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고용관계특성과 직무특성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작업치료사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작업치료사의 고용관계특성, 직무특성, 직무만족도를 설문하기 위해 기존 Kim(2010)과 Lee(2013) 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였다. 고용관계특성,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는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직무특성과 고용관계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평가 결과 대상자의 월평균 급여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용관계특성과 직무특성의 일부 항목은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의 월평균 급여와 고용관계특성에서 보상공정성과 참여기회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직무특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보상공정성, 참여기회, 월평균 급여임을 알 수 있었다. 치매안심센터 내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상공정성, 참여기회, 월평균 급여에 대한 고려와 관련 제도의 정립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present study,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was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orking condition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order to fulfill our objective, profession and working environment, safety recognition and education, safety activities, physical conditions and accident experience were surveyed. To collect information and opinion in the field, face-to-face interviews wer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arried out. Also, food service industry's accidents reported by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t 2014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n the resulting of analyzing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safety/health train and management wer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al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engaged in the field of the film and television artist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profession and working environment, safety recognition and education, safety activities, accident experience, and job stress survey.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s to be used for 302 worker directly interview research. Safety awareness level of himself or herself was "middle level" of 3.1 points. Those of colleague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evaluated to be low as 2.8 points and 2.5 points,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12 months, 4.6% of total workers have received an industrial safety health education for work-related accident or disease. Regarding cases of having experienced work-related accident or having been exposed to work-related disease over the past 1 year, 20.2% of total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accident. 16.2% of total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work-related disease. And the workers are approximately one's own subjective feeling of physical symptoms that have appeared. In addition, the film sector workers in particular occupations men than women have higher job stress. Preventive education for industrial safety is required to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Safety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and to reduce accident. Safety and health guideline is requir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in advance. Finally, the actor and their staff members to reduce the stress, mental health care and education carefully needs to be in parallel. Also, when taking measures to reinforce safe work environment, it needs to be protected.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직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직무 만족도 향상과 안경원 운영 효율증대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안경원 근무 안경사가 응답한 10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지위를 포함한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만족도를 기술적 통계 및 one-way ANOVA 분석하였다.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제가공, 피팅 및 이직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 경력이 짧을수록, 서열이 낮을수록, 월 소득이 적을수록 검안, 조제가공, 피팅, 응대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다. 직무 만족도는 모든 항목에서 남자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서열이 높아질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다소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시간 항목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 만족도는 업무해결능력 및 자율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목적 :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에서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직무특성을 알아보고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CBR에 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립과 작업치료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국내 보건소 및 치매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 CBR에서 작업치료사 직무 내용은 환자평가, 예방교육, 일상생활활동훈련, 인지 및 지각능력 증진 순으로 많았 다. 현재 실시 중인 작업치료 직무 중 힘든 서비스 형태로는 행정적인 업무, 지역사회 교육하기 등이 있었고, 작업 치료 서비스 시행이 어려운 이유로 다른 전문 인력 부족, 프로그램 기획력 및 조직력 부족, 다른 전문가와의 의사소 통 등이 있었다. 고용안정성은 불안정한 편이었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율성은 어느 정도 보장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고용형태와 고용안정성, 근무처와 자율성, 환자수와 승진기회는 부적 상관성이 있었고, 한편 월 급여와 자 율성, 학력과 자율성은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CBR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역할 정립의 필요성 둘째, 작업치료 업무 외에 행정적인 업무, 지역사회 교육하기, 프로그램 기획력 및 조직력, 다른 전문가와의 의사소통 등에 대한 교육 및 연구 의 필요성 셋째, 작업치료사의 고용안정성 및 자율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법 제정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을 조사하고, 직무분석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영역, 작업, 지식, 기술의 중요도와 수행 빈도를 조사하여 직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영역의 비중 산정을 통하여 학교교육과 임상실습, 국가면허시험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회원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부터 4개월간 실시하였으며 93개 기관의 345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구성은 직무특성조사를 위해 임상실습, 근무기관, 치료대상자 의 진단명 등을 포함하였고, 직무분석은 미국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기초로 설문을 구성하여 직무의 중요도와 빈 도를 구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통하여 교과과정동안 작업치료 실습은 대학병원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상실습 대상은 지체장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작업치료사들은 재활병원에 가장 많이 근무하며, 치료대상자는 신 경학적인 분류의 장애를 가진 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치료사의 네 가지 직무 영역의 우선순위는 “전문가로서의의무와책임”,“ 중재”,“ 평가”,“ 중재계획”순이었다. 미국작업치료사국가시험비중산정방식을이 용하여작업치료영역의비중을계산한결과“평가”12.2%,“ 중재계획”24.7%,“ 중재”33.6%,“ 전문가로서의의 무와 책임”29.6% 이었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형 작업치료적용모델을 정립하고, 작업치료 교육 및 국가면허시험의 중요한 기 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건복지 및 사회∙문화∙경제적 흐름에 따 라 변화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Brain drain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o the United Sates from other countries is a phenomenal issue due to the potential developmental impacts it could have on sending countries Immigration policies undoubtedly play the major part to shape the huma
In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ams in the U.S. in 2000 China, South Korea and India were top countries of origin sending students.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intend to stay in the U.S. Immigration, education and occupational choices all have human ca
Objective : This paper presents an empirical study on the bias toward the disabled by the students studying occupational therapy, who will make an expert group to take care of them in
the future. It was investigated how much sense of distance the students ha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 Total 128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were measured as follows:
The visi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restricted to the disorders of external
physical functions based on the Article 29 ‘Classification of the Disabled’ of the Disabled Welfare
Ac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measured by using the 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method. Meanwhile, Westie (1952)’s inventory of the sense of distance
was adopted for the inventory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study.
Results : The subjects showed the biggest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order
of the disabled with encephalopathy, physical handicap, language disorder, visual disturbances
and acoustic disturbances. As for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sense of distance was the
greatest in the order of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partially dependent disabled, and
completely independent disabled.
The average sense of the distance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subjects’ school and year,
and the results reveal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reas except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Conclusions : The sample needs to be expanded in number, and random sampling is required to secure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addition, the causality verifi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ense of distance in a study on it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Finally, an evaluation tool needs to be developed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