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동생태공원은 1999년 준공된 후 2014년 현재 개원 15 년이 되었다. 공원 뒤편으로 낮은 산이 있고 논습지이던 곳 을 원 지형에 맞추되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탐방객들에 게 동식물이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자 연보전 의식을 일깨우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탐방객 을 위한 쉼터로는 전이지역 기능을 하는 광장지구, 원 습지 를 살려 11개의 작은 연못으로 구성된 습지지구, 갈참나무 군락과 아까시나무 군락의 연접부에 관찰로를 배치한 산림 지구, 다양한 논밭 작물을 재배하면서 초지생물들의 서식공 간으로 조성한 농촌 및 초지지구, 물새들을 위한 저수지지 구로 조성되었다. 처음 조성할 때는 인위적으로 식재를 하 였지만, 이후에는 관찰로 주변 1m외에는 손을 대지 않는 보전지역(핵심지역)으로 관리하였고, 교육 및 번식에 필요 한 소수 식물 식재 외에는 최대한 자연 천이에 맡기는 방향 으로 관리하였다. 관찰로는 일종의 완충지역으로 하루에 입 장객수를 400명으로 제한하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만 입장을 허락하고, 공원 내에서는 음식물을 먹지 못하도 록 규정하여 관리하였다. 길동생태공원의 생물상 조사는 15년 동안 꾸준히 이루어 졌다. 식물의 경우 연간 20회 이상의 식물상 조사, 관찰로 주변 식물피도조사, 산림지구의 식생구조 분석, 미국선녀벌 레 같은 곤충의 피해도 조사 등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간 식물상의 변화를 통해 향후 공원의 식물상 변 화를 예측하고 동식물의 서식공간으로 적절한 식물관리 방 안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길동생태공원의 식물상은 조성 전인 1998년에는 51과 134종 13변종 3품종으로 총 150종류가 조사되었다. 이후 75과 219종이 식재되었는데, 그 외 94종이 자연적으로 증가 하여 2003년에는 총 550종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서서히 종수가 줄어들어 2011년이후 400여종을 유지하고 있다. 다 만 이 자료중 2008년부터 2010년 자료는 벼과, 사초과가 조사되지 못한 결과이다. 식물상은 시간이 흐르면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초반에 비해 초지가 많이 줄었고, 숲이 우거진 결과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시에서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나비류 의 서식을 위해 인위적으로 식물의 높이를 낮추어 초지대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목본의 경우 2004년 이후 자두 나무, 소사나무, 노간주나무, 호랑버들, 서양측백, 일본조팝 나무, 쉬땅나무, 가시칠엽수, 칠엽수 등을 식재하였다. 2007 년 도로 확장 공사로 공원이 축소되면서 발생한 경사지에 추가로 식물이 식재되었고, 기타 개인 소장 식물 기증에 의 한 종의 증가가 있었다. 공원 토양이 습윤성이어서 서양측 백나무는 대부분 고사하였고, 감나무, 복숭아나무 등은 눈 에 띠게 수세가 약화되었다. 자연적으로 이입된 종으로는 으름덩굴, 덩굴딸기, 참죽나무, 자주괴불주머니, 댓잎현호 색 등이 있다. 들현호색은 1999년에는 조사되었으나 이후 에는 보이지 않다가 2007년 이후 서식지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물상의 변화에 따라 입지별귀화율과 도시화지수 는 다음 표(Table 2)와 같이 변화하였다. 입지별 귀화율은 5.9~12.1로 도시의 평지 주택지(18.1)보 다 낮고 풀밭(4.9)보다는 높아 계단식 논과 냇가 정도와 비 슷한 수준이다. 공원 조성이후 이입종이 늘었다. 이것은 탐방객의 증가, 인접한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증가 등이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자연 천이가 되도록 인위 적인 식재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관리할 경우 생태공원의 역할이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동안 이입되었다가 사라진 귀화식물은 들소리쟁이, 좀 소리쟁이, 취명아주, 자주개자리, 자운영, 어저귀, 애기땅빈 대, 둥근잎유홍초, 캄프리, 도꼬마리(이후 식재), 나도바랭 이, 큰기름새가 있다.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지만 공원 조성 초기에 비해 그 세력이 크게 감소한 식물은 큰비짜루국화, 서양등골나물, 망초,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사리 등이다. 현 재 희귀식물 12종, 특산식물 6종이 공원에서 관찰되고 있 다. 15년간 수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자연재해였 다. 2010년 태풍 곤파스로 인해 아까시나무의 40%가량이 유실되었다. 한편 갈참나무가 눈에 띄게 수세를 넓히고 있 으며, 숲의 빈틈에는 미국자리공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 국자리공은 교육용으로 열매를 꾸준히 활용하는 등 번식 억제 노력이 있었고 수목의 성장으로 음지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서식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2013년 이후 미국 선녀벌레에 의한 수목 피해가 증가하였다. 특히 층층나무, 버드나무의 피해가 컸다. 매년 수목피해 정도를 꾸준히 조 사하면 식물상 및 생육에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을 규명하 여 대처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길동생태공원은 도시에 위치한 특성상 입지별 귀화율이 줄어드는 것에 의미를 두기보다는 도시에서 살아갈 수 있는 동식물에 의미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동안 진행된 생물상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목표종(예를 들어 잠자리, 나 비, 반딧불이, 조류 등)의 서식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환경조형물이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수 있으나,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함으로써 어디를 가든 획일적 풍 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 공미술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이 패러다임 체인저(paradigm changer)가 될 수 있 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및 역할을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갖는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 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공성 등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 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지금까지의 공공미술은 주로 벽화나 환경조형물을 공 공장소에 설치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해왔고, 최근에는 도시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를 시 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조경이나 원예, 스트리트퍼니처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화훼디자인 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이 공공미술의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접 근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을 통해 여섯 가지 효용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체인 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우리나라의 화훼사업이 발달하면서 플라워샵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 이미 서울의 부유한 강남지역에서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플라워샵의 화예디자인은 갈수록 획일화되어가고, 더욱이 경제난으로 인해 소비자의 발길도 줄어들어 어려움을 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화예디자인을 부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명품브랜드와의 전략적 제휴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예디자인이 명품브랜드의 감성마케팅 측면에서 활용된 사례를 토대로, 설문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어울리는 화예디자인의 요소와 작품을 선정하여, 그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에르메스 브랜드 화예디자인에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선정된 요소들과 작품은 앞에서 분석한 에르메스 브랜드 아이덴티티 내용과 일치하였다. 