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 세계가 하나가 되는 초연결주의와 다문화로 대변되는 현 대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글로벌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힐 필요 성이 있다는 자각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문화 교육 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절차와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반응과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미디어에 반 영되어 있는 글로벌 문화 관련 주제를 8개 선정하였고 각 주제별로 학습 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 을 진행하였다. 글로벌 문화 내용과 수업 활동, 문화 수업을 위한 수업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의견 메모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방식에 만족도가 높았으며(76%) 이에 대한 이유는 학습자 참여 수업, 다 양한 매체 활용, 체계적인 수업 구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문화 수업 내 용과 수업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92%) 이에 대한 이유는 문화 학습에 유익함, 흥미롭고 재미있음, 영어 학습에도 유익함으 로 나타났다.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글로벌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글 로벌 문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업 활동의 구상을 위해 정진할 필요가 있다.
        6,300원
        2.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학습으로 한문과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젝트 학습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한문과의 특성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수업을 재구성하여 학교현장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역 의 문화재 ‘水原華城’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주제선정, 준비 및 계획, 수행, 마무 리의 4단계로 약 한 학기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주도 적, 협력적,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협력과 토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과목 간의 통 합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교과의 지식이 단지 암기하여 시험을 통과하기 위한 내용이 아니라 학생들 의 삶과 의미 있게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느끼게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구성 및 학습 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프로젝트 학습이 학교 현장에서 실시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1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dieser Arbeit wurde versucht, die Perzeption der Studenten von dem Kulturlernen im Fremdsprachenunterricht(FU) zu erfassen und über Ausrichtung des Unterrichts für Kulturlernen inklusive Literacies zu diskutieren. Dabei ging ich davon aus, dass der Kulturunterricht an den koreanischen Hochschulen sogennate Multiliteracies einschließen sollen. Dazu habe ich Studenten befragt, um ihre Perzeption von Literacices beim Kulturunterricht zu erfassen. Davor habe ich ein paar Terminologie wie Literacies, Cultural Literacy, Inter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und Information Literacy neu definert. Nach der Analyse der Umfragenresultat habe ich die Aufsätze von den Unterrichtsführungen des Intercultural Literacy und Critical Literacy untersucht. Die Analyse hat es gezeigt, dass die meisten koreanischen Studenten Kulturelernen im FU als wichtig fanden. Dagegen glaubten die ähnlichen Zahl der Studenten, dass Critical Literacy im Kulturlernen weniger nötig als andere Literacies war. Das hängt von dem Schulsystem von Korea, weil Lernerinnen in der Schule Kritik nicht so einfach üben könnten. Daher soll man im Kulturlernen an den Hochschulen Critical Literacy behandeln. Außerdem soll man beim Kulturlernen Schwerpunkt an das Interculral Literacy legen, um Studentinnen bei der Vorbereitung auf die globale Welt zu helfen. Die Arbeit hat auf der Grundlage der vorherigen Untersuchungen darüber diskutiert, wie man Intercultural Litarcy und Critical Literacy ins Kulturlernen einführen kann.
        5,8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découvrir les méthodes d'enseignement-apprentissage intégré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 pour développer la capacité de communication basée sur la compéhension du contexte de la culture pour les étudiants en spécialité de français. Les étapes de recherches suivantes sont : (1) établissement de l'objectif ducours, sélection et organisation des contenus en tenant compte des résultats des études précédentes et (2) suite à la description du contexte culturel, réalisation de la tâche intégrant la langue et la culture française, ainsi que les quatre compétences à savoir expression orale, écoute, lecture, écriture. Nous prévoyons les résultats suivants grâce à cette étude. (1) Les éléments culturels contribuent à motiver les apprenants dans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s langues étrangères; (2) Les documents authentiques aident les apprenants à comprendre la langue et la culture cible mais aussi à acquérir une capacité de communication; et (3) Les apprenants développeront la compétence interculturelle par des procédures comparatives entre la culture de leur pays et la culture cible tout en accomplissant la tâche.
