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exercise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has focused on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 (VMO). Although open chain knee extension exercises are effective for increasing overall quadriceps strength, they are not always indicated for PFPS rehabilit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bined posture of lower extremity on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vastus lateralis muscle (VL) and VMO during static squat exercises. The subjects were twenty young adult male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nee injury and their Q-angle was within a normal range. They were asked to perform static squat exercises in five various postures using their lower extremities. The EMG activity of the VL and VMO were recorded in five exercises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VC values derived from seated, isometric knee extensions.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MVC) of the VL and VMO for the five postures of the lower extremities were compared using one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of ANOVA's revealed that exercise 3 and exercise 5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EMG activity of VMO/VL ratios than exercise 1 (p<.05). When the static squat exercise was combined with hip adduction and toes pointed outwardly, the EMG activity of VMO/VL rates was increased. The EMG activity of VMO/VL ratio was highest during static squat exercises performed on a decline squat. These results haveimportant implications for progressive and selective VMO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in PFPS patients.
        4,000원
        22.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들은 65∼75세의 노인 14명으로 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7명의 노인을 대 상으로 걷기 운동을 12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중재를 실시하기 전과 12주 후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 료 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복합 운동프로 그램 그룹의 경우 12주 후 스트레스 저항도와 전체 자율신경 활성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비록 지각된 스 트레스와 신체수행능력 점수에서 대조군과 유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복합 운동프로그램 그룹에서 중재 후 유의한 개선을 보여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들의 자율 신경계 활성도 를 높여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복합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2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ng-term exercise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ego-resilience of elderly women. Methods: Twenty-four elderly women at a welfare center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12) or the control group (n=12).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24-week program of combined exercise (aerobic and anaerobic) comprising two 90-min sessions per week. The control group performed no exercise. The mean of each dependent variable for each group was measured at the start (pre-test), midpoint (intermediate-test, 12 weeks), and end (post-test, 24 weeks) of the experimental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wo-way ANOVA repeated measure. Results: Body fat, flexibility, upper body strength, balance,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factors except the lower muscle strength (p<.05). In the two sub-variables of cognitive function, namely short-term memory an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p<.001). In ego-resili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and between intermediate- and post-tests (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long-term combined exercise is effective for improving health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ego-resilience in elderly women.
        24.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대 평균 신장은 160.78 ㎝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25.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우울환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6명의 여성 우울환자를 모집하여 치유복합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8명을 실험집단에 그리고 유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8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동적인 유산소성 댄스와 정적인 요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치유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주 2회, 총 8주간(16회기) 한 회기에 10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t-test와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된 측정 질문지 외에 다른 처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집단 소감나누기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에서는 실험집단에서 하위영역인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의 모든 요인에서 사전, 사후 그리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특성과 상태불안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에서는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인 자기지각, 불편감과 정서적 요인 모두 사전 사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집단 소감나누기의 분석 결과, 심리적, 가족적, 신체건강, 환경적, 기타의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가 논의되었다.
        26.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우울환자를 대상으로 유산소성 댄스와 요가를 복합한 치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생리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J구 정신과병원에서 지역사회에 홍보를 통해 모집한 신청자 중 우울검사(BDI)에서 참여 가능한 실험집단 및 통제 집단의 환자 각 8명의 우울환자였다. 실험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하루 100분의 총 16회기 치유복합프로그램을 처치하여, t-test와 공분산분석으로 두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이정신진단 검사결과 실험집단은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증, 우울증, 불안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증상요인과 부가적 문항 모두에서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행복감 검증결과 실험집단에서 만족감과 긍정정서의 향상과 부정정서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자아 및 부정자아의 효과가 검증되었고, 집단간에서는 부정적 자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생리적 검증에서 심박수 및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 치료를 위한 운동중재요법으로서 요가와 유산소성 댄스의 복합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으며, 향후 임상적 운동심리학연구 및 학제 간 융합연구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27.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4명의 노인들은 실험집단(12명) 또는 통제집단(12명)에 무선으로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은 16주간, 주 3회, 하루 60분씩 복합운동(유산소+무산소)에 참여하였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복합운동 시작 전과 8주, 16주 후에 각각 인지기능(Cognitrone test)과 우울(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을 측정하여 이원변량분석 반복측정(2X3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기능의 하위요인 중 정답반응비율과 정답반응수 그리고 우울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8주, 16주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6주 측정에서 가장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통제집단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6주간의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된다.
        2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근저항성과 지구성 운동으로 구성된 복합 운동 프로그램 참가가 생리적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주3회, 90분, 12주간의 복합 운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 20명과 통제 집단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생리적 요인은 크게 신체 구성, 기초 체력, 심폐 기능을,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으로는 외모, 근력, 지구력, 유연성, 건강, 신체 활동, 체지방(체형), 스포츠 유능감, 신체 전반, 자기 존중감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집단간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은 운동 참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복부 피지후은 통계적으로(p<.05)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 체력 요인에서는 배근력, 평형성, 민첩성,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과 심폐 기능 요인인 최대산소섭취량 요인에서 통계적으로(p<.05)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 하위 요인에서 자기 존중감, 건강, 외모 요인을 제외한 스포츠 유능감, 신체 활동, 근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체지방(체형), 신체 전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리적 요인 중 복부 피지후 요인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체지방(체형) 요인과 높은 부적 관계를, 배근력 요인은 근력, 신체 전반, 스포츠 유능감, 신체 활동 요인과 높은 정적 관계를, 민첩성과 근지구력 요인은 신체 전반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성 요인은 신체 활동과 근력 요인과, 순발력 요인은 신체 전반, 근력, 체지방(체형)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은 심폐 지구력과 신체 활동 요인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복합 운동 참가는 생리적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두 요인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참가자들의 건강 증진 및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