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vertisement allows for multimodal access to sounds, colors, picture animations, and diverse symbols. Little research has reporte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ultimodality, discursive practice, and media effects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multimod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on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EIC) in TV advertisements and to explore the uniqu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multimodality in three TV Ads (A, B, C) was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Halliday's systemic functional grammar, social semiotics’ visual grammar, and typography’s distinctive features. Royce’s intersemiotic complementarity was also employed as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collected multimodal data from three domains (representational, interpersonal, and textual/compositional) of meaning-making schemes. It was found that different modes (language, typography, visual image) acted complementarily and efficiently to deliver the message of TOEIC: problem-solving ‘skill’ in A, financial 'support and return’ in B, and ‘AI database’ in C. Further research is also discussed, especially with regard to ‘critical’ approaches to multimodal discourse studies.
        6,1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hn, Hyeryeong. 2014. Linguistic anomalies in the use of English in Korean TV commercial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e deviant uses of English currently widespread in Korean TV commercials.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use of English in TV commercials deviates from the norm shar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Korean TV commercials that are considered to contain error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pragmatic deviations. In addition, an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among two different language groups―Korean domestic view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in order to compare their perceptions of the seriousness of the deviations. Eighty-six Koreans and ten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ating individual English copy in terms of its acceptability, intelligibility, and impact. The native speakers were also interviewed for supplementary information about their reaction to the ads.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native speakers were much more sensitive to the grammatical and pragmatic errors in the copy. Creative constructions lacking linguistic acceptability were found to hamper understanding and failed to impress either domestic viewers or native English speakers, suggesting that reckless use of English in TV commercials should be reconsidered.
        6,4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Eun-ha. 2013. Socio-linguistic study on women's cosmetics' brand names in television advertisem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perspective and social aspect of women's cosmetics' nam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names of women's cosmetics in TV advertisements from January 2008 to May 2012.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unding structure of women's cosmetics' names on the basis of four determinants company name, brand name, product name, and the type of cosmetics. It also classifies brand names of women's cosmetics as Korean, Sino-Korean,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Results show that brand names and compound words with brand name & product name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08-2009, while multi-syllable names such as brand name/company name+product name+types of cosmetic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10-2012. Moreover, there is a strong preference for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French) names in women's cosmetics. Four aspects can be found in the social aspect of women's cosmetics' names. In order of frequency of occurrence, “use of medicinal herbs or food”, ranks the highest, followed by “combination of science and medicine” and “emphasis on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as the second and third most frequent in social aspect. Finally, “identification of object of envy” reflects that Korean women wish to be promoted to a higher status and to be seen as beautiful and assertive. In this study, attempts are made to generaliz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cosmetics' names in television advertisem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from linguistic and social perspectives.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guiding principles related to women's cosmetics' names and provide an insight into future research. (255 words)
        5,8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ttitudes depicted in TV cosmetic ad texts for women and men. It will also probe the way women and men are identified in these ads. Based on 112 women's, and 56 of men's ad texts, we examine their sentence patterns, persuading strategies, high frequency words, and red flag expressions. Interrogative forms were preferred in women's ads, probably to reinforce solidarity, while imperative forms were preferred in men's ads, suggesting men prefer forceful approach. Women's ads used far more honorific forms revealing typical character of women's language. In persuading strategies, [explanation of the products] were mainly adopted in women's ads, while [women's recognition] was highly valued in men. For frequency words, it was ‘skin'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women's ads, while it was ‘man' in men's ads. In both women's and men's, foreign words were alarmingly adopted in red flag expressions. Exaggeration, deception, and provocation were used much more in women's ads than men'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women's ads emphasize explanation of the products' function or effect. In men's ads, a vulgarism marked the most, which might have been adopt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between men.
        7,8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den, Steenkamp and Batra(1999)의 7개국에 걸친 연구에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이 광고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실제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포지셔닝 전략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 전략이 제품평가(지각된 품질, 가격, 브랜드 명성)와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정(+)의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제품지식 그리고 제품특성(내구재 대 비내구재)이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효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민족 중심주의가 약한 소비자일수록, 제품 지식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그리고 비내구재보다 내구재에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효과가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6,600원
        6.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Advertisement affects the daily consumption life of consumers because of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advertisement. In particular, and so does the TV advertisement. Therefore, customer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consumers so that they can lead a rational consum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quality.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any new-born distribution channels, the recent market environment in apparel industry is changing, and the service and image of store types consumers can choose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basic data which can help consumers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conduct rational consum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Also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communicate, feels of consumers about store image, TV advertisement quality of what is the attitude of the relative influence presents.
        4,300원
        7.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Advertisement affects the daily consumption life of consumers because of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advertisement. In particular, and so does the TV advertisement. Therefore, customer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consumers so that they can lead a rational consum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qua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basic data which can help consumers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conduct rational consump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Also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communicate, demographic background, TV advertisement quality of what is the attitude of the relative influence presents.
