T. Moore)의 대량증식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자 발아에 유리한 주·야간 온도 조건과 적합한 GA3 농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땅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4일 강원도 춘천히 둔산면 원창리(37°47’10.00”N, 127°44’31.00”E), 섬말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일 울릉도 울릉군 북면 나리 (37°31’27.06”N, 130°52’25.08”E)에서 채종하였다. 땅나리와 섬 말나리 종자들을 주·야간 15/5, 20/10, 25/15, 20/20°C의 환경 조절상에서 처리구 당 3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여 온도 처리 실험을 진행한 후, 발아율 결과가 가장 우세했던 온도 조건의 환경조절상에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온도 처리 실험결과 땅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95.0%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10.1일로 가장 낮았다. 섬말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78.8%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40.1일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토대로 20/20°C에서 실시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은 증류수를 대조구로하여 200, 400, 800mg・L-1의 농도로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처리구 당 2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서 81.6%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는 200mg・L-1처리구에서 37.1일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주·야간 발아 최적 온도는 20/20°C이며 GA3 24 시간 처리는 섬말나리 종자 발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3.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21개월 동안 가까운 친구며 시인이자 예술가인 T. 스터지 무어와 매혹적인 서신 교환을 하며 철학 논쟁을 한다. 철학 서신을 통해 그는 초판 󰡔환상록󰡕의 바탕이 되는 인식론 및 존재론적인 토대를 재점검한다. 무어와의 논쟁이 이어지는 동안 예이츠는 지각된 대상이 존재하는 곳이 마음속인가 밖인가에 대해 명확하게 밝힐 것을 끊임없이 요구받는다. 그는 버클리를 참조하면서 존재하는 것은 지각된 것이며, 물질적인 것은 없으며, 오직 정신적인 사건과 그것을 지각하는 사고방식이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한다.
        5,200원
        4.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enus Culladia Moore [1886] (Lepidoptera, Crambinae) a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 with a species C. dentilinealis Hampson, 1919. The description, image of the adult, male, and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in this paper.
        3,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희귀수종인 가침박달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 및 선행 연구와의 차이를 파악하 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정보를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외부형태형 질과 토양 조건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가침박달 자생지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3.25-29.83%, 전질소함량 0.15-1.14%, 유효인산 3.0-156㎎/㎏, 치환성 K+ 0.39-1.49cmol+/㎏, 치환성 Ca2+ 2.48-38.07cmol+/㎏, 치환성 Mg2+ 0.77-18.29cmol+/㎏, 양이온치환용량 7.3-23.0cmol+/㎏으로 확인되었으며, 토양 pH는 4.6-7.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앞산 집단의 경우,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이 가장 높았고, 화서의 길이가 길고, 꽃의 수가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성 있게 차이를 나타냈다(P < 0.001). 또한, 집단의 유전적거리와 지리적 거리, 일부 외부형태형 질의 차이를 통해 이들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희귀 수종인 가침박달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서식지 내 보존을 위해 외부형태형질, 유전적 구조, 생육상태, 식생구조, 환경특성 등 다양한 데이터의 종합적 고찰이 필요하다.
        4,000원
        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Naranga aenescens adult were investigated at temperatures of 15.0, 17.5, 20.0, 22.5, 25.0, 27.5, 30.0, and 32.5°C. Adult longevity was influenced by temperature but there was no temperature effect of fecundity. Longe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t was highest at 15°C (22.2 ± 3.51 days) and lowest at 32.5°C (6.2 ± 0.32 days). Total fecundity was highest at 25°C (1693 eggs) and lowest at 15.0°C (1115 eggs). The oviposition period was longest at 20°C (8.8 ± 0.57 days) and shortest at 32.5°C (4.1 ± 0.21 days). The oviposi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o reproductive components (total fecundity and age-specific oviposition rate) and a survival component (age-specific survival 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was described by the Logan 6 model (r2=0.98, p<0.0001).The age-specific survival rate was explained by a exponential function (r2=0.98, p<0.00001). The age-specific cumulative oviposition rate was described by the two-parameter Weibull function (r2=0.95, p<0.00001). Temperature-dependent fecundity was estimated using the Briere-2 model (r2=0.91, p<0.0125). Daily egg production of N. aenescens in relation to adult age and temperature was estimated.