        5,200원
        5.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how consumer learning is used to cope with stressful consumption experience is important in today’s competitive marketplace. According to the Customer Dissatisfaction Study (2006), only 6 percent of consumers who experience a problem try to learn about solutions with some help from firms. By understanding how consumers and learn cope and handle service failure, firms can enhance their service recovery process to effectively deal with consumers’ frustration. This knowledge can positively impact corporate image, consumer repurchase intentions, satisfaction, and loyalty (e.g., Mittal and Kamakura 2001). As such, the current research aims at providing insight on the importance of situated learning in coping with stressful consumption experiences. Situated learning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ontext as well as existing consumer knowledge in shaping an individual’s ability to cope with stressful service experiences.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other individuals, the context of these interactions, and the role of individual cognition through mental models play an important role in situated learning. Such interplay is pivotal in mediating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cope with unfavorable service episodes. Past research has alluded to learning process in the context of coping (Duhachek 2005; Endler and Parker 1990; Pavia and Mason 2004). Extant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 situ learning as an essential mechanism to coping with anxiety and str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considered learning as a component of coping. We believe that situated learning is a construct separate from coping that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aim to establish the link between situated learning and coping. We also identify key antecedents of situated learning and relate such antecedents of need for control, need for closure and trust to the central concept of psychological closeness to the consumption problem at hand,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ituated learning and coping. We study the model in context of eastern (China) and western (USA) cultures.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s in USA and China. Individuals who have encountered stressful service situations were requested to undertake the survey. The items used to represent various latent variables were pretested in both the cultures to ensure face and content validity. The sample comprised of a total of 318 (186 U.S. and 132 Chinese) participants.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he latter resulted in good fit for the model. Next, using Steenkamp and Baumgartner’s (1998) guidelines for cross-cultural studies,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tested. Finally,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For U.S. consumers, need for control, need for closure and trust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closeness to the consumption problem, which positively affected situated learning and coping. For Chinese consumers, need for closure and trust had a direct influence on psychological closeness.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loseness and situated learning, suggesting that the antecedents of need for control and need for closure had a direct effect on situated learning, which positively affected coping. This means that unlike U.S. consumers, Chinese consumers did not necessarily aligned themselves closely to the problem to learn about them. Their need for control and need for closure directly affected their situated learning,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ping. Interestingly, unlike U.S. consumers, Chinese consumers did not trust their service providers enough to help them learn and cope.
        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EO의 혁신성, 학습적 문화, 정보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 한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김해시에서 활동하 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12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CEO의 혁신성과 학습 문화는 각각 기업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기업의 혁신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혁신은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며 대기업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원 이 부족하지만 CEO의 경영 스타일과 학습적 문화와 같이 거대한 자본을 들이지 않는 혁신활동으로도 기업의 혁 신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소기업에게 있어 혁신이 기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에 중소기업의 CEO는 실무적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달리 혁신성과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6,100원
        7.
        200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accompanies the learning of the target language’s culture. But English is said to be not a foreign language, but a global language. What should culture learning be like in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EGL)? This paper aim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s of cultural learning in EGL. First, the features of EGL learning are explor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EFL learning. Second, it is discussed why EGL learning does not match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n which the communicative approach has been based. Instead EGL learning need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hird, it is considered what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for ICC. The main section seeks out the ways in which cultural contents involved in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 to develop ICC. Four (4) series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nalysed in respect of the ownership of cultures, the types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 result admits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not suitable for developing ICC. Finally, some directions will be deduced on how and what teaching materials are equipped to develop ICC in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6,400원
