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ne dust absorbed into our body through the skin causes various inflammatory responses in skin cells and accelerates skin ag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e, approved as edible ingredients, as inhibitor for fine dust-induced inflammaging. The anti-inflammaging effects of aqueous ethanolic Allomyrina dichotoma larvae extract (ADLE) against ERM-CZ100 were evaluated at the cellular level. Biochemical responses associated with cell damag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were assessed by measuring intracellular ROS, DNA fragmentation, β-galactosidase activity, cytokines, and protein expression. Exposure to ERM-CZ100 increased ROS production, DNA fragments, and β-galactosidase activity, which reduced cell viability. However, these detrimental effects were significantly mitigated by co-treatment with ADLE.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ERM-CZ100 was decreased by ADLE treatment, which was further corroborated by a reduction in COX2 protein expression. Additionally, ADLE restored the ele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levels and reduced COL1A1 expression caused by ERM-CZ100 exposu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LE not only holds nutritional value as a potential future food resource but also exhibits promising properties as a novel material for treating inflammation. Moreover, it demonstrates a positive effect in preventing skin aging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4,000원
        2.
        2023.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catechin patches for skin regeneration at wound sites, patches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catechin and chitosan were manufactured. An optimal composition ratio wa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drug release rate and amount, to maximize efficiency. The catechin used in this study was extracted from green tea leaves using a solvent/ultrasonication metho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rough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es. Patch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techin and chitosan, and various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techniques such as FT-IR, water contact angle analysis, and UV-Vis spectroscopy. It was observed that as the chitosa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release of catechin slowed down or almost ceased. A patch manufactured with 1.5 mg/cm2 of catechin at a 1 % chitosan concentration exhibited a high initial release rate over 24 h and demonstrated cellular biocompatibility. Consequently, these patches, with tailored releas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ncentrations of chitosan and catechin, hold promise for use as drug delivery systems in wound healing applications.
        4,0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V는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노화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자외선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하면 피부 노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피룰 리나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원핵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피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UVB 방사선에 대한 스피룰리나 유래 피코시아닌(PC)의 광보호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PC는 섬유아세포 생존율 측면에서 5-40 μg/mL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VB 조사된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50.5%였으며 PC 처리로 73.5%로 증가했다. MMP-1 및 MMP-9 발현은 UVB 처리로 증가하는 반면 PC 처리한 군에서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PC는 UVB 조사로 인한 산화적 손상과 피부노화와 관련된 인자를 감소시켜 노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xicities to many organs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humidifier disinfectant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cardiovascular, embryonic, and hepatic toxic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oxic mechanism of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compare toxicity in a cellular model and a zebrafish animal model. Because brain toxicity and skin toxicity have been less studied than other organs, we evaluated toxicity in a human dermal cell line and zebrafish under various concentration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that included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PHMG), oligo-[2-(2-ethoxy)-ethoxyethylguanidinium- chloride] (PGH) and methylchloro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A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line was treated with disinfectants (0, 2, 4, 6, 8, and 16 mg L-1) to compare their cytotoxicity. The fewest PHMG-treated cells survived (up to 33%), while 49% and 40% of the PGH- and CMIT/MIT-treated cells, respectively, survived. The quantification of oxidized species in the media revealed that the PHMGtreated cells had the highest MDA content of around 28 nM, while the PGH- and CMIT/ MIT-treated cells had 13 and 21 nM MDA, respectively. As for brain toxicity, treatment of the zebrafish tank water with CMIT/MIT (final 40 mg L-1) for 30 min resulted in a 17- fold higher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with PGH or PHMG (final 40 mg L-1) resulted in 15- and 11-fold higher production, respectively. The humidifier disinfectants (PHMG, PGH, and CMIT/MIT) showed severe dermal cell toxicity and brain toxicity. These toxicities may be relevant factors in understanding why some children have language disorders, motor delays, and developmental delays from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4,000원
        6.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violet B (UVB) exposure is a risk factor for skin damage resulting i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ell dea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to improve its biological activities using a three-step steaming proces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PG and steamed PG extra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gainst UVB 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s well as the underlying mechanism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PG extract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2,2-diphenyl-1- 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ABTS and DPPH were shown by the 0, 30, and 70% ethanol extracts of 2S-PG and 3S-PG (IC50, 28~45 and 27~30 μg/mL, respectively). Treatment of UVB-irradiated cells with steamed PG (25~400 μg/mL) did not affect their viability. The streamed PG extract suppressed UVB-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ddition, streamed PG extract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in UVB-irradiated HDF, regulating nuclear factor (NF)-κB 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eamed PG extract may be potentially effective against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UVB-induced oxidation stress.
