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eptozotocin (STZ, 45 mg/kg body weight)으로 유도된 Sprague Dawley (SD)계 수컷 흰쥐에 5% 울금을 섭취시켰을 때, 혈청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blood urea nitrogen (BUN)의 농도와 alkaline phosphatase (ALP), lactate dehydrogenase (LDH), aminotransferase (AST, ALT), 카탈라아제(catal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ip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본식이를 급여시킨 대조군(control)인 정상군은 BD군, 기본식이 실험군에 5% 울금 급여군(BT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인 질환 모델 대조군(control-diabetic)과 질환 실험군(diabetic, BS군) 에 5% 울금을 급여시킨 실험군(ST군)으로 나누었다. 흰쥐의 혈청 크레아티닌 및 BUN 농도와 ALP, AST 및 ALT 활성은 유사한 경향으로 5% 울금의 급여가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SD계 수컷 흰쥐의 혈청 LDH 활성은 BS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p<0.05), 5% 울금의 급여가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카탈라아제 활성은 BS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ST군에서 활성을 증가시켰다(p<0.05). 혈청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은 5% 울금의 급여가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SD계 수컷 흰쥐를 통한 in vivo 실험에서 5% 울금의 섭취가 당뇨, 내인성 항산화 효소 및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rill (Euphausia superba) 분말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BFG군을 비롯하여 10%, 20%, 30%의 krill 분말을 첨가한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KMF10군, KMF20군, KMF30군, 5가지의 급여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농도는 krill 분말 급여군인 KMF10군, KMF20군, KMF30군에서 BFG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uric acid 농도에서 KMF10군은 BFG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KMF20군과 KMF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전해질 농도에서 총 칼슘(T-Ca)은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krill 분말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인(Pi) 농도는 krill meal 함량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rill 분말은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ss-related metabolites and hormones in blood and compared the muscle structure to identify the reason for blood splash in Hanwoo beef. Five slaughter hou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gion (Seoul, Gimhae, Jungbu, Naju, and Goryung) and a previous blood splash record. In total, three-hundred eighty blood samples (n=380) and forty-two muscle tissues (n=42) of control and blood splash Hanwoo beef were collected during the slaughter process and beef grading. Blood metabolites were analyzed including glucose, lactate, creatinine, urea-N, and hormones such as cortisol and thyroxin. Muscle fiber, fiber bundle, and capillary wall thickness were measured under microscope. The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lactate, and urea-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samples. Cortisol and thyrox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samples. In contrast, the creatinin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blood splash sample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muscle fiber, bundles, and capillary wall thicknes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tissues. In conclusion, blood metabolites, hormones, and muscle fiber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lood splash animal. However, increased creatinine levels may be used a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blood splash prior to slaughter in Hanwoo.
        4,000원
        4.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체적합성과 흡습 특성이 있는 polyamide6 (PA6)를 혈액투석용 분리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16 wt% PA6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PA6 nanofiber membrane은 직경(fiber diameter), 표면특성, 기공의 크기 분석을 통해 혈액투석용 분리막으로 최적화하였다. PA6 nanofiber membrane는 제 올라이트가 첨가된 친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개질하여 혈액 속 노폐물인 creatinine 흡착 제거용 분리막으로 사용하고, creatine의 흡착효과는 UV-visible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6.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ATP and related compounds, TMAO, TMA, creatine and creatinin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Engrulis japonica) extracts during fermentation. Experimental sample A: chopped whole anchovy, adding 20% water, heating at 50℃ for 9 hrs and then adding 10% NaCl. Sample B: chopped whole anchovy, adding 20% water, heating at 50℃ for 9 hrs and then adding 13% NaCl. Sample C: chopped whole anchovy adding 13% NaCl. Sample D: whole anchovy adding 17% NaCl. ATP, ADP, AMP and IMP were broken down during fermentation period, while inosine and hypoxanthine or hypoxanthine were detected in each 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However the amounts of them were varied from collection to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methods. Possibly ATP and their related compounds will not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umami taste in 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The contents of TMAO were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eriod, ranging from 3 to 15 mg/100g in the fermented liquefaction of anchovy after 180 days. The TMA contents were increased slowly during fermentation period, ranging from 60 to 114 mg/100g in the 180 days specimens, however their contents were varied from sample to sample. The contents of creatine and creatinine were increased during early fermentation period, and then they were decreased in the last period. As for distribution of nitrogen in the anchovy extracts, the contribution of creatine and creatinine to the extractive nitrogen was occupying 6.8, 5.7, 4.6 and 5.7% in the experimental sample A, B, C and D,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ATP and related compounds to the extractive nitrogen was occupying 2.1, 2.4, 2.2 and 2.7% in the experimental sample A, B, C and D,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TMAO and TMA to the extractive nitrogen was very low as they are occupying 0.7~1.2% in the four experimental samples.
        4,600원
        7.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육을 비롯한 육류 4종, 육가공식품으로서 다시 다류 4종, 라면수프류 5종, 컵라면수프류 2종, 그리고 햄류 3종과 소시지류 3종에 있어서의 크레아티닌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한우육에 있어서의 크레아티닌 함량은 시료 100g당 252.0㎎으로서 수입우육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계육<돈육<수입우육<한우육의 순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시다류와 라면수프, 컵라면수프류에서의 크레아티닌 함량은 2.0㎎에서 67.4㎎까지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므로 이들의 조성성분중에 모두 육류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다류와 컵라면수프류중의 한가지 시료는 다른 3종의 다시다류나 1종의 컵라면수프류의 크레아티닌 함량보다 매우 높았다. 햄류와 소지지류의 경우 크레아티닌 함량이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햄류의 크레아티닌 함량이 소시지류보다 22∼37% 정도 높았다.
        3,000원
        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4,000원
        9.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wild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lowering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dyslipidemic rats. Four groups of rats were fed different diets for 5 weeks: basal diet (BD group), nondyslipidemic diet+feral haw extract (NDF group), dyslipidemic diet (DLD group), dyslipidemic diet+feral haw extract (DFH group). BUN, creatinine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LD group than in the BD group. However, DFH group significantly lowered BUN, creatinine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DLD group. Amy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LD group than in the BD group, while DFH group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DLD group. Lipase activity was also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DLD group than the other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w extract could be effective for improving kidney function in dyslipidemic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