        9.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요인을 교사, 학생, 교육내용(교과서)이라고 할 때, 각각의 독립적 특성이 따로 존재할 뿐 아니라, 삼자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호 관계성을 찾아보면, 1) 교사와 학생 양자 관계 2) 교사와 교과서의 양자 관계 3) 학생과 교과서의 양자 관계 4) 교사와 교과서와 학생의 삼자 관계 등과 같이 각각의 상호 관계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문 교육에 있어서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노력도, 결국 이 교사-교과서-학생의 문제 혹은 이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었으며, 이 삼자 관계에서 존재하는 변인에 대한 이해의 증진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추어 편찬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변화된 특성을 파악하고, 다른 변인으로 작용할 두 측면, 교사와 학생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기 위한 교육내용은 달라진 것이 없으나, 진술 방식 곧 전통문화의 이해 방법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7차 한문 교과서가 6차 교과서와 달라진 점은 크게 1. 문법 설명 위주에서 문장 독해 중심으로, 2. 한문 교과 위주에서 통합 교과 수용 방향으로, 3. 정적인 강의 자료에서 학생의 동적인 체험 활동 중심으로, 4. 문자 중심의 제시에서 그림, 매체 활용 중심으로 등의 네 가지로 파악하였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의 방법도 각각 변화된 중점에 초점을 두어, 독해 중심 교수-학습법, 통합 교과 교수-학습법, 체험 활동 교수-학습법, 매체 활용 교수-학습법이라는 용어를 설정하고, 각각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도입-전개-평가-정리의 수업 단계별로 교사와 학생의 입장에서의 개선점 또는 유의점을 탐색해 보았다. 7차 교과서가 갖는 변화된 모습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으로 이어지느냐 마느냐는 교과서의 변화만도 아니요, 학생의 변화만도 아니요, 교수-학습의 실질적인 주체 역할을 수행하는 한문 교사에게 달려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과의 위상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재량활동 가운데에서도 그 교과의 효용성을 입증하고, 교육과정에서의 확고한 교과 위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한문 교육을 지도하고 있는 한문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그러나 이러한 한문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조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교단 지원이 함께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한문 교사들이 새로운 교과서의 편성에 알맞게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을 익힐 수 있도록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한문 교과 연구회나 한자, 한문 교육 학회, 지역 및 전국 단위 교사 공동체 모임 등을 통해서 서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 공유와 교수 자료의 공유가 더욱 요구된다. 공유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고, 이렇게 공유된 교수-학습의 정보를 토대로 재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 학교별로 고립되어 있는 한문 교사의 전문교과 교사로서의 학교 내 위상이 제고될 것이며, 그러한 교사의 위상 제고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재량활동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는 한문 교과의 위상과 직결되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모든 한문 교육 관련 학자나, 교사, 교육 관련 지원 담당자와의 긴밀한 상호 정보 교류를 맺어야 하며, 교사 자신은 부단한 자기 연찬과 함께 다른 한문 교사들과 敎育相長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며 가까운 지역으로부터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 경험과 문제점, 개선책을 공유하고, 나아가 전국적으로 교과 공동체적 인식을 함께 가져야 할 것이다.
        8,400원
        11.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language learning i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paper intends to include gesture competence as an indispensable constituen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Gesture competence refers to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different gestures from each cul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lace a high value upon the role of gesture competence as an entree accessible to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This paper serves to help foreign language leam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esture competence with which they can speak a foreign language more naturally and more easily.
        6,600원
        12.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 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601교 중 102교, 6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학교조직 몰입에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를 경유하여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었고, 또한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 율성,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하는 학교조직 환경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수과정 제공, 컨설팅 지원, 교사 공동체 학습 문화 형성, 교사 리더십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는 학교조직문화에 영향만 받는 수동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교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능동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사회적 갈등의 해소와 사회발전과 통합, 창의적 인재양성의 매개로 주목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서 공예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를 통하여 공예의 통합적 특성을 제고하고, 2016년 전면 시행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교육활동에서 문화예술 공예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역할과 운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에서 예술과목과 타 교과간의 융합수업의 강화는 공예가 가지고 있는 통합적 속성들을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의 목적 및 목표와 같은 지향점을 가진다. 공예교육의 통합적 속성은 다른 교과 간 연계·융합교육과 체험·참여형 교육으로 타 학문과의 통합적 지식을 구축하여 미래의 문화를 읽고 창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운영방안을 기조로 자유학기제 문화예술 공예교육활동에 대한 수업사례와 제안을 통하여 문화예술 공예교육으로 학생들의 행복한 미래를 설계 할 수 있는 확장된 사고와 창의적 능력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 안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의 미래를 위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의 공예교육의 사례와 효용성은 공예교육을 중심으로 한 일부라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형태의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을 위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에 대한 모색과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1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개혁과 수업의 개선에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과 변화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문화에 대하여 시론적 논의를 한다. 한편, 문화마다 생활양식이 다르듯이 학습문화에 대한 비교문화연구를 함으로써 독특한 학습문화의 가치를 인식함과 더불어 그 차이를 연구하여 학습문화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려고 한다. 학습문화는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한 영역과 분석수준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편적 이해에 이르기 쉬우므로 학습문화를 “실천양식으로 학습문화”로서 연구의 초점을 둠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연구 수행의 이점을 밝힌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방법론적 검토를 하여 “실천양식으로 학습문화”에 적절하고 심층적 이해의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탐구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