        4,000원
        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 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 μ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 μ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 μ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 β-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 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 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 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렌듈라 추출물과 혼용되어 불리고 있는 메리골드 추출물을 인간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과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DF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콜라겐 생성과 MMP-1 발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HDF세포에 대한 메리골드와 카렌듈라 추출물의 5 ~ 100 μ g/mL 농도에서 80%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콜라겐 합성능 측정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생성능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메리골드 추출물 100 μg/mL 농도에서 25%, 카렌듈라 추출물 100 μg/mL 농도에서 7% 콜라겐 생성능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메리골드와 카렌듈라 추출물 모두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 인하였고, MMP-1 발현에 관련 있다고 알려진 p-JNK와 p-ERK의 인산화를 관찰한 결과, 메리골드 추 출물은 p-JNK와 p-ERK 신호전달 경로를 통화여 MMP-1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 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메리골드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항노화 효능을 가 지는 화장품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 록된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국내 자생식물 45종을 선별하였고,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 에서 45종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다른 종들과 비 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밤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관찰 하였다.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 추출물 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특히 100 μ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H2-DCFDA 염색을 통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밤나무 잎 추출물이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를 저감을 확인하였고, 세포 보호효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100 μg/mL 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A-β- 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세포노화 억제 효과는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밤나무 잎 추출 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노화 억제를 관찰되었다. 이상 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밤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첨가제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β-glucan originating from Aureobasidium on full-thickness skin wound healing in diabetic C57BL/KsJ-db/db mouse models. In the diabetic C57BL/KsJ-db/db model, test articles were topically applied twice a day for 20 days starting from 1 day after wound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at of MadecassolTM ointment (madecassol; 1% Centella asiatica extracts) topically applie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kg. Treatment with β-glucan resulted in significant (p<0.01 or p<0.05) and dose-dependent decreases in wound size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 control showing increased wound size (WS, %). In addition, 50% contraction time (CT50) was dramatically and dose-dependently reduced, and inflammatory cells in granulation tissues of the wound area were significantly (p<0.01 or p<0.05) and dose-dependen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 control showing increased numbers of micro-vessels and fibroblasts as well as re-epithelialization. In the madecassol group, similar changes in inflammatory cells and fibroblasts with re-epithelialization were also observed, but madecassol did not influence angiogenesis. No meaningful changes in body weight were detected in all tested groups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β-glucan has a beneficial effect on diabetic delayed skin wound healing and may be useful to manage incurable skin wounds in diabetic animals.
        4,000원
        1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yal jelly (RJ) is exclusive food that is secreted from the hypopharyngeal and mandibular glands of worker honeybees, and it is well known to be a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queen honeybee Although fresh royal jelly have been demonstrated to enhance wound healing, the wound healing effects of water soluble royal jelly (WSRJ) have not been elucidated. We investigated whether WSRJ promotes the migrati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during in vitro wound healing. HDFs were treated with 1-5ug/ml WSRJ and RJ for up to 24hr following wound formation. Cell migration was assessed by measuring recovery from wound margin, whil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By observing the numbers of cell attached, we confirmed that not only WSRJ but also RJ did not affect on the initial cell adhesion. WSRJ (5 ug/ml) enhanced cell migration rate approximately 84.3% in HDFs at 24hr, whereas RJ (5 ug/ml) increased cell migration rate 71.3% in HDFs at 24hr, which is similar to cell migration rate of WSRJ 1 ug/ml (73.7%). In cell proliferation assays, WSRJ induc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DFs, compared with control and RJ. In conclusion, WSRJ promotes cell migration with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in an in vitro wound healing model.
        1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ttern of wound healing process differs markedly according to the cell types. Gingival wounds heal more rapidly without scar, however dermal wounds show collagen laid down in thick disorganized patterns and keloid formation. This h as b een s uggested t o be d ue t o the presence of d ifferent E C M components a nd c ytokines a s well a s growth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enes in connection with keloid formation in gingival fibroblasts (hGFs) and dermal fibroblasts (hDFs) in response to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hGFs and hDFs in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cyclooxygenase (COX-2), prostaglandins E2 (PGE2),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collagen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TIMP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collagen deposition in wound healing. The hGFs and hDFs were primary cultured and allocated to arachidonic acid (AA)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rotein and mRNA were extracted right after (0 hr) and 24 hr after AA treatment. At a defined concentration of AA in hGFs and hDFs, MTT assay was perform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OX-2, TGF-β, collagen 1 and 3, MMP 1 and TIMP 1 were examined by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s. The amounts of PGE2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The expression of COX-2 and TGF-β exhibited reduced levels in hGFs , but were increased in hDFs at 24 hr after AA treatment. Production of PGE2 was increased in hGFs and hDFs at right after AA treatment but, not changed at 24 hr after AA treatment.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collagen 1 and 3 were decreased in hGFs , whereas increased in hDFs at 24 hr AA treatment. Expression of MMP-1 protein was increased in hGFs at 24 hr but, was decreased in hDFs at 24 h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protein expression of TIMP-1 was decreased in hGFs but, was increased in hDFs at 24 h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se observations demonstrate differential expression between gingival and dermal fibroblasts in regulation of collagenolytic capacity by extracellular matrix-associated genes in keloid formation associated with wound repair.