        4,200원
        8.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2년 기준 국내 사망률 중 흡연 관련 질환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등 국민의 건강과 신체적 피해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금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강도 높은 금연 캠페인, 비흡연 구역 확대, 공포나 위협소구를 이용한 금연공익광고 등 다양한 금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영상미디어를 통한 금연 주제 TV공익광고는 감성적 소구에서 위협적 소구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수용자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공익성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주제 TV공익광 고는 일반 상품광고와는 달리 공공의 이익이나 사회문화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금연 주제 TV공익광고는 담화나 표층에서 표출되는 메시지와 심층에 존재하는 의미가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추출하여 궁극 적인 금연 주제 TV공익광고의 의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고는 환경에 적응적 일 때 그 효과도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 가운데 소비자에게 가장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바로 그들의 문화, 즉 정서이다. 한국적 정서는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포하는 응축된 심정의 표현으로 광고에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하여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광고 캠페인을 분석하여 그 안에 내재된 광고의 메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를 연구하고, 연구를 통해 경제적 요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情)과 문화적 요소에서 유교사상에 나타난 효(孝)를 도출하여 한국적 정서가 표현된 TV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과 범위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 캠페인의 ‘선생님 편’과 ‘삼촌 편’이며, 경동나비엔 효 시리즈의 ‘소 편’과 ‘연탄갈기 편’ TV광고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캠페인 광고는 소박하고 인정스런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에 ‘정(情)’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 소비자들이 서로 마음을 위로하는 매개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정(情)을 강조하고 정(情)이라는 한국성을 담았기 때문에 광고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경동나비엔 보일러 ‘효(孝)’ 시리즈 광고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 그리고 ‘차가운 마음’이라는 두 명제에 속하는 처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며 많은 이들로부터 효심이라는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한국적 정서 중 ‘효(孝)’를 광고 전략으로 삼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상품을 인지시키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다시 한 번 한국적 정서를 일깨운 광고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정(情)과 효(孝)에 나타난 광고는 변화해가는 사회, 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한국적 전통문화와 정서를 유지시켜 주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동시에 사회적기여 측면에서 문화 창조로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광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TV채널수는 2015년을 기준으로 지상파TV와 케이블TV를 모두 합하여 450개를 넘어섰다. 이외에도 인터넷과 다양한 모바일용 광고 등의 발전으로 광고 매체는 나날이 늘어나 시청률은 떨어지고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반응이 무뎌지고 있다. 이처럼 전반적인 광고효과의 하락으로 인해 오늘날 올바른 TV광고의 전략의 수립과 집행은 그 중요도를 더해가고 있다. 본 논문은 2015년 지상파 TV광고를 중심으로 현대 광고에서 유효하게 활용되는 주요 광고전략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USP 전략광고와 브랜드이미지 전략광고가 각각 약 32%씩으로 타 전략에 비해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만 오늘날 기술이 상향평준화되면서 전반적인 USP 전략광고의 특성이 많이 무뎌 졌으며 브랜드이미지 전략광고도 마찬가지로 광고를 바라보는 소비자의 변화된 자세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품목에 따라 취하는 광고전략이 꼭 정해진 것은 아니었지만 품목의 특성에 따라 선호되는 광고전략의 차이는 있었으며 ‘식품’과 같은 저관여 상품일수록 총 광고 횟수에 비해 단기 전략이 많이 사용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광고의 전략과 모델의 다양성의 측면에서 아쉬웠으며 단순한 단기 전략광고 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포지셔닝 전략으로의 변화가 좀 더 요구된다.
        1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고의 범람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광고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자극적인 시각요소나 감동을 주는 스토리가 없다면 어느새 사장되고 마는 실정에 이르렀다. 그만큼 소비자의 트렌드는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시장은 기민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광고에 표현되는 기법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제품의 기능과 특징만을 부각 시키는 정보전달 위주의 광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TV에 방영되는 CF의 경우 시간상 제약으로 인 해 임팩트 있는 요소를 짧은 시간 안에 표현해야 효과가 있는 만큼 아이디어 개발은 마치 전쟁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광고기법은 소비자의 감성과 심리적 요소를 아우르는 것으로 제품의 객관적 요소뿐 아니라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판매량 1위 주류인 맥주광고 중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호응을 얻고 있는 HITE 맥주의 TV광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이 맥주광고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패러디한 광고중에서 영상문화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TV광고(CF : Commercial Film)로 한정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TV광고 중심의 논문과 참고자료를 활용하였다. TV광고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패러디광고의 전체개념으로 확대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논문의 연구 목적은 패러디의 개념과 유형의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중심으로 TV광고에서 패러디가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 그 표현 형태를 알아보고 광고가 패러디로서의 의의를 갖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을 텍스트성 조건을 바탕으로 점검해 보며, 이에 따른 효과적인 패러디광고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