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지석묘라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가 하는 고고학계의 관점을 학사적으로 검토하고 함안 분지 안에 분포하는 지석묘군의 매장시설 배치와 입지 및 분포에 대해 해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처음 지석묘 연구자들은 한 시대의 문화적 표지물이나 사회발전 단계의 증거물로 파악해 왔지만 최근에는 일정 경관 내의 기념물로 파악하는 관점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함안의 지석묘군은 일상의 주거와 섞이지는 않지만 일상의 주거군에서 멀지않은 장소에 축조되는 경향은 뚜렷하다. 함안분지는 주변 남강유역이나 남해안 분지의 양상과는 다르게 대규모 매장의례의 복합단지가 조성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대신 지석묘가 취락 인근에 집중적으로 축조되어 왔다. 함안의 지석묘는 선상 배치되 는 양상이 뚜렷하고 그것은 당시 주민이 일상적으로 이동할 때의 교통로를 따라 배치된 결과일 가능 성이 크다. 특히 남북으로 길게 형성된 곡저평야 하천을 따라 선상으로 배치된 상석 열은 수백 년에 걸친 축조와 의례가 반복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상석 한두 개의 존재가 지석묘군의 위치를 말해주는데 상석 아래와 그 주변에는 10~20여 기 내외로 구성된 매장시설군이 분포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 한 지석묘군이 길면 2km 이상 연접 배치되어 선상의 지석묘 대군집을 형성한다. 각각의 소군집을 매 장의례의 장소로서 공유한 공동체들이 서로 협상하고 협동하여 축조와 의례를 반복해온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석묘군을 경관 내의 특정한 장소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석묘 가 구축된 장소에는 공동체적 경험과 역사적 서사가 깃들여 있어서 기억을 소환하는 능력이 있다. 특 히 기념물적 건축의 축조, 특정한 의미를 지닌 유물의 매납과 같은 수행을 통해 장소가 만들어지고 건 축물이나 매납물의 물질성에는 개인과 집단의 기억이 퇴적되고 오랫동안 역사적 서사가 소환된다. 함 안 분지의 열상배치 지석묘군에는 개인적, 공동체적 경험과 기억들이 퇴적되어 왔기에 역사적 서사들 이 길게 연장되면서 현재의 물질적 흔적이 남아 있는 기념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조경 시공 분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핵심 단어 분석 프로그램인 VOSviewer를 이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연구논문은 총 226편이며, 연평균 5.8편이 발표되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조경학 관련 학회 수의 증가 및 다양화, 조경 산업 확대에 따른 조경 시공, 공법, 재료 등의 연구 기회와 필요성 증가 등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동시 출현 빈도가 높은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Plant, Management, Improvement, Specie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관성이 높은 핵심 단어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사후관리, 기능개선’, ‘식생, 생육환경’, ‘공간, 이용성’, ‘시공성, 경제성’ 등 4개 주제로 연구 영역이 분류되었다. 셋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주요 연구영역별로 시간의 흐름에 기반하여 연구 경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대 변화에 따라 점차 다양한 주제를 포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도록 첨단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조경 시공·유지관리 기술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소재, 공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경 시공 분야에 대해 국내에서 최초로 빅데이터 기반의 서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조경 산업의 사회적 패러다임과 기술 트랜드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조경 시공 분야의 발전적인 연구방향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018년 여름의 폭염은 기상관측을 시작(1907년 10월 1일)한 이래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였는데, 서울은 39.6℃를 기록(2018년 8월 1일)하여 종전의 기록인 38.4℃(1994년 7월 24일)를 뛰어넘었다. 열섬현상으로 인해 도시의 온도가 상승하고 하절기 열쾌적성이 저하됨에 따라 하절기 열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공 사 전·후의 온도저감 및 외부공간 이용자가 느끼는 열환경 개선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여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미기후 실측에 의한 측점별 조경공사 전·후의 온도저감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오전 10 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도는 34.5℃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온도는 32.5℃로 2.0℃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오후 2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도는 37.5℃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 온도는 35.9℃로 1.6℃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후 5시 조경공사 전 평균온 도는 33.8℃이며, 조경공사 후 평균온도는 31.2℃로 2.6℃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 정량적인 연구방법과 결과는 디자이너의 직관적인 조경설계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Research activities and discussions on specialized area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construction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for efficient field management by deriving items necessary for safety management in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rough experts' opinio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elphi analysis to derive "management items" and "safety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landscape type" for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safety for a total of 15 landscape construction specialis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four top items were derived from the "management items" for the safety of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ey includ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 and educ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payment of personal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 In addition, two to five items for each higher item appeared and resulted in a total of 13 lower items. Personnel, organization, budget, etc. for safety management are always required in the field, and the monitoring part of whether these elements are working was also taken up as a management item. In the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each landscape construction" a total of eight landscape type were distinguished, they include: ‘Reinforced concrete work’, ‘Masonry work’, ‘Plaster's work’, ‘Waterproof work’, ‘Stone masonry work’, ‘Pavement work’, ‘Facilities work’, and ‘Planting work’. Furthermore, two to seven sub-items for each construction type were derived, and a total of 35 management items were presented.