이로서 화예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명품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 하기에 충분한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명품브랜드와 화예디자인의 콜라보레이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하나의 브랜드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다른 명품브랜드의 화예디자인과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경기도 중부지역의 북위 37˚13'31.19" ~37˚33'3.48", 동경 26˚43'04.1" ~127˚26'28.38" 사이에 해당되는 태화산 (624 m), 무갑산(571.8 m), 해협산(531.3 m), 국사봉(540 m), 광교산(582 m), 삼성산(481 m), 수리산(474.8 m), 물왕저수지 인근 200고지(200 m)의 8개 지역의 관속식물 식물상을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수는 92과 262속 386종 5아종 46변종 10품종으로서 총 447분류군이었다. 가장 많은 식물종이 확인된 지역은 광교산이며, 식생이 비교적 양호한 지역은 광교산, 수리산, 해협산이고, 주로 계곡 주변의 완만한 사면부이다. 조사지는 전반적으로 소나무와 Quercus류가 우세한 혼효림이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임상의 초본식생은 토양과 대기의 오염에 의해 거의 절멸상태에 가깝다.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채집된 과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벼과 식물 순이다. 본 조사지에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은 외대으아리, 지리바꽃, 버들회나무, 서울제비꽃, 자란초, 광릉골무꽃, 병꽃나무, 벌개미취 등의 8분류군이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두루미천남성, 노랑무늬붓꽃, 너도바람꽃, 지리바꽃, 왕벚나무(식재), 태백제비꽃, 꽃개회나무 등의 7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유용식물로는 식용식물 192분류군, 약용식물 132분류군, 관상용식물 130분류군, 염료식물 11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등급의 노랑무늬붓꽃, 왕벚나무(식재)의 2분류군, 4등급의 앉은부채, 꽃개회나무의 2분류군, 3등급의 금족제비고사리, 개박달나무, 광릉용수염, 너도바람꽃, 산앵도나무, 연복초 등 13분류군이었다.
대중성 및 공공성이 확보된 작품 제작을 위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화훼장식물을 좋아하고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환경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환경 심리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특성 파악을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특성 분석 에서는 화훼장식물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 통계 결과 ‘자연적’, ‘질서 있는’, ‘통일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깨끗한’, ‘아름다운’ 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공적인 도시에서의 화훼장식물이 도시 미관에 자연미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경관요소로 조화롭게 연출 되어져 이미지가 높게 평가 되었고, ‘깨끗한’, ‘아름다운’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훼장식물이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시 미관을 떨어뜨리는 이미지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2. 화훼장식물이 지닌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인자분석 결과, 화훼장식물의 이미지 인자는 총 4개의 인자로 추출되었으며, 인자 1은 ‘미관성’으로, 인자 2는 ‘정연감’으로, 인자 3은 ‘중량감’ 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자 4는 화훼장식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미지, 안정성, 친밀감 등과 관계되는 ‘친숙감’으로 설정하였다. 3, 4개의 인자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한 유형별 산술평균 결과, 미관성 인자와 정연감 인자에서는 모두 유형 Ⅲ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입체조형물이 시각적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체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질서와 통일감으로 인한 시각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량감 인자와 친숙감 인자에서는 공히 유형 I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단에 식재된 화훼장식물로서 장방형의 형태에서 오는 안정감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어온 형태의 친숙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외부공간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성, 「스토리텔링 기법」등의 공감대를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화훼장식물이 외부공간에서의 역할을 주변경관과의 어울림의 고려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 시각적 선호도와 화훼장식물의 이미지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과 유형 Ⅱ에서도 미관성 인자가 높게 나온 반면 유형 Ⅲ에서는 정연감 인자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화훼장식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의, 미관성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화훼장식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훼장식물의 조형미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조화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조화도를 보인 작품들 대부분이 유형 Ⅲ의 입체 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로서, 선정된 작품들 또한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볼 때, 화훼장식물을 연출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고른 조화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7. 화훼장식물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에서는 색채의 조화가 , 유형 Ⅱ와 유형 Ⅲ는 각각 위치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이 있는 작품으로 주변 환경과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과의 조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져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 화훼장식물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감상자들이 원하는 화훼장식물의 형태는 목적 공간에 맞는 적극적인 연출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제 화훼 장식물의 역할은 단순히 지표의 역할을 하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공공예술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점도 적지 않음을 알수 있다.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형태의 디자인 개발과 화훼류의 선택및 이용방안 연구 또한 필연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름다운 도시 경관에서의 녹(綠)과 화(花)의 제2의 창출과 화훼예술의 대중적 기여를 목표로 한 외부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 기획과 연출시, 이용자 선호도 반영및 주변 경관과의조화성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조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허브를 비롯한 약용식물의 정유추출부산물인 floral water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함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floral water의 방부효과를 알아보는 한편 고기능성 방부제품이나 또 다른 아로마 자원식물로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재료는 본 연구실에서 2005년부터 보관 중이던 floral water를 이용하여 곰팡이의 존재 유무를 조사하였다. 