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와 유아의 교사유아상호 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놀이 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유아상호작용, 사회적유능감 모두 유아의 놀이 단절 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 및 문해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 력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유능감 하위 요인 중, 자기통제가 놀이 단절에 가 장 강력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유아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 유아유아상호작용이 놀이단절에 가장 강력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 구를 통해 유아의 놀이 단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 성을 증진시켜줌과 동시에 교사가 유아와 양질의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놀이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을 알아보고 놀이 단절을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 데 있다.
        6,700원
        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능력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를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만 3세부터 만5세 유아 501명과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능력 사이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교사·유아관계를 경유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이때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자아 존중감으로 조절될 때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동시에 규명 하였다는데 있다.
        7,800원
        3.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explore how English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ld be envisioned in different ways if one were to adopt a ‘social’ approach toward English language education. More specifically, drawing on our experience, which we gathered as Korean faculty members of two Canadian universities, with the help of reflexive inquiry, w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ritical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language teachers. Focusing on a small-scale case study of Korean teacher candidates who participated in a short-term community-based service learning in Canada, our analysis examines how to train English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so they can better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their students. We argue that a critical understanding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English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increasingly diverse EFL classrooms across South Kore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ransnationalism, and multilingual/ multiculturalism.
        6,000원
        4.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onesia is facing a serious problem in education. The problem is reflected in the form of low learning outcomes as shown by low PISA and TIMMS scores compared to other students of PISA and TIMMS participating countries.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have correlation with the low quality of teachers. The Teachers and Lectures Law No. 14 Year 2005 requires teachers to be competent by mastering the four teacher competencies, i.e. pedagogical competency, personal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and professional competency. However, only a few are regarded as competent. Since the quality of teach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Indonesian government held a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Indonesia by improving teacher quality, accompanied by the provision of a professional allowance equivalent to one month’s base wage. By 2015 all teachers have been certified and only certified teachers are allowed to teach in Indonesia.
        4,000원
        5.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major education process flaws in the Lembaga Pendidikan Tenaga Kependidikan (LPTK) 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Indonesia is portray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engalaman Lapangan (PPL) or Apprentice Program that has not optimally developed candidate’s proficiency to be competent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struc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actical teaching that can improve pedagogical competence as the ultimate goal to be achieved by future teacher candidate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ducting their PPL in Indonesi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Lampung Univer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95% (α = 0,05), the model produced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called theModel Pembelajaran Praktik Mengajar Reflektif (MP2MR) was verified to help improve students competence based on the following benefits,(a)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designs focused on standardized achievements (b) individual and contextual implementation of problem-solving base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 priority to intrinsic evaluation.
        4,300원
        6.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생지도성,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학습컨설팅 역량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초등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세 변인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세 변인들로 이루어진 모형이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측정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학생지도성은 학습컨설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학습컨설팅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전문성 및 학생에 대한 이해와 같은 학생지도성을 강화해야 하며, 교사-학생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대한 신념이 높아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7.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을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고,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을 독립변수로,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은 통일교육역량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일교육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대로 살펴본 결과, 민족 정체성의 ‘객관적 특성’, 민주시민자질의 ‘참여와 책임의식’, 다문화신념의 ‘다문화 연계의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이 통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유아통일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목적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불어 유아교사들의 통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 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8.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중학교 교사 23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학교조직문화요인들 중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적합한 모형이었다. 그러나 수직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만 다문화교수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문화간감수성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중학교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반영한 수평적인 개인주의 또는 집단주의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대해 논의하였다.
        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그에 대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영역과 18개 역량군의 유치원 초임교사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직무역량과 지 원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최우선순위 직 무역량은 생활지도의 부적응지도, 생활지도의 생활습관지도, 교육과정운영의 교수활동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요구가 높게 나타난 지원 사항은 양성과정에서의 실무연수 강화, 멘 토링, 입직 후 직무안내 및 교육, 교육활동을 위한 시간적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 하여 직무역량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직무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유치원 초임교사의 효과적인 입직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입직교육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원 인력배치, 교 사경력단계별 적정학급규모, 근무시간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높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인 권보장에 대한 법리적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1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교육 실천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문화 교육 하위 역량 중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다문화 관련지식, 다문화 교육기술 순으로 다문화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다문화 연수경험, 교육경력, 학력,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자율적인 장학협의체, 특수학교 사정에 맞는 연수프로그램,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교과목 개설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실천가인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11.
        2013.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와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며, 교사-유아 관계의 각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63명이었다. 그 결과, 첫째, 교사가 교사-유아 관계에 대하여 비교적 원만하고, 긍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 구성요인 정서 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모두에서 갈등 수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구성요인 정서 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모두에서 친밀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 구성요인 정서성,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의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육에 대한 태도와 성취정서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노력/지속성 및 유능감 지각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 성별 간 경로 동일성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849명(남학생 420명, 여학생 429명)이며, 구조방정식모델과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의 결과 체육에 대한 정서적 태도가 근접성과 긍정적 정서와의 관계를, 인지적 태도가 근접성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를, 긍정적 정서는 각각 근접성과 노력/지속성 및 유능감 지각과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체육에 대한인지적 태도는 영향력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긍정적 정서는 각각 정서적 태도와 노력/지속성 및 유능감 지각과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태도와 노력/지속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는 인지적 태도와 유능감 지각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성별간의 경로 동일성은 가정되었지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 정서가 과제수행을 위한 노력과 지속에더 강한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유능감 지각에 더 강한 영향을 주었다. 이 결과는 체육시간에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중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정서, 성취행동, 그리고 유능감 발달에 기여하는 주요 결정인자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