        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도로 가는 길』은 현대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에피퍼니라는 서술기법의 측면에서는 조명된 적이 없으며, 에피퍼니는 그동안 단지 제임스 조이스의 전유물로 간주되어 왔다. 『인도로 가는 길』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 중 하나인 동굴 장면에서 무어 부인은 동굴이 내는 메아리인 “부-움, 우-붐”이란 소리를 듣고 극단적인 회의주의에 빠지게 된다. “부-움, 우-붐”이라는 상징에 극단적 회의주의로 일관하는 무어 부인의 태도나, 이를 인간 간의 고립과 단절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기존의 비평이 모두, 상징의 간접성, 다의성, 그리고 모순성 내지는 이율 배반성을 간과하는 환원론적 태도는 아닌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인도로 가는 길』에 나타난 “부-움, 우-붐”이라는 동굴의 메아리를 에피퍼니로 읽어냄으로써, 인도와 영국의 제국주의의 문제, 통합과 분리의 문제 등에 얽혀 있는 개체의 중요성의 문제가 에피퍼니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5,800원
        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ice green caterpillar Naranga aenescens Moore (Lepidoptera: Noctuidae) is one of important destructive insect pests to Poaceae including rice and cor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eriods of N. aenescens egg, larva, pupa and total immature at eight constant temperatures of 15.0, 17.5, 20.0, 22.5, 25.0, 27.5, 30.0, and 32.5°C, respectively. N. aenescens developed successfully from egg to the adult stage at all temperatures tested except 15.0°C. Developmental rate of N. aenescen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15.0 to 30.0°C but declined at 32.5°C except pupa stage.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and thermal constant (K) was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Higher temperature threshold (TH) and lower temperature threshold (TL) were calculated by two nonlinear functions. LDT and K from egg to adult emergence were 12.01°C and 330.84DD. The temperature range of N. aenescens from TL to TH using performance model (24.03) was wider than that from SSI model (19.77). Developmental completion of N. aenescens was described using a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The adult emergence frequency of N. aenescens over full range of constant temperatures was simulated using developmental rate functions and Weibull function.
        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Zena hawk moth(Langia zenzeroides)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insect pest feeding on Rosaceae fruits(Prunus persica Batsch, Prunus salicina Linnaeus) in Korea because of gregarious die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iology and the temperature effect on adult emergence of overwintering L. zenzeroides pupae at five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 20, 25, 27.5 and 30°C) with photoperiod 10:14(L:D) and relative humidity 60%.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s of L. zenzeroides were 9.7°C. Developmental period of overwintering pupae to adult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15 to 30°C. Mortality of five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 20, 25, 27.5 and 30°C) was 4, 8, 20, 8 and 48%. Especially mortality of constant temperature 30°C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and survival rate of 15°C was the highest. Thermal constants of L. zeroenzides were 109.5D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was fitted by linear and one nonlinear developmental rate models (Lactin 1). The development variation of overwintering pupae was described by the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We investigated development period in the study site by using 70 eggs. From egg to pupa period was 84.9±0.4.
        1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범지구적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와 이로 인한 서식처의 환경변화는 고위도 지방의 식물이나 고산식물의 생존에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산맥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인 한계령풀 10개 집단에 대해 서식지와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계령풀은 고도 940m~1,350m 의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이는 온도기후적으로 온량지수 (WI) 53℃·month~WI 75℃·month에 해당하여 냉온대북부림대에 속한다. 이 종은 5˚~23˚ 경사의 북동사면에 주로 출현하였다. 한계령풀 분포지의 교목층은 신갈나무, 거제수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가 우점 하였으며, 관목층에는 고추나무, 물참대, 국수나무 등이 우점 하였다. 한계령풀 집단의 초본층 종다양도(Shannon's Index)는 0.21에서 0.98이며 각 집단에서 한계령풀의 중요치는 개화기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서식지의 특성에 대한 본 연구는 한계령풀의 보전과 복원 전략의 수립 결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2.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멧누에는 실내에서의 대량사육이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부화에서부터 100%가까운 다습상태와 전후의 고온사육조건에서 간단히 사육할 수 있었다. 실내사육결과 전령경과일수는 15~25일의 범위이며 대부분의 유충은 17일 전후이었다. 용화비율은 약40%이며 용기간은 암수모두 13~25일 사이였다. 또한 암수모두 2개의 우화최고점을 가지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2~3일정도 빨리 우화하였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