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is a wrong splicing in the eighth volume of Kehong Yinyi preserved in the Korean Tripitaka, it involves some phonetic and meaning entries in Buddha’s Names Sutra, Three Thousand Buddhas’ Names Sutra and Five Thousand Five Hundred Buddhas’ Names Sutra. By backtracking the scriptures, the exact origin of these phonetic and meaning entries can be determined. At the same time, combined with the selected transcript of Kehong Yinyi recorded on the back of the Dunhuang Scroll P.2948,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already existed in Kehong Yinyi before it was introduced into Goryeo. As for the specific link in which this misalignment occurred, it is difficult to know for sure due to the lack of evidence chain.
Anecdotal evidence suggests that incidents like the recall of the exploding Samsung Galaxy 7 phones drive owners of other (competing) brands to experience and express feelings of joy when a rival brand fails (e.g., “the hottest phone in the streets!”). Although consumers sometimes experience brand-related schadenfreude—that is, joy out of other brand’s failure—, psychological processes driving schadenfreude are not clearly understood (Hickman & Ward, 2007; Van Dijk, Van Koningsbruggen, Ouwerkerk, & Wesseling, 2011). We propose that schadenfreude may be elicited by consumers’ tendencies to stand by their choices (Ye & Gawronski, 2016). We demonstrate that consumers show higher levels of schadenfreude if their choice is disconfirmed; for example, by a comparative product review that evaluates their chosen brand to be inferior to a rival non-chosen brand. Furthermore, this effect is moderated by the popularity of the chosen brand and mediated by feelings of self-threat. Moreover, we show that this effect is stronger for narcissists. We also find evidence that schadenfreude is a means for consumers to reaffirm their sense of self after they experience a self-threat induced by the disconfirmation of their choice.
The New Dictionary of Korea, which is a modern dictionary, was influenced by The Kangxi Dictionary. In this paper, we chose 42 Chinese characters from The New Dictionary which includes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ir paraphrase.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Kangxi Dictionary, there are 21 characters which include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ir paraphrase and 19 characters which are not marked in interpretation. And there are 3 characters did not appear in The Kangxi Dictionary. By arranging the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 New Dictionary, we explore the origin and analysis of its causes. It is beneficial for learning compiling modes of Korean Chinese dictionaries and the inheritance and variation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ropagation process in other countries.
우리나라에서 한자어가 사용된 역사는 최소한 이천여년이 넘었다. 근대화를 기 점으로 한자와 한문교육이 보편 교양교육에서 특수한 일부 개별 교과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한글 전용 정책의 실시로 인해 한자와 한문교육이 축소되었으며, 시 대의 변화에 따라 한자 사용과 노출의 예는 극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구축된 한국어 어휘 체계 중에는 이미 70% 가까이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 며, 실제 언어 생활에서도 한자어의 사용 빈도 또한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자와 한자계 어휘 교육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지 않음으로써 한자 표 기 오류 현상은 끊임없이 출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한자 표기 오류가 나타나는 근본적 이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 고, 원인에 따라 유형화하여 해결의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國語에는 많은 漢字語가 있다. 1957年에 완간된 〈(조선말)큰사전〉에 의하면 固有語(순수한 우리말)는 56,115 單語인 데 비하여 漢字語는 81,362 單語나 된다. 國語辭典에는 "국어(國語)"처럼 標題語 바로 뒤에 괄호 안에 漢子로 表示된다. 그런데 最近에 전 한글학회 辭典編纂員이었던 `한말연구회` 정재도 회장은 그 중 상당수의 單語를 固有語라고 하는 근거 없는 主張을 내어 놓고 있으며, 그의 주장을 믿고 일부 사전에서는 이미 語源 漢字를 없애 버린 것도 있다. 本稿에서는 정재도회장이 固有語라고 주장한 `부실(不實), 남사당패(男寺黨牌), 도배(塗褙), 기별(奇別·寄別), 표(標), 온돌(溫突), 방(房), 공부(工夫), 선물(膳物), 선사(膳賜)`등이 漢字語임을 논증하였다. 이 중에는 古代漢語에서 바로 借用한 것도 있고, 우리나라에서 만들거나, 固有語를 漢譯한 것도 있으나 各 形態素 [morpheme, 쉽게 말해 每個 글자]는 漢語이므로 틀림없는 漢字語다. 정재도씨가 이것들을 모두 漢字語라고 하는 이유는 그가 철저한 조사를 하지 못하여서 그런 것도 있지만 일부는 漢字에 대한 혐오(嫌惡) 등 偏狹한 民族主義 때문에 故意的으로 固有語라고 우긴 것도 있는 것 같다. 漢字語가 많다고 劣等感을 느끼는 것은 잘못된 관념이다. 英語에는 우리말 못지 않게 外來語가 많은데 그 중 대부분이 佛語를 통하여 간접 借用한 라틴어다. 그런데도 영어사전에는 이런 말들의 語源을 상세하고 당당하게 밝히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일찍부터 中國과 文化 交流를 하였고 文字가 없을 때 漢字로 文字生活을 하면서도 우리 國語를 완벽하게 지켜 온 우수한 民族이다. 漢字語가 많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漢字語는 우리말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 時代錯誤的인 劣等感은 버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