        4,300원
        1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hidathion을 흰쥐에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투여경로에 따른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뇨 중 dialkyl phosphate의 시간별 배설량과 그 외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thidathion을 경구 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공통적이 대사물질인 dialkyl phosphates 중 세 가지 물질인 DMP, DMTP 및 DMDTP로 동일하게 배설되었다. GC/MS로 주요조간이온을 확인한 결과 DMP는 m/z=153,127, 109, DMTP는 m/z=198, 169, 142, 109 그리고, DMDTP는 m/z=158, 125, 93에서 분자이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dialkyl phosphates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의 경우 DMP는 12시간 이내에 79.2%, DMTP는 24시간 이내에 93.3% 그리고, DMDTP는 12시간 이내에 83.0%가 배설되었고, 피부도포의 경우 DMP는 24시간 이내에 71.1%, DMTP와 DMDTP는 48시간 이내에 각각 82.8%, 87.7%가 배설되었다. 이 결과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는 48시간 이내에 뇨 중 dialkyl phosphates가 완전히 배설되는 반면 피부도포 한 실험에서는 각 개체의 상태에 따라 대사물질들이 늦게는 168시간까지 배설이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흰쥐에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dialkyl phosphate 중 DMP, DMTP 및 DMDTP로 검출되었으며, 경구투여와 피부도포 시 뇨 중 etkanfwlf의 차이는 없었으나,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의 경우 배설이 더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methidathion의 뇨 중 대사물질인 DMP, DMTP 및 DMDTP는 이 농약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쥐를 이용하여 profenofos를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과 뇨 중 대사물질의 시간별 배설량을 GC/MS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4-bromo-2-chlorophenol이며, GC/MS로 분석한 결과 4-bromo-2-chlorophenol는 m/z=208에서 분자이온을 추정하였다.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경구투여와 동일한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이었다. 모 화합물이나 4-bromo-2-chlorophenol외 다른 대사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다. 또한 48시간 내 95%가 배설되었고 72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한편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으며, 48시간 내 87%가 배설되었고 96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Profenofos의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는 profenofos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뇨 중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 후 배설이 지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필러 시장은 2009년 189억 원에서 2014년 1,000억 원으로 연평균 약40% 성장한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5년간 국내 필러 시장은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구조적 성장 요인 이외에도 국내 시장의 고유한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구당 피부 및 성형외과 의사 수, 둘째 유명 배우들을 통한 직접적인광고 전략으로 요약된다. 젊음과 아름다운 외모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지속되고 ‘쁘띠 성형’이라고 알려진 안면미용 시술에 대한 수요는 외모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안티에이징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더말 필러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둘째 FGI와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시각적 요소를 통한 선호도와 구매 영향 흐름을 파악하여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 결과 각 기업들의 패키지디자인에서의 차별성이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복잡하고 화려한 그래픽디자인 보다는 제품의 브랜드 로고 중심의 레이아웃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말 필러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 이미지와 부합되는 디자인으로 지속적으로 나아가야하며 브랜드 컬러를 통한 브랜드, 제품별 특징을 더해주고 꾸준히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고려하여 추후 더말 필러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자사 브랜드 제품에 대한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1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세틸 헥사펩타이드 8 (AH8)은 보톡스 메커니즘을 응용한 주름 개선 펩타이드 소재로, 보톡스의 타겟인 synatosomal-associated protein 25 (SNAP25) N말단 서열을 모방하여 개발되었다. 주름 개선 효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큰 분자량과 친수성 성질에 의하여 피부 흡수는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 보습 성분 중에서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였는데, 히알루론산(HA)이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켰다. 형광물질로 표지한 AH8만 MicropigⓇ skin 에 발라주면 대부분 각질을 투과하지 못하고 각질층에 존재하였다. 반면, HA를 함께 도포한 경우에는 각질층을 투과하여 표피, 진피로 흡수된 AH8가 증가하는 것을 형광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특히 5 kDa 저분자량 HA가 500 kDa, 2000 kDa HA보다 피부 흡수를 더 많이 증가시켰다. HA가 피부 각질층에 미치는 영향을 푸리에변환 적외 분광법(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으로 분석해보니, 고분자량 HA는 각질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저분자량 HA는 지질층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성이 있었다. 따라서 HA는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켜 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ectin lyase-modified red ginseng extract (GS-E3D) is a newly developed ginsenoside Rd-enriched ginseng ex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of GS-E3D in rat. Methods and Results : The acute oral toxic effects of GS-E3D in female SD rats were examined at dosages of 300 ㎎/㎏ and 2,000 ㎎/㎏. In acute dermal toxicity study, 500, 1,000 and 2,000 ㎎/㎏ of GS-E3D were applied onto the shaved skin of male and female SD rats. The weights of rats were recorded at 0, 1, 3, 7, and 14 days and clinical observation were checked once a day for a period of 14 days. All rats were scarified on 14th day and complete gross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detect any gross change of organs after necropsy. GS-E3D did not produce orally or dermally treatment-related clinical signs of toxicity or mortality in all rats during the 14-day observation period. The oral and dermal LD50 values of GS-E3D were over 2,000 ㎎/㎏ in rat. The oral and dermal administration of GS-E3D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 in body weight and gross pathology examin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S-E3D can be used as a food and cosmetic materials without critically adverse effec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