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Mattson의 원예치료 원모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모델의 합당성을 고찰하고 여기에서 나타난 제한점을 보완하여 원예치료시 식물과 원예치료사에 대해 대상자가 나타낼 수 있는 반응을 9가지로 세분하고, 각 반응을 하나의 원 안에 표현한 가설적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 모식도가 원예치료의 현장에서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대상자가 식물과 원예치료사에 대해 나타낼 수 있는 부정적, 긍정적, 무반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모식도는 원예치료의 초점이 되는 대상자는 원의 내부에, 원예치료사와 식물은 원둘레 위에 위치시키고, 원예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대상자의 식물과 치료사에 대한 반응을 대상자의 위치변화로 표현함으로써, 원예치료과정 중 일정 시점에서 대상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여 원예치료의 진행사항을 파악하고 원예치료사가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8.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p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a group work in 38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pre-horticultural therapists. Inquiring performance score of group work for objects took 76 percents among upper grades about apprehension of group and an individual, least of things took over 30 percents in upper grades. Performance of those groups work for objects results are shown by high performance score. Scrutinizing score of the achievements of group work, depend on field experience, over one year working groups took the high score than in other group. In accordance with experience growing largely, the score of the group work grows with significance at .00 (<α=.05). 76 percents of objects has not enlightened professionally and then 74 percents of objects felt that they need a professional education of group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