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을 적용하여 GFRP 보강근의 콘크리트 휨 및 인발 부착성능을 분석하였다. 부착길이 변화에 대하여 철근 또는 GFRP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하중-변위 곡선을 도출하였다. 또한, 두 타입의 근에 대하여 인발 실험 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실험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은 결과는 GFRP 보강근이 철근을 대체하는 휨 및 인발 부착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4,0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철근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복합재료 기반의 철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CFRP 그리드도 개발되어 구조부재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CFRP 그리드의 부착 특성과 응력을 연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실험은 CFRP 그리드의 부착거동, 부착응력을 평가하고 정착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정착길이를 가진 인발실험체를 제작한 후 인발하였으며 실험 결과 부착력의 경우 정착길이가 길어질수록 커지며 반대로 부착응력은 정착길이가 길어질수록 작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FRP 보강근도 같은 경향을 보이지만 CFRP 그리드와 FRP 보강근의 차이점은 부착응력의 추세선의 경향에서 두드러지며 또한, 최대 부착력 이후 거동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위 실험 결과를 토대로 CFRP 그리드의 정착길 이를 산정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CFRP 그리드의 보수적인 정착길이는 250mm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신/구 구조체의 접합에 사용되는 부착식 후시공 앵커에 대한 시공성 및 인장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기초판에서 부착식 후시공 앵커에 대한 인발실험을 수행하였다. 후시공 앵커는 리모델링 설계에 주로 사용되는 SD500 이형철근으로 3종류의 직경과 매입깊이를 변수로 직접 인발성능을 검증하였다. 부착식 후시공 앵커의 현장 인발실험결과, 모든 철근직경에서 현행 기준에서 제시하는 부착식 앵커의 설계 묻힘깊이 이하에서 철근 인장파괴가 발생하였다.
        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발전소 내 비구조요소인 전기설비들이 전도등으로 인한 손상으로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어 비구조요소의 고정부에 대한 내진성능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구조요소의 고정부로 사용되는 후설치 앵커볼트 M10 사이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균열 발생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인위적인 균열을 발생시켜 동적인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ACI 355.2에 근거하여 정적인발성능 실험을 통해 구한 평균 최대하중의 50% 하중 10회, 37.5% 하중 30회, 25% 하중 100회 반복가력 후 정적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design of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llout performance of an cast-in-place anchor. Then,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plann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size of the specimen was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depth of the anchor. The test specimens were checked for bending cracks according to design standards.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nal test pla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that the crack occurred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Therefore, the ultimate specimen which cone fracture of concrete was induced by modeling by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on the outside of specimen was planned.
        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0년대에 여러 연구자가 시제품 시험장비를 가지고 인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인발시험은 콘크리트 강도를 결정하는 신뢰할 만 한 비파괴검사 방법(NDT)으로 입증되었다. 우리는 고강도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직경 10 mm볼트에 홈이 파인 파단형 인발 볼트 와 인발너트, 그리고 로드셀이 필요 없는 오일 유압펌프를 포함한 간이 인발시험법을 제안하였다. 저비용, 간편성 및 편의성을 갖는 간이인발 시험의 이점을 검증하기 위하여, 30 MPa 및 50 MPa 급 두가지 유형의 콘크리트로 제작된 4개의 모의벽체를 대상으로 로드셀을 장착한 간이인 발시험을 사용하여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하중과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재령 7일까지는 매일, 그리고 14일, 21일, 28일에 측정되었다. 시 험결과 인발하중과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인발하중이 현장에서 구조물의 고강도 콘크리트 강도 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단형 인발볼트 직경과 콘크리트 강도와의 관계식으로 y=0.05x+3.79(x=콘크리트 압축강도, y=파단형 인발볼트 직경)이 도출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88로 나타났다.
        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developed the fiber pullout impact test machine to investigate interfacial bond strength between fiber and cement based matrix under high velocity. To achieve the goal, firstly the existing pullout test machin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se drawback were comprehended. Finally, Fiber pullout impact test machine base on strain energy frame impact machine was proposed.
        1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developed the fiber pullout impact test machine to investigate interfacial bond strength between fiber and cement based matrix under high velocity. To achieve the goal, firstly the existing pullout test machin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se drawback were comprehended. Finally, Fiber pullout impact test machine base on strain energy frame impact machine was proposed.
        1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ing the bond characteristic of steel bars (D13, D16) on fluidity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marble powder under tensile load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verage bond strengths of D13 series specimens and D13 series specimens were 18.00MPa and 15.67MPa respectively, and that specimen with the larger diameter of rebar that adhesion strength had the lower bond strength.
