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3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광질은 작물의 광형태형성을 조절하며, 그 반응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 서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CPPS)에서 작물에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와 더덕묘를 CPPS 조건에서 재배할 때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red, green, blue, red-green (RG), green-blue (GB), red-blue (RB), red-green-blue (RGB) 그리고 white lights를 이용하여 광질의 영 향을 평가하였다. 환경은 온도 25±0.6℃, 상대습도 55±4.7%, 광주기 16/8시간(명/암),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 (PPFD) 110±5μmol·m-2·s-1로 제어하였다. 도라지묘는 RGB 광 처리 시 초장과 엽간장는 짧지만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왕성하였다. 더덕묘는 GB 및 RGB 광 처리 시 다른 광질보다 짧은 초장과 절간장을 유지하면서도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개선되었다. 다분광영상(multi-spectral imaging)을 활용한 엽면적 분석에서는 도라지에서 결정계수 (R²)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CPPS에서 도라지와 더덕 재배에 적합한 광질을 선정하는 데 있어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3,000원
        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향’ 딸기 유묘를 대상으로, 꽃눈 분화 유도 조건(단일일장, 야간 15°C)과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에서의 형태적 및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여, 꽃눈 분화와 관련된 주요 생장 지표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 다. 유묘는 15일간 각각의 환경 조건에 따라 처리된 후, 모든 처리구를 동일한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 하에 배양하며 총 49일간 관찰하였다. 관부 직경, 잎 수, 엽면적, 런너 수 등 형태적 지표와 함께 건물중 분포, 엽록소 농도 (SPAD), 가용성 당(자당, 포도당, 과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꽃눈 분화 유도 처리군은 관부 직경과 뿌리 생 체량, 잎의 엽록소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생식 생장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초기 지표로 판단되었다. 반 면, 비유도 조건에서는 잎 수, 런너 수, 줄기 생체중, 엽면적이 증가하여 영양생장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 도 처리 28일 이후 관부 내 자당 농도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꽃눈 분화 개시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환경 조건에 따른 딸기 유묘의 생장 반응 차이를 규명하고, 꽃눈 분화 예측과 정식 시기 결정을 위한 유용한 생리적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환경 제어 기반의 효과적인 유묘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라지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 작물이다. 도라지의 뿌리는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기관지 보 호에 효과가 좋아 약재로 이용이 많이 될 뿐만 아니라 가공식 품,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라지의 대 량 생산을 위한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 내 적정 광 환경에 대 한 기초 데이터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라지의 광도 와 광주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라지는 온도 24.9 ± 0.9℃, 상대습도 53.7 ± 10.9%의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 서 48일간 육묘하였다. 광도는 100, 150 및 200 ± 10μmol·m-2·s-1 그리고 광주기는 10/14, 12/12, 14/10h(명기/암기)로 처리하 였다. 가장 높은 광도인 200μmol·m-2·s-1에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12/12와 14/10h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00μmol·m-2·s-1에서 광주기 12/12h의 절 간장은 14/10h보다 유의적으로 짧았다. 200μmol·m-2·s-1에 서 지하부 생육의 경우 광주기 12/12h보다 14/10h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200μmol·m-2·s-1, 12/12h는 도라지 공정 육묘의 광 환경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product development and strateg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weak flower t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weak flower tea on loyalty according to qual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surveyed included those in their 20s to 50s who preferred weak flower t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5, 2024, to February 20, 2024. The results revealed that not only those in their 40s and 50s, but younger people also prefer weak flower tea these day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in addition to modern tea and coffee, research on flower tea will continue.
        4,2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국화의 수경재배와 토경관비재배 시 생육 특 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장, 절화의 생체중 과 건물중은 토경관비재배에서 증가하였다. 식물체 내 전질소, 칼륨 및 칼슘의 함량도 토경관비재배에서 더 높았다. 반면에 줄기 직경은 수경재배에서 3.7mm로 증가하였다. 또한 개화소 요일수도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3일 정도 단축되었 고, 줄기 1개당 꽃 수도 19.6개로 수경재배에서 더 많았다. 결과 적으로 토경관비재배에서 식물체 내 무기염류 함량이 높고, 초장이 길어지고 생체중, 건물중이 증가하였지만 수경재배보다 개화기는 지연되었다. 또한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줄 기 직경이나 꽃 수 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배자의 입장에서 국화 수경재배를 통해 양분과 수분 공급량의 조절에 의한 개화 기의 조절, 조기 개화 및 절화 품질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benaria radiata, commonly known as the Egret Flower, is a critically endangered terrestrial orchid facing rapid population decline due to overharvesting in Korea. Asymbiotic seed propagation offers a promising conservation method for this rare spec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nutrient media on the germination and plantlet development of immature seeds of H. radiata,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optimal propagation conditions. Among four media types, with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75.6%) observed on OBTSG medium, followed by 1/2 MS, OMM, and OSGM. Protocorm development varied across media, with OBTSG and OMM supporting the most robust growth. A two-step culture method involving OBTSG for germination followed by OMM for plantlet development proved most effective, achieving an 84.4% survival rat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edia composition and transitioning for successful propagation. Th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protocol for in vitro propagation, contributing to both in situ and ex situ conservation efforts aimed at preserving H. radiata and other endangered terrestrial orchids.
