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examines English loanwords appearing in a Korean television drama, Start-up, to understand how English is incorporated into Korean discourse in the settings of everyday lif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drama contain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English loanwords presumably due to the protagonists' young age and the tech-based start-ups that it features. On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nglish loanwords in their forms is the extensive use of ‘English-hada’ words and other types of words combining Korean and English elements. In addition, the use of English often extends beyond the word level to phrases or even sentences. The functions of English loanwords in the drama were found to fill a lexical gap in the Korean language, strengthen the sense of belonging and bonding among the members of a particular generation or group, create a humorous atmosphere, and symbolize professional competence and thus an elevated level of the speakers' social status.
The German-Chinese pocket dictionary (《德華字典》) is a collection of daily-life words and expressions based on the local dialect of Qingdao and nearby town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editor named Albrecht Welzel (1867-1932) was a government official of Kiautschou-Bay, German colonial concession, from 1898 until 1914. He edited this dictionary, when he held his post as police chief from 1901. According to him, the main reader should be German who lived in Shandong. The notable features of this pocket dictionary are being entirely arranged by German in the alphabetical order, and using the spell system which was created by German linguists and diplomats, Paul Georg von Möllendorff (1847-1901). It consists of three parts: a preface, main text and an appendix. In the preface the editor explains briefly Chinese pronunciation rules, including consonant, vowel, diphthong, tones and intonation. It covers many words and sentences from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educational, religious fields. It not only reflects the social life at German colonial concession in the province of Shandong at that time and presents their contact with Chinese folk, but also shows the intellectual/spiritual world of the German government officials circles through the collected words and expressions. 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linguistic material, this dictionary has not yet been studied in detai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German words were adopted into Chinese, and to determine the features of an era of this dictionary.
Shim, Young-Sook. 2016. “A Study on Semantic Relation of English Loanwords with Their Corresponding Korean Word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281~316. The premise underlying the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by way of replacing loanwords with Korean existing words is that loanwords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words occupy nearly identical semantic domains and thus are interchangeable.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this premi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relation of English loanwords with their corresponding Korean words recommended for pur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database consisting of news articles in the economy section of Korean newspapers, six loanwords were chosen for an in-depth analysis. With Trends 21 Corpus and Naver being primary tools, the loanwords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words a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co-occurrence, collocation, and usage. The findings show that the loanwords semantically relate to their corresponding Korean words in various ways, with the words across the pairs presenting varying degrees of semantic likeness, difference, and inclus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Qiu, Lina. 2016. “The Loanwords Usage of Chines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7~6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atistically sort out the usage of Korean loanwords usage from Chines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causes. Standing in the position of Chinese students, revealing their loanwords' actual applications not only can help them to recognize their mistakes in loanwords, but also can support them to correct the mistakes. From the standpoint of academic research, we should find out the reason why their frequent mistakes, which is very helpful to loanwords teaching, to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 situation, designed to pass the actual investigation to observe the use of loanwords by Chinese students. And also try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ir use. To this end, this paper conducted a number of written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Especially, when I try to use a variety of ways in the interviews which I will introduced in chapter 2. Survey data show that their use of loanwords are more complex than we think. However, the reasons can be traceable. In this study is to try to explore the causes just like influence of Chinese-Style English, influence from China's loanwords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problems of loanwords, psychological factors.
본고에서는 일본어 차용 문제, 특히 일본어 한자어의 홍콩사회로의 전파 및 영향에 대해 중점적 으로 논술하였다. 본고에서는 趙元任과 鄒嘉彥(1976년)의 “더 넓은 시각으로 차용어 문제를 바라 봐야 한다”는 견해를 빌어, 더 넓은 관점에서 차용어 어휘의 현상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음역어, 방역어(仿譯詞), 일부 ‘사교귀국(詞僑歸國)’어 및 형태나 의미를 변화시킨 차용어 등을 차용어 범 위에 포함시켰다.
