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을 중심으로 그를 북인(北人)계열 詩脈(시 맥)의 연원이자 학문적⋅문학적 측면에서 지식권력 즉 영향력을 지녔다고 상 정한 뒤 그의 시문학을 분석한 연구이다. 아울러 화담의 시세계를 분석하면 서, 그 안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을 북인계열 문인들의 시세계와 연계하여 해석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글에서 상정한 연구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대 별 가능한데, 첫 번째는 화담의 시문학을 통해 그가 지닌 지식권력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며, 두 번째는 화담 서경덕을 통해 북인계열 문인들의 학 문적 근원을 검토하기 위한 단서를 얻고자 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화담의 영 향력은 동시대 그리고 동일 문인집단을 넘어서서 이후 시기인 16~18세기에 활동한 북인계열 문인들에게까지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진 바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화담의 실질적인 작품 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화담이 라는 문인을 통해 북인계열 시문학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이 에 2장에서는 화담과 북인계열 문인들의 접점을 찾기 위한 시도를 진행하였 는데, 특히 화담과 그의 제자들, 그리고 북인계열 문인들 간의 학문적⋅문학 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화담의 시문 학에서 나타나는 ‘도술(道術)’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의 접점 양상, 그리고 ‘역경(易經)’과 ‘상수역학(象數易學)’에 대한 논의를 다룸으로써 북인계열 시문 학과의 연계 지점을 상세히 다루고자 하였다. 종합해보면, 이 글은 북인계열 문인들과 시문학적인 측면에서 접점을 가지는 화담 서경덕의 학문적⋅문학적 특성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논의하는 동시에 북인계열 시맥의 연원을 확인하 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일면 학술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Zaoye (造業) has appeared in the documents of pre-Qin Dynasty, indicating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The extensive spread of Chinese-translated Buddhist scriptures gives Ye (業) a specific Buddhist connotation, which refers to the corresponding results produced by various thoughts and behaviors. Ye (業) is associated with Nie (孽) after biased towards evil karma. The thesis examines the semantic and usage frequencies of Zaoye (造業), Zaonie (造孽), Zaonie (遭孽), Zaoye (遭業), Zuoye (作業) and Zuonie (作孽) in historial documents and dialect materials, arguing that the phonetic and semantic proximity of the morphemes readily results in semantic blending among these words. Zaoye (造業) in Southwestern Mandarin expresses pity. Zaonie (造孽) in Southwestern Mandarin, Xiang, Gan and Hakka dialect expresses pity. Zaonie (遭孽) in Jianghuai dialect and Southwestern Mandarin also expresses pity. Zaoye (遭業) in Beijing dialect expresses pity. Zuonie (作孽) in Jianghuai and Wu dialect expresses pity. Based on the literal semantics of the word Zaoye (造業), it is not possibe to deduce why the word can express pity. The thesis suggests that Zaoye (造業) expresses pity because it is confused with word Zaonie (遭孽). Zaonie (遭孽) means suffering from bad things, which leads to the meaning of pity. Due to the phonetic similarity and semantic overlap between Zaoye (造業) and Zaonie (遭孽), Southwest Mandarin dialect areas use the simple character form Zaoye (造業) to express pity.