정유추출 부산물인 floral water의 오염여부를 3년간 보관중이던 시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Table 1) 총 70개 시료의 floral water 중 13개 시료에서 오염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18.57% 오염율을 보이는 것으로 높은 방부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고, 저장별로 보면 3년 보관 시료 32종의 식물 중 5종만이 오염이 관찰되었고, 2년 보관시료 12종은 모두 오염되지 않았으며, 1년 보관시료는 26종의 식물 중 8종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식물 정유의 부산물인 floral water는 높은 방부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추후 현미경이나 배양실험을 통한 정확한 검증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specialized & extensive overview for ideal features of floral decoration directors by investigations and analizing the students' degree of expectation for various features of those in the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We also analyized the role of decoration director. All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by analizing the date acquired by survey.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s, sex, and degree of education, vocations, and motivations of learning.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levels of expectatancy for some features and did not for other features.
The results can be snmmerized as follows. The level of expectatancy for exrenal features including image(2.65 vs 2.4), and style(2.61 vs 2.32) of floral decoration directors was higher in the group of twenties than that of older group.The younger group also showed higher level of expectatancy for the features of personality of the directors including self-confidence and sense of humor(3.68 vs 3.45), considerate attitude(3.94 vs 3.71), The studens participating in the class to become floral decoration directors compared with those for hobby or vocation generaly showed higher degree of interest and especially in the field of feature of personality and teaching ability.
The most respected images of decoration director included sincerity, close attention and cares. Conclusively, the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members show various demands and higher level of expectatancy. Therefore the floral decoration directors should not only transfer the specialized knowledge & technique. but also influence the students with good personality & keep good educator-student relationship to activate the floral decoration courses of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trapolate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the flower fixation design materials and to find a solution by enabling ecological flower designing through discover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that fix the flowers and analyzing their utilizations. Such use of pro-environmental materials shall lead changes in awareness among the professional florists as well as the consumers. The result of analyzing 67 flower works produced by the environment friendly flower fixation materials is as follows: 1) The design makes the most use of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plants used. 2) The pro-environmental materials were minimized to it functional usage, yet visual beautification was emphasized to make the design harmonized. 3) The design showed excellent coordination with vases. The vase was selected to match the color and shape of the flowers contained in it. This allows the vase to be included as part of the overall design of the work. The 67 flower design works reviewed in this research reveal a common design tendency: the environment friendly fixation materials not only were functionally solid, environmentally safe and recyclable but also played outstanding role as visually beautiful design element. This indeed is a revolutionary finding that could impact on the future of the flower design as a who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effective and well functioning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floral decoration course as a social education at institutes of life long education, by assessing & analizing the result of question are investigation measuring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bout the course. we came to following conclusion b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Firstly, as for composition, 91%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55% wer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48.5% were university students or graduated from universities.
As for their occupation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students(48%), house wives(27%) and office workers (17.6%) in order.
Secondly, Even though 80%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he course, various modalities of teaching were required because only 48% of the lectures were performed with us age of various educational modalities.
Thirdly, the primary reason for choosing the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as due to their expectation for qualified and variously talented instructor.
Therefore, to commensurate with their expectation, the institutes and the instructors should develop good contents and good teaching skills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modalities. Fourthly, to manage highly qualified lecture and motivate active participation and effort to learn, proper test metho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should be developed.
As a conclusion, to meet with the demand of students and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course, the institutes should provide with highly qualified and specialized course with good contents by qualified and talented instructors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and proper test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