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eratric aicd is a phenolic compound, which is derived from medicinal mushrooms. In our study, veratric acid showed the effect on the re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 negative regulation of NO product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were caused by the modulation of iNOS at mRNA and protein levels. The transcription factors for iNOS expression, including NF-κB, STAT-1, c-Jun, ATF-2, and Elk-1, were down-regulated by veratric acid. Because c-Jun, ATF-2, and Elk-1 is induced by p38, we determined that the effect of veratric acid on p38 expression, which was inactivated. Additionally, Akt and p110β, the catalytic subunit of PI3K, were inactivated by veratric acid. In the inhibition of p38 and PI3K, the inhibition of p38 did not modulate the expression of iNOS, the inhibition of PI3K, although, induced the synergic effect on the reduction of NO production. The results indicated veratric acid required p38 to regulate the expression of iNO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ic oxide (NO) plays a key role in the processes of inflammation and carcinogenesis. Three isoforms of NO 야mthase have been identified: endothelial 띠띠c oxide 와nth앓e (NOS), neuronal NOS, and inducible NOS (이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OS expression in 7, 12-dimethylbenz[alanthracene (DMBA)-induced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Sixty three outbred young (6-week-old) male Syrian golden hamst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DMBA treated group (n=57) and non-treated (n=3), and mineral-oil treated group (n=3). No iNOS activity could be detected in the untreated or mineral oil-treated pouches. 80th cytoplasmic and nuclear stainings were observed in the DMBA-treated pouch kera띠lCX까es. There were iNOS expression 외so in the strorna1 cells. The mean values of iNOS expression in the epithelium increased gradually from control to dysplastic lesions and more to invasive squ따nous cell carcinoma. πle clifference between iNOS expr'않sion in the normal and that the dysplastic and carcinomatous lesion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values of iNOS expression in the stroma increased gradually from control to dysplastic lesions and more to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The difference between iNOS expression in the normal and that the carcinomatous lesions is statistica11y si맑, 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iNOS is expressed in DMBA-induced hamster pouch carcinomas. πlis finding suggests that iNOS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ly induced oral carcmomas.
        4,000원
        4.
        199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ic oxide(NO) is synthesized via the oxidation of L-arginine by a family of nitric oxide synthases(NOS), which are either constitutive(cNOS) or inducible(iNOS). The induction of iNOS in tissues can lead to the sustained production of high concentrations of NO which may exert pro-inflammatory effects including vasodilation, edema, cyototoxicity, and its activity can be mediated by various pro-inflammatory cytokine, including interferonγ(INF- γ), tumor necrosis factor, IL-1 and IL-6. The enzyme, iNOS, became a new target for pharmacologcal research with the aim to find new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Murine macrophages produce large amounts of NO when activated with TFN-γ plus LPS. Murine macrophage-like cell line, RAW 264.7, is a suitable cell model to perform in vitro studies regarding the iNOS system. Artemisin feddei Lev. et Vnt.(Compositae) is a perennial herb growing in Korea. The aerial parts have been used in foik medicine as antiinflammatory, antipyretic, choleretic and diuretic agent. Sesquiterpenelactones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O inhibitory activity from medicnial plants, the aqueous extract of this pla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ctivity.
        4,300원
        5.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성지방(Triglyceride, TG)는 죽상동맥경화증과 같은 혈관의 만성 염증성 병변을 유발하는 인자 중 하나 이다. 종양괴사인자-알파 (TNF-α), 인터루킨-1 베터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 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염증 부위에 T 림프구, 단핵구등의 면역 세포의 침윤을 유도하거나 세포 및 조직 괴사를 일으킴으로써 질병을 더욱 악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 염증에 관여하는 Jurkat T 림프구와 U937 단핵구에 T G를 처리하였을 때 TNF-α와 IL-1β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했다. Jurkat T 세포에서 TG에 의해 TNF-α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U937 단핵구에서는 TG에 의해 TNF-α와 IL-1β 모두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도성 산화질소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가 TG에 의한 TNF-α와 IL-1β 의 발현 증가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iNOS 억제제인 W1400을 세포에 전처리하여 iNOS의 활성을 차단하였다. 그 결과, W1400을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TG에 의한 TNF-α 및 IL-1β mRNA 양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혈관 내 TG의 증가가 T 림프구와 단핵구를 자극하여 iNOS 신호를 거쳐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시키고 혈관염증질환을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결론적으로, 중성지방이 염증성 병변을 악화시키는데 있어 iNOS의 활성이 사이토카인 분비 등에 작용하며 병변을 더욱 악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반면, iNOS 발현을 조절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에 유효한 표적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t is known that Platycodon grandiflorum ha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nhibit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inflammatory macrophages. But the change of bio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steaming is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eaming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Methods and Result : The cytotoxicity of RAW264.7 cells treated with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was measur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concentration of NO in culture supernatants were determined using nitric oxide (NO) assay. And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expression of iNOS, a protein related to NO production. As 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at 25, 50 and 100 ㎍/㎖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in RAW264.7 cells. The production of NO and the expression of iNOS were induced by LPS and suppressed by all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eaming in RAW264.7 cel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teaming process can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7.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마늘대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열수추출물(ASSW)과 70% 에탄올 추출물(ASSE)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ASSW의 폴리페놀 함량은 37.08±1.51 mg(TAE)/g, ASSE의 폴리페놀 함량은 44.7±1.32 mg(TAE)/g 이 함유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DPPH 실험과 ABTS+ 실험에서 ASSW, ASSE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의 경우 1,000 μg/mL에서 대조군인 Vit.C의 50 μg/mL의 항산화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ABTS+의 경우 500 μg/mL 이상부터 대조군인 Vit.C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ASSW, ASSE 모두 항산화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TT측정으로 인해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았던 농도대(5, 10, 25, 50, 100 μg/mL)에서 염증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NO를 측정한 결과 ASSW, ASSE 모두 25 μg/m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분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 약 18%, 23%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염증성 cytokine인 IL-6, TNF-α, IL-1β 및 PGE2의 분비량을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PGE2에 대해 ASSW, ASSE 100 μg/mL의 농도에서 약 55%, 60%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ASSW의 iNOS, COX-2의 발현 저해효과는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ASSE는 100 μg/mL의 농도에서 iNOS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COX-2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되어 특히 50 μg/mL, 100 μg/mL의 구간에서 단백질 발현 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ASSW, ASSE 모두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ASSW 보다 ASSE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ROS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을 억제시켜주는 소재가 될수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괴경 내부에 적색과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색상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으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기호도가 증대된 유색감자의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감자로서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의 추출물에 대하여 ORAC를 통한 정밀한 항산화력의 비교, NO 억제 및 iNOS, COX-2의 발현 억제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2ug/mL 이하 수준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ug/mL 을 처리한 경우 시료 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의 색상이 적색인 홍영은 ORAC value 0.257, 자영은 ORAC value 0.402로 대조 표준액인 trolox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유색의 원인이 되는 안토시아닌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을 평가할 경우 표준액인 trolox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 의한 iNOS 발현 억제는 NO 형성 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NO 형성 억제는 iNOS의 발현 저해 경로를 통하여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LPS에 의해 형성되는 PGE2를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COX-2 단백질의 발현 저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3.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품종은 자색인 자영품종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COX-2 발현 단백질 저해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품종은 ORAC를 통한 항산화 활성, NO 및 iNOS 억제효과가 홍영 대비 30% 이상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므로, 홍영과 자영 품종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서로 다른 기능의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품종별 용도를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