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proposes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in tourism advertising to resonate with and respond to unconscious desires that are embodied within consumers. The ethnographic research first questions how consumers form their desires regarding tourism and illustrates that advertising does not create desire; consumer desires for travel, often embodied, exist before consumers are exposed to advertising messages. Such desires derive from past experiences, imagination and sensorial imageries learned from stimuli. Consumers react positively to multi-sensorial, empathetic messages. AI technologies, such as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can be used to apply traditional cultural symbols in art design (Lin 2021). Virtual mirror-based learning technology mirrors back to individuals their social network, identifying their most important contacts, influencers, and communication bottlenecks. The research aims to connect existing and future new technologies that provide the “posthuman mystic,” to offer consumers to experience a new level of their own being, giving room for different kinds of human relations--friendship, connection, and novelty --through one’s avatars (Bolger 2021) and to construct a “decentered, highly relational mode of reality giving agency to everyone, not only to all other humans, but to natural and technological subjects as well” (Delio 2020, p. 115). Such virtual world, with an example like the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contextualization and wholemaking from the standpoint of posthumanism and mysticism” (Bolger 2021, p.768). The research then deciphers consumers’ positive reactions to websites that resonate with imagination sensorial desires, past experiences, desired activities and “LIVE” desire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 summarizes cross-disciplinary research of tourism advertising and new technologies 4.0 and conceptually illustrates how the applications of new technologies 4.0 may assist with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multi-sensorial desires, imagination, and memories to design empathetic advertising messages. As such, advertisers may be in systematic dialogues with consumers and create multi-sensorial messages that resonate consumer desires.
        3.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기술에 대한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과학기술이 사회 전반적으로 대규모·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신기술이 사회에 수용되려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기술이 국민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잘 평가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기술영향평가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50년째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학술연구와 수많은 신기술 대응 정책을 통해 논의 된 이후 시대적 변화와 흐름이 있었기에 글로벌 학계와 정책에서 신기술의 미래사회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분석 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진국의 기술영향평가 창안 방식과 우리나라에서 발전된 방식이 다름에도 불구 하고 그동안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고려되어야 하는 예측요소와 단계 등 연구 변화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인식도에 대해 기술 이해도, 전문성, 성별특성 세 개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요소에 추가해 신기술 예측요소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 개선된 기술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학술 및 정책적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9,300원
        4.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운항이 유인(有人)으로부터 무인(無人)상태로 변화함에 관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사람의 탑승을 전제로 하여 마련되었던 전통적인 법적 패러다 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 선박의 AI 및 사이버보안과 같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책임 및 해상보험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칠지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개념에 관하여 간단히 소개를 한 뒤, 영국 법과 법원이 자율주행차량 및 자율운항기체에 관해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와 자율주행차량의 보험제도 등을 다루기 위해 새 로이 입법된 영국 Automated and Electric Vehicles Act 2018을 소개한다. 영국법제하에서의 AI 책임 문제에 관하여서는 AI의 법적 지위에 기반하여, 패러다 임 시프트가 일어나는 동안의 현실과 법제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한 제안을 하 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상보험 관련법의 해석 관련, AI 및 사이버보안 등은 자율운항선박 감항성의 요인으로서 묵시적 보증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측가능하지 않은 수준의 사이버보안 문제 등도 부보가능한 위험으로 해석하여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본 논문의 목적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 고 그에 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9,300원
        5.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구성주의 이론가들의 국제규범(norm) 연구에 대한 비판적 문 헌연구를 바탕으로 신기술과 인권 담론에 발현된 규범 클러스터(norm cluster) 양상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핵심 질의는 한국 정부가 유엔인권 이사회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는 ‘신기술과 인권’ 의제를 주도하면서도 이 와 개념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자율살상무기금지 규범에는 소극적인 ‘선 택성’의 원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국제규범이 메타 규범·구성규범·실행규범의 다층적 성격을 가진다는 규범 클러스터 연구의 적용을 통해 신기술과 인권 의제가 메타규범에 자율상살무기 금지규범이 실행규범에 해당하며, 이러한 선택적 규범화 전략이 사실 자연스러운 것 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신기술과 인권 관련 국내·외 담론에서 확 인되는 ‘파편성’ 역시 우리 정부의 전략에 영향을 미친바, 이는 본 연구 가 국내 핵심이해관계 당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인터뷰에서도 확인된 다. 이에 더해, 메타규범 차원에서는 한국의 역할제고에 기여하며 뚜렷한 정책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신기술과 인권 담론이 실행규범 차원에서는 안보정책 기조와의 충돌이라는 가시적 비용을 수반한다는 점 역시 고려 되었다고 볼 수 있다.
