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유목민족의 경제행위는 가축을 기르는 유목과 약탈적 교환 행위로 설명할 수 있다. 지극히 전문화된 경제행위로서의 유목을 하는 유목민은 가축과 가축 부산물만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정주 사 회에서 생산하는 농작물이나 생활필수품이 있어야 한다. 필요한 제품과 생산한 제품을 교환하는 교환 비율은 유목민에게 매우 불리한 조건이었기에 유목민들은 약탈을 감행함으로써 불리한 교환 비율을 개선했다. 현대 몽골에서 유목은 더 이상 주력산업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과거 유목이 행해졌던 지역 에서 광업과 관광업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소수의 도시에 인구가 집중하고 있으며 집중되는 인구 로 인하여 도시지역에 각종 산업이 입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유목지역에 대한 현대적 의미에서의 지역 경제학적 논점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지역간 자원 배치의 문제, 지역별 성장과 자원의 문제, 경제주체 간의 입지 문제를 이 연구에서는 확인할 수 있다.
Today’s digital economy has gradually emerged as a new engine of innovation for China’s economic growth. However, while injecting new vitality into the Chinese economy, digital globalization has also brought a series of challenges to China, such as data security, digital divide, unregulated competition among digital platforms, and a lack of mechanisms for protecting property rights. These issues underscore China's insufficient capacity for effectively regulating and systematically governing the digital economy. In contrast, South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Korea Digital Strategy’ (KDS) and the ‘Basic Law for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and Utilization of Data’ (Data Industry Act)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industry. These measures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digital industry development and governance, and thus improve the legal system of South Korea’s digital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construction of digital economy legal system in China and South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summarizes the experience of digital economy legal system co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offers thre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digital economy legal system. Firstly, China needs to improve the coordination of its laws for the digital economy, avoid repetitive and overlapping legislation, and enhance the scientificity and authority of legislation; Secondly, China needs to adopt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legislating and governing the digital economy, ensuring the consistency and coherence of the system; Thirdly, China needs to conduct more basic research, pay attention to the ethical and legal implications, and keep the legal system up to date, so a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 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과 유사한 경제사회 조건을 지닌 아프리카 취약국가에서의 위기 전이 현상에 대한 분석을 북한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보는 것은, 북한에 대한 이해 증진에 있어 유의미할 수 있다는 시각에 기초 한다. 이러한 시각아래 2018년 8월부터 경제사회 위기가 표면화된 짐 바브웨 사례를 기술해보았다. 최근 모두 역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고 있 는 짐바브웨와 북한은 낮은 경제자유도, 경제규모, 산업구조 및 무역 형태 등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또한 양국 모두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된 상황에서 각각 미국 및 미국과 유엔 제재 아래 있어 외환 확보 제약에 직면해있다. 2017년말 37년 무가베 독재 종언이후 표면화된 짐바브웨 상황은 정치변동, 물가상승, 외환시장 왜곡, 보건 위기, 사회인프라 붕 괴가 상호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한이 기본 경제 조건의 왜곡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사태는 북한에서 짐바 브웨에서 나타난 경제사회 분야 악순환 고리 형성 및 작동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A sharing economy has emerged through today’s trust-building mechanisms, and a sharing economy is called a future economic model through a positive future market prospect. In this context, while the overseas sharing economic business is becoming a global trend, the domestic sharing economic business is busy following the global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haring economic business in Korea. First, the sharing economic cases of 50 oversea and domestic businesses were analyzed by time series analysis. Next, a cross-country analysis to analyze the business distribution and KCERN's sharing economic model through sharing economic cube model was conducted. Finally, profit model analysis through business case stu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factor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comparative trends between overseas and domestic including differences in cultur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profit models.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domestic sharing economy business.
Be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ack of resources, necessity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exhaust gas emission and CO2 have grown in importance. Therefore a lot of studies are conducted for HEV(hybrid electric vehicle) and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automobile companies are researching and manufacturing HEV and PHEV. Due to cost and time problem, simulation is preferred than experimental test to find better component size for efficiency improvement. In this research, backward simulation program is developed base on Dynamic Programming. Using this simulation program, fuel economy sensitivities for each parameter are analyzed and compared. Fuel economy is measured for a combined cycle that is calculated from FTP-75 and HWFET cycle. The target parameters are front/rear power train efficiency, drag coefficient, vehicle mass, 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 tire radius, center of gravity. The most sensitive parameter is front power train efficiency and second is drag coefficient. Rear power train efficiency, vehicle mass, 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 are third, forth and fifth. By comparing sensitivities, we can choose a better way to improve fuel economy of HEV.
The major complaint of hybrid vehicle driver is that real fuel economy is lower than the certified fuel econom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cause of low fuel economy and to improve the fuel consumption at real driving condition. In this study, the various speed profile is measured by driving urban road with considering different traffic jam. By using backward simulation, the fuel economy characteristics of the acquired driving modes are analyz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operating points of engine and motor analyzed and the cause of decrease of real fuel economy is examined.
본 연구는 최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에 관련한 기존연구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학문적 접근의 변화를 점검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경제에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과 함께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석기는 청동기인들의 실제적인 삶의 필요에 의하여 고안되었기 때문에 기능적 속성 파악을 통한 당시인의 생활방식이나 생계수단 등의 연구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기분석을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취락의 생계유형과 그 변화상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취락 간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물론 석기만의 분석을 통하여 취락의 생계경제를 언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지만, 고고학적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분석을 통하여 확인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단위 취락의 생계유형은 공통적으로 농경에 기반을 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자연지리적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렵이나 채집활동, 유적의 입지에 따라 어로활동까지 병행하는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논농사의 집약화에 의한 생산량의 증대와 농경 비중의 확대, 증대된 생산물을 차지하기 위한 집단 간 갈등과 교역을 목적으로 한 석기 생산량 증가 등의 변화상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해서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하는 취락이 후기부터 등장하였는데, 저장 중심 유적이나 제사 관련 유적이 다른 취락과 유사한 생계경제 방식을 취한데 반하여 교역 관련 유적은 농경에 의존하는 대신 교역 등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통하여 식량의 공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호서지역의 최상위 취락이라 할 수 있는 관창리유적과 송국리유적에 대한 조성비 비교 결과, 생계방식상의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is to analyze of existing concepts of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differences in wages, defining of gender pay gap determinants,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Kazakhstan. This paper begins by reviewing trends in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segregation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In this research, authors propose the methodological tools for presenting a standard form of evaluation of gender pay gap. The developed methodological tools will allow providing authentic and formal analysis on gender pay gap and identifying the main determinants of gender pay differences. Further,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wage gap in Kazakhstan's regions and the Duncan's dissimilation index allows us to trace the dynamics of changes in the professional structure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results, gender pay gap is narrowing with the reduction of the job level and discrimination is related to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and education. Wages in the industrial sector ar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because men's professions are characterized by severe and unhealthy working conditions. In addition, employers prefer male managers, but if they take woman managers, they give them salary 3 times less.
The initial investment of rice cultivation by mechanical technique was high. This was only due to the cost of planting machine. We analysed the overall cost (without machine cost) and benefits of the two methods, it manifested that the mechanical method is very much beneficial over traditional rice cultivation technique. We observed that the requirement of soil, irriigation water, number of seeds etc. decreased in mechanical cultivation technique while net income increase by 13.07% with 80% government subsidy. Furthermore, the initial rooting was quicker, growth and development of pot raised seedlings wa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technique. Hence, this technique can give better return to the farmers with the help of government subsi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