이 논문은 한국 무속에서 중요한 귀물(鬼物)로 사용되고 있 는 명두에 대한 기원과 상징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명두의 기 원을 청동기시대 다뉴경에 두고 있다. 하지만 『삼환관경본 기』와 『삼국유사』「고조선」조 등의 기록에서는 다뉴경보 다 훨씬 이전에 왕권의 상징으로, 절대자의 상징으로 사용되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정일치 시대 절대자의 상징으로 사용 되어 온 거울이 자연스럽게 무당들에 의해 이어져 오면서 천신 계의 신령인 해와 달과 북두칠성을 문양으로 새겨 놓고 명두라 고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속에서 사용되는 명두는 무구(巫具)로서 속(俗)의 공간을 신성한 공간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아울러 신이 강림하 는 곳이며, 신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써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된 다. 문헌에 명도(明圖) · 명도(明道)라고 기록된 이유를 추정하여 올바른 명칭은 명두(明斗)이며, 명두는 해 · 달 · 별을 상징하 는 무구(巫具)라는 것과 일월성신의 신체로서뿐만 아니라 우주 의 기운과 교감을 할 수 있는 안테나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 된다. 이런 의미로 내림굿할 때 신간(神竿)으로 신의 강림을 기 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교의 업경(業鏡)과 일본의 신체경(神体鏡) · 신보경(神宝 鏡) · 신구경(神具鏡)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시베리아와 몽골 샤먼들이 사용하고 있는 명두와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명 두와 기능과 상징성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수작전부대는 아프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겪으면서 합동작전 수행 면 에서 전쟁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작전 의 발전과정에서 한국군 특수작전을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미 특수작전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작전은 고대로부터 수행되었으며, 전쟁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 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특수작전의 발전과정을 전쟁양상의 변화와 전쟁의 유형을 기초로 병력중심→화력중심→현대적→첨단화된 특수작전 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정립하고, 이를 기초로 미군의 특수작전 발전과정 과 한국군 특수작전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향후 한국군 특 수작전은 첨단화된 특수작전으로 발전해 가야 하며, 미래 다영역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작전수행개념은 정보중심의 네트워크중심전 수행, 조직편 성은 합동특수작전사령부를 평시부터 편성하고 유관기관과의 통합된 조 직 확충, 무기체계는 AI기반의 최첨단 무기체계를 확충할 것을 제안하였 다. 본 연구는 특수작전의 기원과 발전과정에서 한국군 특수작전의 발전 을 연구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한국군 특수작전은 첨 단화된 특수작전으로 발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항 등이 신속 히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constructed in 634, is Korea's oldest stone pagoda. As a prototype of the Silla Stone Pagoda, th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flagstones. Since it was constructed with flagstones, it has been known to be a pagoda that replicates the brick pagoda until now. The latest research suggests that it copies the India Stupa or the Stacked Stone Pagoda more than the Brick Pagoda. However,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ique and shape compared to Brick Pagodas, India Stupas, and Stacked Stone Pagodas.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stone building technique used in Silla.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is a stone pagoda that creatively reflects the existing Silla stone building techniques such as stone fortresses and stone chamber tombs.
There is a widely distributed dialect classifier “蔸” in the area south of the Yangtze River. This classifier is grammaticalized from the noun “蔸” which means “roots (or stem close to the root) of plants” through a metonymy mechanism. The etymology of “蔸” is probably “株”. The classifier “蔸” was a plant classifier when it was first formed, collocating with nouns related to the plant category. Later, its usage expanded. And the word went through a process of categorization. In some areas of Guangxi and Guangdong, it developed the usage of appearance classifiers, which can be collocated with one-dimensional objects in non-plant categories and even abstract nouns. In more limited areas, such as Guangzhou, the classifier “蔸” can even be paired with a noun referring to a person, but in this case its counting function is weak and the whole expression’s subjectivity is strong.
This article takes the four handed down Chu Gong Jia bells and the Chu Gong Jia bell unearthed in Zhouyuan as the research objects, and combine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from the perspective of inscription glyphs, word relationships, style, and decorative patterns. It is pointed out that the inscriptions, style, and word relationships of Chu Gong Jia bells in the late western Zhou dynasty all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u characters. The inscriptions, style, and relationship between words of the Chu Gong Jia bell unearthed in the Zhou dynasty als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Zhou dynasty. This article also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bird patterns on the bells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points out that the bird patterns on the Chu Gong Jia bell unearthed in Zhouyuan are not common in the southern region during the western Zhou dynasty, bu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Baoji Phoenix bird pattern with a fleshy crown common in the Baoji region during the western Zhou dynasty. Its stiff demeanor and forked upturned tail may be due to improper imitation of southern bird pattern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bird pattern on the right drum of the Chu Gong Jia bell inscription unearthed in Zhouyuan indicate that its origin or locality is in Zhouyuan. The research in this article has a promoting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ronze inscriptions in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is beneficial for us to further understand the early Chu characters and Chu cultu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provide some reference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system in the Zhou dynasty and the study of the casting and circulation patterns of bronze.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hanzi, 漢字), the reasons for its stability and longevity, and its future are some core issues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We have proposed three research models to tackle these problems: (1). Taking advantage of the logographic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we have used a mathematical model to show that the Chinese writing should have already existed no later than 2100 BCE. (2). We have adopted the “funnel model” of protein folding in biochemistry to illustrate the landscape at the beginning of Chinese writing and how it evolved into a stable writing system. (3). We have proposed an ecological model for studying the past and future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se models, together with systematic archaeological study of pottery inscriptions and DNA analysis of human skeletons unearthed from various neolithic cultural sites, this article discuss specific issues related to the genesis, the longevity and the future growth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model of Chinese characters. Particularly, how Chinese characters can be prepared to respond to future challeneges in a world of globalization and data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