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극지 소양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구현하는 교사들이 지닌 극지 인식과 교수 경험, 극지 관련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조사했다. 대도시 및 중소 도시 10개교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극지 관련 인식, 교수 현황, 극지 지식, 극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 신념 및 태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교사들은 극지 정보에 대한 효능감은 낮은 편이나, 극지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교육자의 위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계 시민적 가치를 실용적 목적보다 우선했다. 학교에서 극지와 기후 변화 문제를 교수한 경험은 교과와 비교과에 걸쳐 다양했지만, 완성된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받기 원하는 등 교수 개발에 있어 수동적인 면모를 보였다. 인지적 측면에서 교사들은 극지 변화와 기후가 영향을 주고받는 작동 원리와 과정에 대해 다소 모호한 이해를 드러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대부분 교사들은 학교급을 초월해서 극지 관련 문제에 대한 신념과 태도에서 높은 경향이 나타났지만, 행동 선택은 근소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회 및 자료 제공, 가치 및 태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맥락의 교육 소재 발굴, 극지 연구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 개발, 학생과 교사를 포함한 극지 지식에 대한 오개념 파악, 초등 교사의 극지 소양 강화, 정의적 태도와 가치관 함양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5,2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목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 다문화교육 실천 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시대에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알고, 다름을 존중하는 학생 문화 만들기”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나 중등학교 교사들은 ‘인권’, ‘나눔’, ‘봉사’, ‘협동’ 등을 강조하며 학생들이 상황을 인지하고 아는 것을 넘어 실천하는 것을 중심으로 목표를 세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학생’들도 교실에 있는 다른 학생들처럼 그냥 한 명의 개인이며, 한 명의 학생일 뿐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다문화가정 학생이기 때문에 다른 것이 아니라 학생들 각자가 가진 “아이들의 성향”, “개인의 특성” 때문에 다른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들을 다문화가정 학생이기 때문에 낙인찍고 구별 짓는 행위와 인식은 없어져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을 위해 자신이 할 역할은 심리상담사, 문화중재자, 소통 촉진자, 프로그램 기획실행가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즉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과 교사들 개개인의 자기계발을 위한 적극적 배움공동체 시스템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5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Korean secondary-school English teachers and how they perceive these competencies in terms of importance, applicability, and teachers’ competency level ahead of implement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fter the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expert review processes, five core competencies were extracted: curriculum and content reorganization competency;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innovative assessment competency; multicultural (inter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ICT use. From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93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competency level was lower than required, but it was higher than applicability. Overall, teachers felt insecure about how to apply the required competencies to their lesson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self-rating result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wa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7,000원
        5.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좋은 수업에 대한 기준은 수업의 주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등 교사를 대상으 로 이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란 무엇이며,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수업컨설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은 무엇인가, 둘째, 현장 교사가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을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셋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넷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개선 방향 은 무엇인가 등 넷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하였는데,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에 근무하고 있는 수업컨설팅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수업컨설팅 경험이 없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교내·외에서 수업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수석교사 2명 등 총 6명 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학생과 교사가 좋은 관계로 소통하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수업, 학습자의 수준이 반영된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이들은 수업컨설팅이 수업장학에 비해 부담감이 적고, 수업에 대한 평가보다 수업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업 컨설턴트가 상대적으로 권위적이지 않고, 참여과정에서 행정적 부담이 적다고 생각하였다.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사들은 이 과정을 통해 수업의 철학과 방법의 변화를 경험 하는 긍정적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수업컨설팅의 한계로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감, 비자발적인 컨설팅 참여, 컨설턴트의 역량부족, 단발성 컨설팅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강화, 교사의 실제적인 행정업무 감소,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수업컨설팅 등을 제안하였다.
        5,700원
        6.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 crucial facto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at it affects their dedication and participation. Whil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has been sparsely explored. Thus, this study investiaged both general an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m. A total of 117 second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measures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seven factors: relationship with people, job duties, work environment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nsations, administration systems, and recognit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a mod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general and subjet-related jobs. Yet,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eneral job satisfaction. They were particularly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y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they receive as a teacher as well as an English teacher. In contras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compensations and workloads in gene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eaching English. Finally, their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position, and marriag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enhan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made.
        5,800원
        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which classes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n the education field, view as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ponse, conceptualize the concrete realities and apply them to the actual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goal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f 190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742 secondary school students of Seoul Metropolis who were chosen through random sampling. The survey was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after which it was tested with regard to credibility and validity before us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values that should be pursued in ‘good PE class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tated that relationship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with 'transmission' and 'product' viewed as least important on the part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with regard to the factors hindering ‘good PE classes,’ both groups chose the education policy as the main obstacle, with teachers selecting the available facilities and environment as the second greatest factor, and students in turn choos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the subcomponent factor, it was found that students viewed meaningful and interesting class contents as important, whereas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t was important to lay down definite goals and contents. With regard to the teaching method, teachers viewed methods that provoke student interest and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student aptitude and ability highly, while students viewed interesting classes as ‘good PE classes.’ Both groups felt that active interaction and an atmosphere of mutual respect were important to the class ambience and environment. Although there was a relatively low response rate with regard to the general view on evaluation,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n order to get a thorough evaluation on ‘good PE classes’ there needed to be an assessment on student attitude and emotion in addition to athletic capability, whereas students felt that a reliable, impartial, and objective assessment was the best way to evaluate good PE classes. Thus, based on the research above, we can define ‘good PE classes’ as classes whe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contents can be delivered to students through various, interesting mean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interact actively, and where not only athletic capabilities, but attitudes and emotions can also be evaluated in an impartial and credible way.