홍콩에서는 이제껏 많은 외래 차용어가 유행하였는데, 그 중 ‘일본어 차용어’는 여러 형태로 열풍 을 일으키며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주목할 점은, 최근 이러한 일본어 차용어의 사용이 더 이상 ‘시대의 요구’에 의해서가 아닌 단순한 홍보나 유행, 대중 영합을 위해 이루어지며, 어의 차용에서 형태소 변형, 심지어 일본어 문형과 중문 한자가 뒤섞인 칼럼이나 문장들이 창작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전달 혹은 응용 방식이 중국어의 규범을 혼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홍콩 잡지 미디어에 사용된 일본어 차용어를 수집하여, 이를 대상으로 대중 시민들의 인지 상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홍콩사회에 전파된 일본어 차용어의 현상과 규칙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언어 오염 현상에 대해 지적하여 교학 자 및 문자 학자들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편 최근 홍콩에서 유행하는 일본어 어휘를 수집하고 그 안에 나타난 문화 및 언어 추세를 분석 하였다. 대부분의 언어 자료는 일상 회화나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하는 잡지에서 수집하고 일본어 한자 사전을 참고한 뒤, 일본어 번역자를 통해 일본어 한자 및 관련 차용어의 자형, 자음, 자의를 감수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사, 사회인사, 대학생 및 중고등학생을 포함한2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연령대의 일본어 차용어에 대한 인지 상태를 이해하고 광둥어에 대한 침투 정도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 일본어 한자의 원형 차용과 기존 한자와의 의미 관계를 통해 일부 자형 및 자음의 혼란이 야기됨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차용어의 유입은 문화언어 접촉 및 교류 아래 불가피한 현상이다. 긍정적인 측면에 서, 일본어 차용어의 대량 사용으로 홍콩 광둥어가 더욱 풍부해지고 활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 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차용어 사용자들은 취사 선택을 신중히 하고, 그 의미를 규범화하여 어 음 및 어의상의 혼란을 줄임으로써 언어의 표현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청말민초(清末民初) 일본인들에 의해 새롭게 조어된 신조어들이 일본에서 번 역된 도서나 일본에 유학한 중국인들에 의해 대거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한편 8,90년대 일본의 신조어는 일본 문화와 기술의 유행으로 인해 중국과 대만, 홍콩 등지로 전파되었고, 이는 일본어 신조어가 중국어로 유입되는 제2의 전성기가 되 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는 과거에 대규모의 언어접촉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두 언어 사이에는 대량의 동형사(同形詞)가 존재하고 있는데, 일본문화청이 발간한 《中国語と対応する漢語》(文化廳,1978) 중에는 75%가 동형사(同形詞)이며, 그 중 대부분이 의미가 같거나 혹은 어휘의 의미가 매우 비슷한 「S(Same)」류에 속하고 있다. 모국어의 대한 능력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에게 “글자를 보면서 뜻 을 알게 되는” 현상으로 옮겨가고, 비교적 쉽게 일본어 속의 한자어휘를 습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중국어 속의 지식으로 일본의 한자 어휘를 이해할 때는 실 제 어휘의 의미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경우가 쉽게 일어나 는데, 이는 두 언어 사이에는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은 21세기(2000년부터 지금까지)까지 발간된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일 본에서 온 어휘”가 홍콩 사회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특징 및 그 배경을 살펴보고, 홍콩의 일본어 학습자들이 중국어와 일본어의 혼란스러운 언어 환경 속에서 일본 한자어를 습득해 나가는 어려움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Choi, Kyung-ae. 2012. A study on the unexpected phonological change in the English loanwords in Korean from Japanes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295-3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sound change by tracing the transition of English loanwords in Korean, which came from Japan, from phonological and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The Japanese-style English loanwords from an earlier period have been transformed into newly adjusted forms at a surprisingly rapid rate and many of them have shown unexpected sound changes which went against general Korean phonological rules. This shows that sound change is not necessarily expected to occur in accordance with language-specific phonological rules. It can occur through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will of speakers against their native grammar at a surprisingly rapid rate.
漢字文化圈의 올바른 外來語表記方法을 알기 위해 韓國신문과 日本신문의 상대국 관련 외래어 표기를 比較考察했다. 日本신문은 『朝日新聞』의 2009 년 3월 記事중 韓國관련 기사를 調査對象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日本『朝日新聞』은 韓國固有名詞를 漢字로 적는 것을 原則으로 삼고 독자는 自國語發音 으로 읽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日本이 漢字文化圈의 漢字語는 外來語 가 아닌 自國語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漢字文化圈의 共通되고 오래된 傳統인 데, 日本은 그 傳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日本人은 漢字文化圈外來語를 ‘自國語中心主義’로 便利하게 사용한다. 反面에 韓國신문들은 日本고유 명사를 한글로 日本語現地原音을 적고 있다. 이는 이미 準固有語化되어 있는 漢字語를 현행 外來語表記法이 外國語로 잘못 취급하여 잘못된 ‘現地原音主義’ 을 적용해버린 것이다. 그 결과, 韓國독자들은 日本고유명사 표기를 대하여 發音도 不便하고 意味도 알기 어려워 큰 不便을 겪고 있다. 따라서 韓國政府는 韓國語의 오랜 傳統을 回復하여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發音으로 읽게 해야 마땅하다. 그래야만 韓國국민이 正常的인 言語生活을 할 수 있을 것이다.
Japanese has borrowed many words from English through contacts with English-speaking countries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borrowed words have been integrated into the Japanese lexicon, observing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rules of Japanese. Among the types of loanwords from English, this research examines abbreviated English words in Japanese by classifying them into five categories: (i) consonantal abbreviations, (iil acronyms, (iil) initialism (iv) clipping, and (v) blending. Examination of the present data shows that more than half of the tokens are examples of clipped words, suggesting that clipping i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abbreviating borrowed words into Japanese. lnitialism comes second in making abbreviated expressions, even applying to newly coined Japanese English (]E) words. After that, this study explores linguistic motivation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abbreviations in Engli h loanwords. It shows that economy and distinctiveness/contrastiveness are two most important motivation for the formation of abbreviations of English loanwords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