        4,0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노랑총채벌레는 다양한 작물에 직간접적 피해를 일으키는 흡즙성 해충으로 살충제 저항성 검정 실험 등을 위한 실험 곤충으로 사육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꽃노랑총채벌레를 사육한 결과 시간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개선된 사육법을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된 점으로는 수확한 떡잎을 씻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며 채란 시기에는 채란용 떡잎의 건조를 막기 위해서 사육통 내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고, 알부터 약충 후기까지는 과습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 공급을 줄이고, 약충 후반기부터 번데기가 우화 시기까지는 수분 공급을 다소 늘리는 방법 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특히 약충과 번데기 시기에는 사육통을 층층이 쌓을 수 있으며, 성충기에도 채란용 통을 계단식으로 쌓아둘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선된 사육법을 통해 사육통이나 채란통 준비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채란통이나 약충 및 번데 기 사육통의 사육 면적을 93%로까지 줄일 수 있었다. 성충 생산 수는 사육통 하나 당 적게는 50~100마리 많게는 150~200 마리까지도 가능하였다.
        4,000원
        8.
        2024.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particles, especially those derived from plant extract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s a bio-base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 Maui rose, a flowering plant with medicinal and therapeutic properti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materials because its extract component has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biological activity. In this work, we report on synthesizing and characterizing iron oxide nanoparticles (Fe2O3) extracted from flower plants (Borago), to create persist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bacterial agents. As part of the chemical formation process, Fe2O3 nanoparticles were extracted from specific flower plants utilizing a series of carefully regulated chemical reactions.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of the samples were studied. The nanoparticles produced were analyzed using common microbiological methods and studies (ED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e2O3 nanoparticles and their effect on a range of microorganisms were evalua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e2O3 nanoparticle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with a specific crystal structure and good anti-bacterial activities.
        4,000원
        9.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알리아(Dahlia pinnata Cav.)는 멕시코 아즈텍인들이 식용으로 재배하여 꽃잎은 샐러드로, 뿌 리는 식용이나 약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화훼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용이나 약재로서 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알리아 꽃을 차로 제조하여 다양한 침출 조건과 제다법을 사 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al 소거 활성으로 평 가하였으며, 생리활성 성분은 총 폴리페놀 함량(TPC)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을 분석하였다. 건조된 다알리아 꽃차는 90℃에서 침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침출 시 간은 8분, 침출 횟수는 3회가 적합하였다. 다양한 제다 방법 중에서 증제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 였으며, 그 다음으로 생화, 건조, 덖기 순으로 나타났다. 증제된 다알리아 꽃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0.9 mg/g과 80.6 mg/g으로 건조된 녹차와 비교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은 낮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알리아 꽃이 우수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 고 있으며, 항산화제로서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4,200원
        1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een pesticides, derived from natural sources, have gained wider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ynthetic pesticides in managing polyphagous pests like Spodoptera litura. In this study, the methanolic flower extract of Nyctanthes arbor-tristis (Mx-Na-t) was subjected to chemical screening, and major peak area derivatives 3-Hydroxy-1,2-dimethyl-4(1H)-pyridone (3H-dp) and Tyrosol (Ty-ol) were identified. The toxicity against S. litura larvae of Mx-Na-t (at 500 ppm) was highest in third instars (96.4%), and for 3H-dp and Ty-ol (at 5 ppm) in II instars (76.5% and 81.4%, respectively).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 litura larvae and pupae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ll three extract and phytochemical treatments. Fecundity rates also declined with the treatments, from 1,020 eggs (control) to 540 eggs (Mx-Na-t), 741 eggs (3H-dp), and 721 eggs (Ty-ol). The extract and its active constituents decreased adult emergence and slowed total larval develop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ajor gut enzymes of S. litura decreased in young larvae (II instar) exposed to Mx-Na-t, 3H-dp, and Ty-ol. Fourth instar midgut tissues were severely damaged by Mx-Na-t (250 ppm), 3H-dp, and Ty-ol (2.5 ppm) treatments, which induced structural damage to the epithelial cells and gut lumen. The earthworm Eisenia foetida was used to test for non-target toxicity. Crude Mx-Na-t at 500 ppm (13% and 3%) and 3H-dp (9.3% and 2.1%) and Ty-ol (10.2% and 1.5%) at 5 ppm produced lower mortality than the synthetic chemical cypermethrin at 1.0 ppm (27% and 18%) in filter paper and artificial soil ass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earthworm weights under all three phytochemical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s. Additionally, the in-silico predictions of BeeTox and ProTox II indicated little or no toxicity toward honey bees and other nontargets associated with 3H-dp and Ty-ol. Overall these phyto-chemicals offer an effective pest management strategy.
        1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havioral modulation by genetic changes garners a special attention nowadays as an effective means of revealing genetic function on the one hand and broadening the scope of in situ monitoring on the other hand. The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was treated to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utomatic recognition techniques and computational methods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behavioral changes across photo- and scoto-phases. Movement behaviors are objectively expressed according to parameter extraction and data structure visualization in different light phases. By comapring with the individuals without treatment, activities of treated thrips were changed including decrease in circadian rhythm. Usefulness of automatic monitoring of insect movement in different genetic strains is further discussed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monitoring and diagnosing natural and unntatural genetic disturbances.
        1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lower chafers (Coleoptera: Scarabaeidae: Cetoniinae) are globally distributed, comprising approximately 4,000 described species. They primarily feed on nectar and sap of deciduous trees. The larvae exhibit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crawling on their backs,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 scarabs.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flower chafers fly with their elytra closed, unlike other scarabs that fly with fully opened wings. Šípek et al. (2016) conducted the first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to investigat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haracters of elytra related to the flight mode. Building upon this study, we infer the diversification times and rates of Cetoniinae and its subgroups, and reconstruc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flight mode transformation. Furthermore, we discuss the current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topic.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