택지개발지구조경은 유난히 시공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 근에는 입주자들이 웹 커뮤니티에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문제점을 같이 논의하는 등 다양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 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네이버에 있는 ‘광교신도시 입주자 총 연합회’ 게시판에 나타난 조경관련 게시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시글은 호수․하천과 시설물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광교신도시의 조경공사에서 호수와 생태하천의 높은 비중을 보여준다. 휴게, 놀이, 운동, 편익 등의 기능을 가진 시설물 또한 조 경 공간에서 가장 눈에 잘 띄기에 이에 대한 게시글 비중이 높은 것 을 판단된다. 내용적으로는 질적 수준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환경 적 영향과 하자․부실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둘째, 게시글의 동기별, 시공영역별로 다른 이용자들의 호응도 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시 동기별로는 문제제기성 글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다. 특히 건축물에 대한 게시글에 호응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교신도시 시공과정에서 공원화장실이 혐 오시설의 대상이 되어 그 위치와 외형을 두고 민원이 속출했던 것 을 잘 드러내는 결과로 해석된다.
셋째, 게시글을 시공영역별로 구분한 결과 건축물은 감정적 비 판이 많았고, 그 외는 모두 문제점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상대적으 로 비교해 보면, 포장은 문제점 지적, 식재는 타 사례 비교가 많았다. 포장의 경우 가장 손쉽게 그 편리성과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기에 문제점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의 경우 다른 비교대상 보다 타사례 비교율이 높은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 조경 소재 중 ‘나 무’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적 높아 다른 사례지와 손쉽게 비교된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한 비교가 객관적․합리적인 점도 있었으나, 수 목의 기능보다는 가격이나 이미지에 많이 치중하는 경향이 일부 관 찰된 점은 다소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반적으로 타 조경 사례지와 구분된 택지개 발지구 이용자들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입주자 들의 다양한 반응은 다른 공원녹지와 달리 그들의 생활환경이라는 점과 분양받은 아파트와 관련하여 자산가치의 연장선상에서 생각 하고 판단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따라서 웹 커뮤니티의 게시글은 그 글의 공공성을 가려, 선택적 으로 수용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이용자들의 주된 관심이 어디 에 집중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행정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1개 사례지의 입주자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연구자들의 추가 연구로, 이에 대한 확인과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영구에서는 주변환경과 어우러짐이 부족한 노출콘크리트의 자연과 조화가 중요시됨에 따라 경관 구조 콘크리트의 개발이 주요시 여겨지고 있다. 자연암 형태 경관 구조물은 인공암시장에서 모트타르 방식이 있으나 구조물역할을 하지는 못하며 다른 인공암 들은 경제성 및 시공성이 떨어진다. 이에 노출골재 숏크리트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여 일반 콘크리트로 조성된 비인간적인 공간보다 칼라골재 및 고압살수를 이용한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콘크리트를 개발하며 충분한 역학적 성능을 가지고 있는 고 강도 및 고내구성 재료 개발을 하였으며, 시공성 개선으로 경제성을 갖는 경관옹벽 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골재 노출용 콘크리트 즉 숏크리트 타설용 품질기준을 설정 하였고, 작업성 및 강도와 내구성 확보를 위한 기본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골재노출 콘크리트로 자연환경이 수려한 강원권의 친환경적인 토목구조물을 구성하고자 간이 시험을 통해 시공 단순화를 검증하였다. 숏크리트 공법을 사용하면, 무거푸집 시공과 표면 마무리 과정에 골재노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골재노출 경관옹벽 시공이 가능하고,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좀 더 경관성 확보하여 콘크리트의 단조로움과 회색 이미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노출콘크리트를 제작하고자 모형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제 노출 콘크리트의 시공가능성을 평가 할 것이다.