        8,000원
        8.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지능 연구개발과정에 많은 인적자원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현 개발방식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 개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소수의 관리자와 많은 일반작업자들의 분업화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며, 이는 마치 일종의 경공업의 형태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컴퓨터라는 기계장치로 데이터라는 디지털 자원을 다루어 생산의 효율성 을 높이는 인공지능 개발과정을 4차산업시대의 디지털 경공업이라고 명명한다. 이전 산업혁명시대에서 경험한 것과 마찬가지로 인 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화하고 활용한다면 디지털 경공업은 2차산업혁명 못 지 않는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한 인 력양성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
        1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world become closer and many people travel around the world, infectious diseases are likely to be prevalent, Dengue, chikungunya, Zika virus would become endemic diseases in many places in the world as climate is more likely to be fit to mosquito vectors than before. As a matter of fact, Aedes albopictus mediating these diseases became endemic species in Japan and France recently. One of the things that we employ is that we need to apply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in disease vector control so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ector species in time as they are present unexpectedly. Here in this presentation, many lines of current state-of-the-art technologies to control the disease vectors using big data informatics application and machine learning strategies. With this trend, this presentation will add future directions of integrated vector management with new research endeavors to monitor the population of disease vectors concisely and precisely,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disease vector management will be addressed in this presentation. This will chang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pparatus to monitor and control disease vectors.
        11.
        2015.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욕창방지용 휠체어 쿠션의 신기술을 소개하고, 이 신기술에 따른 압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6월 18일부터 23일까지 6일간 진행되었다. 일반 성인 남녀 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은 신기술의 욕창방지용 휠체어 쿠션 세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쿠션은 45분간 적용되었으며,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기 위해 X3 Medical v6.0을 사용하였다. 압력 측정의 맨 첫 번째 구간의 최대 압력 값, 맨 마지막 구간의 최대압력 값, 그리고 첫 번째, 중간, 마지막 구간을 합하여 3으로 나눈 평균 최대 압력 값을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 각 쿠션별로 측정된 압력 값을 분석한 결과, Java 쿠션이 최대 압력의 초기, 후기, 평균값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Lock 쿠션은 최대 압력의 후기 값과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Galaxy 쿠션은 최대 압력의 초기 값이 가장 높았다. 결론 : 3가지 쿠션의 각 최대 압력 값이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욕창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쿠션을 결론짓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45분 동안 적용한 기준으로 측정한 최대 압력의 값은 Java 쿠션이 Galaxy와 Lock 쿠션보다 낮게 나타 났다. 그러나 욕창방지용 휠체어 쿠션 세 종류가 가지고 있는 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여 보다 긴 시간동안의 압력 값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반인이 아닌 실제 휠체어를 장기간 사용하는 대상자로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가 있다.
        4,000원
        1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peedy, convenient and easy detec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and on the contrary, studies on development of traditional detectors applying biochemical characteristic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This review examined trend in current studies on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fields of selective media, immuno-assa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icroarray, terahertz spectroscopy &imagination and so on. Most traditional methods to detect the organisms from food matrix rely on selective media and such a method have disadvantages like long time requirement and distinguishing one species only from each selective medium although they are highly economical. Various new convenient methods such as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paper-strip kit, fluoroimmunoassay etc. have been developed. The most ideal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foods should be accurate, convenient, rapid and economical. Additionally, it is needed that capabilities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automation to be applied to industries.
        4,300원
        1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of repair methods of water leakage cracks using self-healing technologies for subway tunnels is presented. In order to apply crack self-healing water stop agents and quick setting agents in subway tunnels, laboratory and field tests were performed based on various previous research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ment of crack repair materials and their new repair methods. Therefore, various repair materials were examined for new repair materials with self-healing capability applied to crack sealing method and to patching repair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water leak repair methods using water stop agent, quick setting agent and patching materials using self-healing ingredient were effective under the subway tunnel conditions. It is preferable in water leak repair to add self-healing components to sealers and water stop agents.
        1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information in patent databanks as a strategy in prospecting for new technolog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detail the major free electronic database sources for patent information, the patent documents, the patent document structures, INID codes (Internationally Agreed Numb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Data), indexation, references, and classification notions. Additionally, we review and analyze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of the Center of Dissemination Documentation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CEDI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INPI) of Brazil for the period 2000 to 2011. Results - The research shows that the technologic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atents could provide a wide range of functionality within companies and universities. Conclusions - In recent years, (CEDIN), a specialist in intellectual property, has been serving internal and external users by providing guidance on the basis of patents and other literature, but the number of users served is still small. In order to familiarize more potential users of such technological information, task forces should be created among INPI, universities, and companies.
        1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breeding is based on understanding genetics and mechanical systems to improve crop production. During the last century, conventional plant breeding, mostly based in the evaluation at the phenotypic level, had been successful in increasing crop yields. Within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significant crop improvem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molecular genetics and genomics to improve efficiency and accuracy in plant breeding. One of the key global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is the production of enough food for an ever increasing world population. Agricultural productivity needs to be increased while addressing the issues of scarcity of arable land and water, impact of changing climate and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mprovement of crop yields on limited agricultural resources requires concerted efforts us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multiple disciplines.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being conducted to enhance crop improvement and meet resource needs. This session will address new plant breeding paradigms through the integ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The paradigm shift has occurr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five key components for crop improvement: 1) continued improvement of genomic tools, 2)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open source data, 3) advanced analytical methods such as mathema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4) adaption of non-crop information, and 5) increased importance of breeding operation enhan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