        4,800원
        8.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in-service teaching certificate system, the TEE Certificate system, was launched for Korean teachers of English with the aim of encouraging them to use English in their daily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key issues regarding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TEE Certificate system and addresses the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TEE policy in Korea. It employs document analysi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lmology and to key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5 supervisors, 11 teachers and 2 TEE Certificate examine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gap regarding the aims of the TEE Certificate system among stakeholders, leading to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 it. Those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ystem see it as a tool for encouraging Korean teachers of English to develop their English language teaching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ve negative attitudes see the negative aspects such as another type of burden on teachers and even the possibility of a form of lay-off. The new strategies of how to use the system are required to make it play a proper role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an English-fi'iendly learning environment and suppor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6,000원
        10.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예비 교사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9개 그래프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된 1개의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구과학 그래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2개의 설문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선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높은 반면, 중복 그래프와 방향성 변화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래프 해석 능력이 그래프의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모두 학년에 따른 해석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 비해 예비교사가 동일한 주제의 서로 다른 표현 방법의 그래프 차이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는 지구과학 그래프가 타 과학 교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그래프 유형은 방향성 변화 그래프, 분산 그래프, 등치선도, 영역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그래프 지도 방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4,600원
        1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eacher-learners' perception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 roles. Seventy English teacher-learners' responses to a teacher role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s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teacher-learners' perception of the teacher roles in classroom teaching, around school, and outside school in the professional communiti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learners perceive their future teacher roles as communication facilitating, and at the same time knowledge transmitting. The teacher-learners seek teacher roles of much control over the classroom, be it communication pursuing or knowledge transmitting, believing in teacher authority and being self-conscious over their English proficiency. In addition, the teacher-learners reveal keen interest in roles in the professional field beyond the confines of school. The study stresses as its conclusion that while positively influenced by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principles. The teacher-learners have notable reservations about the student-centered English classroom. Suggestions are made in the areas of secondary English education including teacher support systems, and English teacher education.
        6,300원
        1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monstrates the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into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writing instruction. The research employs in-depth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teachers to identify: (a) teachers’ practices of wri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 (b) teachers’ perceptions of writing instruction; (c) teachers’ evaluation of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d) teachers’ concerns or problems in teaching of writ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practices, percep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curriculum provides writing goals that are too high for students; teachers cannot help focusing on low-level features of writing mainly due to students’ poor writing ability; and teachers and students do not have an urgent necessity to teach and learn writing, since writing is not tested in the CSAT.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room.
        6,700원
        14.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preparations applicants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P.E. teacher employment made for that, how much they received relevant private education and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that nationa
        6,600원
        15.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aysian secondary school teachers' readiness to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considered a critical skill in terms of national goals for schools that will prepare students to compete in the knowledge economy of the 21st century. The study investigated 303 teachers' ICT readiness in terms of their basic ICT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wards ICT. Data were collected via the Teachers' ICT Readiness instrument which consisted of an ICT knowledge test, an ICT skills test, and attitude towards ICT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had a moderate level of basic ICT knowledge and skills. A majority of the teachers too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CT.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focus on the need to capitalize on the positive attitudes to turn these into action, increasing readiness to use ICT.
        4,000원
        1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개념 이해 정도와 원인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고등학교 과학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현행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시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단순히 지구의 나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세한 측정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50% 이상의 교사들은 지사학의 5대 법칙을 동일 과정설, 지층 누중의 법칙, 생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 관계 그리고 관입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구의 나이, 가장 오래된 암석의 연령, 지질 시대의 정의 및 기간, 지구의 나이 측정 방법 그리고 지사학의 법칙 등과 같은 지질 시대 관련 내용은 상당 부분이 올바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유형도 다양하다. 설문에 응답한 상당수의 교사들은 지질 시대에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이해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된 내용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 시대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필요하다.
        5,100원
        1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 수준의 탐구 학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탐구 학습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교육과학연구원의 실험 연수에 참여한 서울지역 중 ·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탐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열린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고, 대학 입시 제도,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부족, 학생들의 의지 부족, 교사들의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탐구 학습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8.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지구과학 전공 교들이 몇 가지 지구과학 개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해유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개념은 저기압에서의 바람, 해류의 서안강화, 편서풍 파동, 온실효과, 오존층 그리고 대기압이며 중·고등학교 지구과학 전공교사 26명이다. 조사의 결과는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이들 개념을 학습지도할 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의 객관적 자료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구과학 전공교사들도 이 연구에서 선정된 몇 가지 개념에 대하여 학생의 학습지도에 부족한 여러 가지 이해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유형 중에는 오개념들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았다. 교사들은 저기압에서의 바람에 대하여 경도풍과 관련된 이해유형을, 서안강화에 대해서는 지구자전과 관련된 오개념을, 편서풍 파동에 대해서는 각운동량 보존과 관련된 오개념을, 온실효과에 대해서는 주된 온실기체와 관련된 오개념을, 오존층에 대해서는 지표부근의 오존기체 생성과 관련된 오개넘을, 그리고 대기압에 대해서는 대기압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과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견된 교사의 여러 가지 이해유형은 지구과학개념의 힉습지도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19.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지구 환경에 대한 환경 인식, 지구 환경의 하위 영역에 따른 환경 인식, 그리고 전공에 따른 환경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장과 기술의 부정적 결과', '인류와 자연의 관계', '삶의 질', '생물권의 한계'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 중등 교사들은 생태학적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전공에 따라서도 유사한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 관련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