        1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dified pullout tester using a post-installable break-off bolt is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the this research, a test was conducted on normal concrete(24MPa)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pullout load.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pullout load is very obvious and the modified pullout tester is a useful method to evaluate concrete strength.
        1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S) on the pullout resistance of smooth steel fibers embedded in GGBS cement grouts. 40% of cement in the grouts was replaced with GGBS to enhance the flowability and durability of grouts containing steel fibers. The pullout resistance of steel fibers embedded in grouts showed continuous enhancement as the age of grouts increased. The pullout resistance of GGBS grouts was higher than that of grouts without GGBS.
        1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지압식 앵커는 사면보강공사 또는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를 위한 영구앵커에 관한 공법으로써 사면보강 또는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를 위해 지반을 천공한 후 영구앵커를 설치시 기존기술은 통상 천공홀 내에 시멘트 그라우팅을 PS강연선 주변에 주입 및 양생 후 PS강연선 긴장시 천공홀 주변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해 설계 앵커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 이중쐐기형태의 내부 앵커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외주면 앵커체를 확장시켜 정착지반의 천공벽면에 지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써, 외주면 앵커체가 인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압력에 의해 설계앵커력이 유지되는 방식이다. 본 연구 수행결과 설계 앵커력도 공시체 균열 진전 상태와 공시체 해체 후 외주면 앵커체가 균등하게 확장되어 지압력이 발휘되므로 기존 기술인 인장마찰식 영구앵커의 단점인 진행성 파괴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지압력 발생 양상이 FEM해석 결과와도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압식 영구 앵커는 사면붕괴시 신속한 사면의 급속복구, 급경사지 재해예방, 기존 옹벽의 변위 발생시 복구, 지중구조물의 부상방지 등의 분야에서 공기단축, 시공성, 경제성, 구조적 안전성등이 확보된 기술이므로 재해복구, 재해예방을 위한 기술 분야에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 생각된다.
        1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llout test is perhaps the most reliable technique to estimate the in situ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 this study, a new pullou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high strength concrete through a wall specimen and concrete compressive cylinders. It found that the correlation curv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versus pullout force, is linear and useful to predict concrete strength.
        1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ullout behavior of high strength polypropylene fiber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rictional bond between polypropylene fiber and cement matrix of water to binder ratio 0.23 is 0.2 MPa
        17.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토목구조물의 보수. 보강 및 리모델링시 구조부재를 부착시키거나 고정하는데 있어서 시공의 유연성 및 용이성으로 후설치 앵커의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설계자와 시공자가 신뢰할 수 있는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는 상태로서 외국의 설계기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근콘크리트에 매입된 앵커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앵커의 다양한 파괴모드는 콘크리트 파괴, 쪼갬파괴, 강재파괴, 뽑힘파괴 및 측면파괴가 발생한다. 이것은 강재의 인장 강도, 콘크리트 강도, 매입 깊이, 앵커 간격, 연단거리와 인접 앵커의존재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매입깊이, 앵커간격 및 연단거리를 변수로 한 후설치 콘크리트 세트앵커의 인발파괴실험을 통하여무근콘크리트에 매입된 후설치 세트앵커의 인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8.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installed anchor is installed in non-cracked concrete after corrosion to investigate pullout strength of the anchor. Pullout test was conducted diameter, insertion depth of the anchor of a couple of variables. If it receive pullout load, performance of corroded anchor is degraded by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anchor body.
        1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installed set anchors refer to the anchors are installed after the concrete hardened. The anchor in plain concrete loaded in tensile exhibits various failure modes such as concrete breakout, splitting, steel failure, pull-out and side-face blowout, that depending o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of concrete, embedment depth, interval, the edge distance and sleeve length, etc. In this study,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ations like anchor embedment depth, anchor interval, edge distance, sleeve length and concrete strength on pullout behavior of post-installed concrete set anchor embedded in plain concrete. Regardless of concrete strength, embedment depth that less than 6 times appeared concrete failure mode. For 18MPa and 24MPa concrete strength has no much affection on anchor interval that more than 1 times of embedment depth. Edge distance that more than 1 time of embedment depth also has no much affection.
        2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use of post-installed anchors has been increasing because this constructing method is flexible and easy to attach or fix structural members when we repair, reinforce, or remodel structures. In this study,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ations like sleeve length, sleeve hitting power, embedment depth, anchor interval, edge distance and strength of concrete on adhesive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s embedded in plain concrete through drawing experiments of set anchor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