Recently, because there is an interesting for eco-green growth project for Simple and gray concrete structures shall be improved. This research is a eco-friendly study on the roads on landscape structure.
웰빙 트랜드에 맞는 실내조경 상품을 개발할 때 중요시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우선, 문헌조사를 통하여 웰빙 개념을 정의하고 웰빙 디자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다음, 도출된 웰빙 요소에 대한 실내조경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디자인형태, 공기 정화능, 에너지 효율성, 심리적 아늑함, 적정한 식재, 공간 효율성, 재활용성, 관리의 자동화 등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친환경적 활동에 대하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형태별 차이는 대부분의 웰빙 요소와 관련이 되지만 지속가능성이나 친환경적 활동과 같은 환경기술적 요소와 프로그램과는 관련이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소비자가 웰빙 상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라고 밝혀졌으므로 실내조경 디자인형태 개발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 소비자의 디자인 유형별 선호도 분석에서 소품형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경제적이고 부담이 적은 형태를 소비자들이 선호함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으며 이동과 공간 활용이 자유롭고 범용적인 디자인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소품형의 실내조경 상품개발이 건설사 웰빙 전략으로 적합함을 분석해 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of the various permeable pavement materials such as a break stone pavement (Green block cubic), soil protection pavement (Soil tector), soil cement pavement and ceramic brick pavement under the summer outdoor environment.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s the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day, and long and short wave radiation of each pavement surface. The experimental condition is based on the data on the hottest temperature (August 9, 2006, 37.1℃) of the year. The albedo was the highest on the break stone pavement(0.8) from 12:00 to 14:00. The albedo of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e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from 12:00 to 14:00, respectively. The peak surface temperature and long wave radiation was the highest on the soil protection pavements(56.6℃/627 W/m2). The peak surface temperatures and long wave radiation on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tone brick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51.7℃/627 W/m2, 48.8℃/607 W/m2 and 45.9℃/582 W/m2, respectively.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break stone pavement than on the other pavements. This is mainly due to the high albedo of the break stone pavement(0.8) while the albedo value of a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a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Large heat capacity(2,629 kJ/㎥․K) of the stone brick pavements also contributes to this difference.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soil cement pavement than the soil tector pavem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soil cement pavement while the active evaporation of the soil tactor pavement was not continued after two days from the rainfall event.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s in the urban area, it is recommended to raise the albedo of the pavements by brightening the surface color of the pavement materials. Further studies on the pavement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which can enhance the continuous evapotranspiration from the pavements surface are needed.
Indoor space is not just functional mean, it is watched with deep more concern as ecological and emotional design. Designed and executed indoor theme garden in Yawoori department store, 20 ages were major customer, with objective on differentiation of it's image. The inner side of department store is not suitable for plants growth, but establishment period is relatively short with 3 months. Its results of establishing indoor garden, all customer, clients, and employee were satisfied, and its accompanied effectiveness on event of department store. Therefore, indoor garden has potential for generation of images , and visitor or customers's amenity. And it also makes possibility of coexistence human with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